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87274001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2-08-15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 7
서 론 13
1. 근대교회사 해석문제 ․ 13
2. 근대교회사 출발과 시대구분 문제 ․ 20
3. 총체적인 재구성과 서술 방법 ․ 26
제 1부: 근대교회사 배경
제 1장 종교개혁 후 유럽의 변혁 31
1. 아우구스부르크 종교화의 ․ 32
2. 프랑스 개혁교회와 낭트칙령 ․ 37
3. 네덜란드 독립운동과 칼빈주의 ․ 42
4. 30년 전쟁과 베스트팔렌 조약 ․ 45
제 2장 청교도 운동 50
1. 엘리자베스 여왕과 통일령 ․ 53
2. 의회와 찰스 1세의 충돌 ․ 58
3. 크롬웰 시대의 청교도 운동 ․ 62
4. 찰스 2세의 왕정복고와 청교도 운동 ․ 65
5. 청교도의 영향과 평가 ․ 67
6. 요약 ․ 69
제 3장 조지 팍스와 퀘이커 운동 71
1. 조지 팍스의 종교적 체험 ․ 73
2. 퀘이커의 조직과 확장 ․ 74
3. 퀘이커의 가르침 ․ 75
제 4장 개척시대의 미국 기독교 79
1. 신대륙의 정착과 식민지 경쟁 ․ 80
2. 뉴잉글랜드와 영국식민지 개척 ․ 89
3. 미국 청교도 선조들의 신앙 ․ 98
4. 결산과 전망 ․ 105
제 2부: 개신교 정통주의
제 5장 개신교 정통주의 109
1. 개혁파 정통주의 ․ 110
2. 루터파 정통주의 ․ 117
3. 정통주의 신학 ․ 121
4. 정통주의와 소시니안주의 ․ 125
5. 요약 ․ 127
제 3부: 계몽주의와 근대 유럽의 기독교
제 6장 자연과학과 철학의 발달 131
제 7장 계몽주의 운동 139
1. 계몽주의의 역사적 배경 ․ 141
2. 계몽주의 특징들 ․ 145
3. 계몽 사조의 진행 ․ 152
4. 볼프주의와 니올로기(Neologie) ․ 161
5. 요약 ․ 165
제 8장 계몽주의에 대한 반동 166
1. 쟝 자크 루소 ․ 167
2. 조셉 버틀러 ․ 172
3. 데이빗 흄 ․ 176
4. 임마누엘 칸트 ․ 180
제 4부: 경건주의와 영미 각성운동
제 9장 경건주의 운동 191
1. 경건주의 운동의 기원 ․ 192
2. 개혁파 경건주의 ․ 193
3. 루터파 경건주의 ․ 195
4. 경건주의의 특징과 가르침 ․ 207
5. 경건주의의 영향 ․ 210
6. 요약 및 평가 ․ 212
제 10장 대각성운동과 미국 기독교 214
1. 1차 대각성운동, 조나단 에드워즈, 뉴잉글랜드 신학 ․ 216
2. 에드워즈 이후의 뉴잉글랜드 신학 ․ 227
3. 대각성운동과 교세의 확장 ․ 232
4. 결산과 전망 ․ 238
제 11장 요한 웨슬리와 영국 감리교 운동 240
1. 요한 웨슬리의 사상 및 교육적 배경 ․ 242
2. 홀리클럽 ․ 247
3. 조지아 선교 ․ 250
4. 올더스게이트가 회심 ․ 253
5. 감리교 부흥운동 ․ 256
6. 조지 휫필드와 칼빈주의 감리교 운동 ․ 260
7. 독립혁명과 미국 감리교 운동 ․ 264
8. 웨슬리의 사상 평가 ․ 268
9. 요약 ․ 273
제 12장 사회개혁과 근대 선교운동 275
1. 찬송가 발전 ․ 277
2. 사회개혁 ․ 278
3. 근대 선교운동 ․ 282
제 5부: 혁명시대의 기독교
제 13장 프랑스 혁명과 유럽의 혁명 289
1. 프랑스 혁명 ․ 291
2. 나폴레옹 통치 하의 교회 ․ 293
3. 나폴레옹 이후의 유럽 ․ 294
제 14장 옥스포드 운동과 새로운 변혁 298
1. 옥스포드 운동의 역사적 배경 ․ 298
2. 옥스포드 운동의 이상 ․ 302
3. 새로운 교파 운동 ․ 307
제 15장 혁명시대의 미국 기독교 309
1. 독립혁명과 낙관주의 ․ 310
2. 전환기의 교회들 ․ 318
3. 2차 대각성운동 ․ 320
4. 2차 대각성운동, 찰스 피니, 칼빈주의 수정 ․ 329
5. 2차 대각성운동의 영향과 결과 ․ 335
6. 요약 ․ 354
결론 ․ 355
근대교회사 주요사건 연표 ․ 359
참고문헌 ․ 375
색인 ․ 383
저자소개
책속에서
유럽의 기독교가 자연과학의 발달로 인한 인간사고의 변천, 신률보다는 인간의 이성과 자율을 근간으로 하는 계몽주의와 자연신론의 등장으로 결국 불란서 혁명이라는 혁명의 시대로 귀결되었듯이 미국의 기독교도 한편으로는 유럽의 영향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친 낙관주의 세계관의 등장으로 전통적인 청교도주의에서 떠난 새로운 사조 즉 자연신론, 유니테리안주의, 뉴디비니티, 칼빈주의의 수정, 독립혁명으로 특징되는 시대를 맞았다. 삼위일체와 같은 전통적인 교리를 거부하고 인간의 이성을 근간으로 하는 인본주의적 기독교를 설파했던 유럽의 소시니안주의나 계몽주의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유니테리안들도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하고 계시의존적인 기독교가 아닌 인간의 이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독교, 자연과학과 일치하는 기독교를 모토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