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죽음교육 교과서 3

죽음교육 교과서 3

(실존론·생애발달별 죽음교육·죽음교육실천론)

죽음교육연구소 (지은이)
서로북스
7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3,000원 -10% 0원
3,500원
59,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죽음교육 교과서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죽음교육 교과서 3 (실존론·생애발달별 죽음교육·죽음교육실천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87254645
· 쪽수 : 700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죽음교육 교과서』는 정태적인 지시물이나 이론서가 아니라, “지금 여기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이, 상실과 죽음의 부정성(고통)과 마주하여, 어떻게 자신의 존재적 본성으로 돌아갈지를 회의와 성찰의 사유로 실천해 나가는 역동적인 사건의 장소”이다.

목차

죽음교육 교과서 III
제7부|실존론_29
(박미연)

기본 1 불안과 무_33
실존의 시원: 불안 35
불안과 죄 37
존재와 시간 38
불안-자유의 가능성-양심 40
자유의 가능성 42

기본 2 유한성과 한계상황_49
의미의 발견 51
의미형성을 위한 질문 ‘나는 어떤 존재인가?’ 53
한계상황에서 비로소 만나는 실존 54
의미형성을 위한 로고테라피(logotherapy) 56
로고테라피의 임상 방법 62
결론 70

심화 1 인간다움, 실존의 가능성_73
감정과 정서에 대한 과학적 탐색 75
상실을 통한 정신의 역동성 78
불안과 몸 지각의 지향성 79
실존적 불안에서 체화로의 이행 86

심화 2 실존 치료의 중심_91
상담의 기술: 공감 93
내담자 ‘존재 강화’의 문제 96
질병에 대한 실존적 접근 98

심화 3 상흔의 현상학적 해석_107
들어가는 말 110
현상학의 주요 핵심 115
기억의 구성 116
현상학-뇌과학-유식학의 기억 118
기억과 시간 의식의 문제 133
기억과 시간 의식의 전변을 통한 감정치료와 상담 141

실천 1 실존적 한계상황_147
실존정신언어분석 149
프로이트와 야콥슨의 언어학 151
실존정신언어분석가의 태도 157

실천 2 상흔에 깃든 기억 관찰하기_161
상실에서 비롯되는 상처 163
상처와 상흔 166
상흔과 실존 체험 171
상흔 : 자신을 되돌아 볼 수 있는 힘 172
반복의 형식 : 재현과 사후성 174
말하기에서 발화행위로 179
실천 3 한계상황과 실존의식_185
융엘의 종말론적 실존성 187
언어(발화)사건 193
은유와 비유적 진리 197
비유와 하늘나라 202
실존의식 209
인의(認義) 214
융엘의 해석학적 사유방법 217
죽음의 한계상황과 실존의식 219


제8부 |생애발달별 죽음교육론_225
(이윤주 이예종)

<유년기>
기본 유년기의 아이들, 발달 과업과 죽음_229
인간의 발달과정 231
유년기 발달 과업과 죽음에 대한 이해 236
유년기의 죽음 관련한 태도의 발달 250

심화 삶을 위협하는 질병과 죽어감에 대처하는 아이들_255
질병과 죽어가는 아이들의 문제 259
사별과 비탄에 대면하는 아이들 261
사별한 아동의 애도 과업 266
어른들은 죽음에 대해서 아이들에게 왜 이야기해주어야만 하는가? 269

실천 아이들이 죽음, 죽어감, 사별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도움_275
아프거나 죽어가는 아이들에 대한 도움 278
사별한 아이에 대한 도움 280

<청소년기>
기본 청소년기 초기, 중기, 후기의 발달적 과업들_287
청소년이 경험하는 다른 사람의 죽음 292
청소년기 죽음 이해 294
청소년들의 디지털 세상에 대한 참여 295
청소년과 죽음의 개인적 중요성 297

심화 자살과 청소년_301
사별과 비탄에 대처하는 청소년들 305
청소년기 사전 죽음 준비교육 313
죽음 이후의 사별 지원과 도움 315

실천 청소년 인성변화를 위한 공부_319
연구목적 321
연구방법 및 관점 325
주자 인간론에서 기질의 의미 327
인성변화의 방법과 효과 353
격물과 궁리: 도덕적 인지 능력의 향상 360
인지능력 함양 공부 375


<청년기중년기>
기본 청년기와 중년기 성인의 발달 과업과 죽음_379
청년과 중년의 죽음에 대한 태도 385

심화 중년의 대처_389
다양한 상실(죽음)의 유형 391
부모와의 사별에서의 죄책감 403
부모와의 사별에서 성별과 역할 차이 405
성인기의 대처 406

실천 죽음의 은유: 비움과 마음을 가난히 함_409

<노년기>
기본 노년기의 발달적 과업과 죽음_429
노년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433

심화 노화와 죽음과의 대면에 대하여_437
노화와 죽음 439
삶의 가치에 대한 재확신 439
적절하고 적합한 보건 서비스 수용 440
사별과 비탄에 대처하는 노인 441
다양한 사별의 유형 442
노인의 자살 445


실천 나이 듦: 온전함으로의 여정, 웰-다잉_449
웰-다잉 : 본래적 자기 자신으로 돌아감 451
노년의 미학: 자신을 비우는 삶, 마음을 가난히 함 452
‘가난한 마음’의 정신적 자기-관계 454
길 떠나는 그대 455
우리가 가지고 갈 수 있는 마지막 것은 457

<임종기>
기본 임종기의 호스피스와 돌봄에 대한 일고찰_461
전제된 생각과 질문 463
호스피스 완화 ‘의료’와 호스피스 완화 ‘돌봄’ 463
호스피스 의료(돌봄) 정의에 대한 숙고 467
사별 가족 돌봄 482
더 깊이 내려가 숙고하기 484

심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 의미와 역할_487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가능성, 존엄한 죽음 489
우리사회의 죽음의 현실, ‘우리는 어떻게 죽어가는가?’ 490
[연명의료결정법] 제정배경 및 안내 494
존엄한 죽음과 [연명의료결정법]의 바른 정착을 위한 주요 쟁점들 501
연명의료결정제도 시행, 그 후 5년 504



실천 심리적영적 돌봄을 위한 호스피스 서비스_521
들어가는 말 523
영성의 의미 524
환자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들 526
면역 치유력이 생기게 하는 관심과 사랑 533
임종기에서의 심리적 영적 돌봄의 방법 536
심리적 영적 돌봄의 방법: 싸나톨로지 프로그램 540
영적 심리적 케어를 위한 호스피스제도의 보완: 싸나톨로지 프로그램 556


제9부 |죽음교육 실천론_567
(김기란 백미화)

기본 1 죽음의 언어와 죽음교육의 의미_571
죽음이라는 여정 573
죽음이라는 언어 574
죽음의 교육적 대비 577
죽음교육의 이해 579
죽음교육의 네 가지 차원 580

기본 2 죽음교육의 목표_585
죽음교육의 일반 목표 587
죽음교육의 행동 목표 588
죽음교육의 여섯 가지 목적 589
죽음교육의 궁극 목표 591

심화 1 죽음교육상담의 실제: 감정의 재구성_595
관점의 이동 597
언어정리 601
감정 지향적 상담 604
슬픔에 대한 개입 원리 616
애도 상담 실습 619
Role-Playing 629

심화 2 죽음교육의 실제_635
죽음교육 현장에서 말하기와 글쓰기 637
말하기와 글쓰기 작업의 전제 638
인지의미화 과정 642
관찰하기의 대상 644
분석과 co-work 647
임상 실천 648

심화 3 자기만의 문법으로 말하기와 글쓰기_653
자기만의 문법 창안하기 655
말하기와 글쓰기의 구조 658
말하기와 글쓰기 실천 661

심화 4 데리다의 말하기와 글쓰기_669
죽음교육과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 671
그라마톨로지 핵심 개념과 죽음교육 연관성 671
데리다의 유령에서 자기만의 유령으로 673
말하기와 글쓰기 훈련: 자기해체 과정 686

<실천>
실천 1 어린이의 상실 경험 이해와 돌봄 방법_693
아동의 죽음 이해 695
아동의 애도와 상실 경험에 대한 이해 699
개입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 707

실천 2 유치원생을 위한 그림책 활용 수업사례_711
유아기 죽음 개념 713
유아 죽음교육 방법 715
창선어린이집 죽음교육 사례 719
유아 죽음교육의 결과 727

실천 3 초등학생을 위한 그림책 활용 수업 사례_731
죽음교육의 필요성 733
그림책을 활용한 죽음교육의 실제 735
그림책을 활용한 죽음교육 후 변화 744

실천 4 중학생을 위한 생명 존중 수업 들여다보기_751
생명의 소중함과 생명 존중의 범위 753
인간 생명의 시작점 755
인간 생명의 종결 선택권 760

실천 5 고등학생을 위한 죽음교육 수업 들여다보기_765
어떻게 죽음을 이해할까? 767
어떻게 위로할 것인가? 772
어떻게 살 것인가? 779

실천 6 성인을 위한 죽음교육 수업 들여다보기_787
들어가는 말 789
<문학의 공간>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789
가능성으로서의 죽음 779
블랑쇼가 말한 문학 실천은? 779

참고문헌_805
색인_819

저자소개

죽음교육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죽음교육학회 www.thana-edu.net 한국죽음교육학회는 상실과 죽음으로 인해 나타난 비탄과 고통의 감정을 7가지 연구 범주로 나누고 인간학적인 관점과 <실존정신언어분석> 방법으로 접근해서 연구한다. ① 심리철학적 관점에서 본 죽음과 죽음을 맞이함 (Death & Dying) ② 종교 영성학적 관점에서 본 존엄한 임종 결정 (End-of-Life Decision Making) ③ 감정. 애도 의미화의 관점에서 본 상실. 비탄 애도 (LossGrief-Mourning) ④ 사회구조 시스템과 정신분석에서 본 외상적 죽음과 대처(Traumatic Death & Coping) ⑤ 죽음학 방법론과 실천에서 본 평가와 개입 (Assessment & Intervention) ⑥ 생애 발달 및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죽음교육 (Death Education) ⑦ 고통의 의미화의 관점에서 본 죽음학-임상-실천 (Thanatology Experiential Praxis) 이를 토대로 죽음교육 주제 100선을 엄선하고 죽음학의 근본 개념인 실존적 ‘한계상황’을 통해 임상(삶의 예술로서의 인문치유)을 실천하고 있다. 죽음교육학회는 정기 죽음학 기획특강, 죽음학 강좌, 강독, 논문 콜로키엄, 죽음교육강사 아카데미, 정기학술대회 및 학회지 <죽음교육>을 발행하고 있다. 서문 및 감수 : 임 병식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한국죽음교육학회장 죽음교육연구소장 한국싸나톨로지협회 이사장 한신대 휴먼케어융합대학원 죽음교육상담전공 교수 제1부∣죽음교육론 : 신 경원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ND 한국싸나톨로지협회 협회장 국제키비탄한국본부 부총재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센터장 동덕여대 심신과 명상수련 담당교수 한신대 휴먼케어교육원 반려동물상실애도교육전문가 주임교수 제2부∣문화사회론 : 김 경숙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수석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한신대 휴먼케어교육원 반려동물상실애도교육전문가 주임교수 제3부∣상실론 : 성 정은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한국죽음교육학회 정회원 죽음교육연구소 연구원 공감코칭 이음 대표 제4부∣비탄·감정론 : 이 대준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D.Min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한신대 휴먼케어융합대학원 죽음교육상담전공 교수 제5부∣애도론 : 박 재연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이수 리플러스인간연구소 소장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신대 휴먼케어융합대학원 죽음교육상담전공 교수 제6부∣외상론 : 손 주완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이수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싸나톨로지협회 부회장 죽음교육연구소 연구원 한신대 휴먼케어융합대학원 죽음교육상담전공 교수 제7부∣실존론 : 박 미연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이수 한국싸나톨로지협회 부회장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창동어르신복지관 관장 청춘만세 초안산어르신문화센터 센터장 한신대 휴먼케어교육원 죽음교육전문가 담당 교수 제8부∣생애발달별 죽음교육 : 이 윤주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한국죽음교육학회 정회원 죽음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코칭학회 이사 한국싸나톨로지협회 강릉지부 지부장 제8부∣생애발달별 죽음교육 : 이 예종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제9부∣죽음교육실천론 : 김 기란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한국방송작가협회 다큐멘터리 작가 한신대 휴먼케어교육원 운명과 심층심리인문학 담당 교수 제9부∣죽음교육실천론 : 백 미화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죽음교육연구소 연구원 한신대 휴먼케어융합대학원 죽음교육상담전공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