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87274056
· 쪽수 : 767쪽
· 출판일 : 2017-01-25
책 소개
목차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 해제 5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 하(朝鮮야소敎長老會史記 下) 서언(序言) 27
범례(凡例) 31
보유(補遺) 41
제 4편 총회시대(總會時代) 1912년 - 1923년 45
제 1장 총론(總論) 46
1. 총회의 설립(一, 總會의 設立) 46
2. 총회의 의안(二, 總會의 議案) 47
3. 선교회의 사업(三, 宣敎會의 事業) 95
(1) 신학사업(神學事業)ㆍ95
(2) 성서공회(聖書公會) 급(及) 야소교서회(耶蘇敎書會)ㆍ99
(3) 교육(敎育)ㆍ100
(4) 자선(慈善)ㆍ103
4. 청년운동(四, 靑年運動) 103
(1) 기독청년회(基督靑年會)ㆍ103
(2) 면려청년회(勉勵靑年會)ㆍ106
5. 시대의 형편(五, 時代의 形便) 107
(1) 사회형편(社會形便)ㆍ107
(2) 선교사형편(宣敎師形便)ㆍ108
(3) 교역자형편(敎役者形便)ㆍ109
제 2장 경기충청노회(京畿忠淸老會) 111
1. 총론(一, 總論) 111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111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112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137
3. 전도(三, 傳道) 155
4. 교육, 환난(四, 敎育, 患難) 156
5. 진흥(五, 振興) 156
제 3장 평북노회(平北老會) 158
1. 총론(一, 總論) 158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158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159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187
3. 전도(三, 傳道) 202
4. 환난(四, 患難) 205
5. 교육(五, 敎育) 207
6. 자선(六, 慈善) 208
7. 진흥(七, 振興) 208
제 4장 평남노회(平南老會) 213
1. 총론(一, 總論) 213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213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214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227
3. 전도(三, 傳道) 245
4. 환난(四, 患難) 247
5. 교육(五, 敎育) 252
6. 자선(六, 慈善) 254
7. 진흥(七, 振興) 256
제 5장 황해노회(黃海老會) 259
1. 총론(一, 總論) 259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259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260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285
3. 환난(三, 患難) 289
4. 이단(四, 異端) 291
제 6장 전라노회(全羅老會) 292
1. 총론(一, 總論) 292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292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293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306
3. 전도(三, 傳道) 319
4. 환난(四, 患難) 320
5. 교육(五, 敎育) 320
6. 진흥(六, 振興) 321
제 7장 경상노회(慶尙老會) 324
1. 총론(一, 總論) 324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324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325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333
3. 전도(三, 傳道) 343
4. 환난(四, 患難) 343
5. 교육(五, 敎育) 343
6. 진흥(六, 振興) 345
제 8장 함경노회(咸鏡老會) 346
1. 총론(一, 總論) 346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346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347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354
3. 전도(三, 傳道) 368
4. 환난(四, 患難) 368
5. 교육(五, 敎育) 369
제 9장 경북노회(慶北老會) 370
1. 총론(一, 總論) 370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370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370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386
3. 전도(三, 傳道) 406
4. 환난(四, 患難) 409
5. 교육(五, 敎育) 410
6. 진흥(六, 振興) 412
7. 치리(七, 治理) 414
제 10장 경남노회(慶南老會) 416
1. 총론(一, 總論) 416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416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417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430
3. 전도(三, 傳道) 436
4. 환난(四, 患難) 437
5. 진흥(五, 振興) 437
제 11장 산서노회(山西老會) 439
1. 총론(一, 總論) 439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439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440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470
3. 환난(三, 患難) 473
4. 자선(四, 慈善) 474
제 12장 전북노회(全北老會) 475
1. 총론(一, 總論) 475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475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476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499
3. 전도(三, 傳道) 503
4. 환난(四, 患難) 504
5. 교육(五, 敎育) 505
6. 진흥(六, 振興) 506
제 13장 전남노회(全南老會) 507
1. 총론(一, 總論) 507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507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508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537
3. 전도(三, 傳道) 558
4. 환난(四, 患難) 559
5. 교육(五, 敎育) 561
6. 진흥(六, 振興) 562
7. 이단(七, 異端) 565
제 14장 함남노회(咸南老會) 567
1. 총론(一, 總論) 567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567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568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574
3. 전도(三, 傳道) 576
4. 환난(四, 患難) 577
5. 진흥(五, 振興) 578
제 15장 함북노회(咸北老會) 579
1. 총론(一, 總論) 579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579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580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02
3. 전도(三, 傳道) 610
4. 환난(四, 患難) 612
5. 교육(五, 敎育) 614
6. 진흥(六, 振興) 615
제 16장 의산노회(義山老會) 617
1. 총론(一, 總論) 617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17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18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28
3. 전도(三, 傳道) 629
4. 환난(四, 患難) 630
5. 교육(五, 敎育) 630
6. 진흥(六, 振興) 631
제 17장 평양노회(平壤老會) 634
1. 총론(一, 總論) 634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34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35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38
3. 전도(三, 傳道) 639
4. 교육(四, 敎育) 640
5. 자선(五, 慈善) 640
6. 진흥(六, 振興) 641
제 18장 안주노회(安州老會) 642
1. 총론(一, 總論) 642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42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43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47
제 19장 평서노회(平西老會) 649
1. 총론(一, 總論) 649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49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50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52
3. 교육(三, 敎育) 653
4. 진흥(四, 振興) 653
제 20장 경안노회(慶安老會) 654
1. 총론(一, 總論) 654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54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55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64
3. 환난(三, 患難) 666
4. 교육(四, 敎育) 667
제 21장 남만노회(南滿老會) 668
1. 총론(一, 總論) 668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68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69
2. 교회설립(二, 敎會設立) 675
3. 환난(三, 患難) 675
제 22장 간도노회(間島老會) 677
1. 총론(一, 總論) 677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77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78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85
제 23장 순천노회(順天老會) 686
1. 총론(一, 總論) 686
(1) 노회설립(老會設立)ㆍ686
(2) 노회의안(老會議案)ㆍ687
2. 교회조직(二, 敎會組織) 689
3. 진흥(三, 振興) 690
4. 교육(四, 敎育) 691
식 교회사기후(識 敎會史記後) 693
교회사기 후기 694
색인(索引) 697
책속에서
역사는 사건이다. 사실을 기록하여 사실을 이루는 것이다. 대개 사실을 기록하여 역사를 이루는 법칙은 앞과 뒤의 차례에서 대소의 윤리를 따라야 하고, 가볍고 무거움의 분리를 세우지 않음도 불가하며, 참과 거짓에서 변론으로 심사하지 않음도 불가하고 엄정하게 선과 악을 판단하지 않음도 불가하며, 그 실체를 명확히 기록하지 않음도 불가하다. 진실로 실체의 법으로 하자면, 반드시 먼저 공적인 것이어야 하고 사적으로 통하지 않아야 하고 모두 막히지 않고 간단하게 펼치지 않으며, 번거롭지 않아야 나중에 옳은 일이다. 사(私)라는 것은 폐단이 있으니 그 열매는 사라지고 닫쳐지며 맛은 있으나 그 열매를 간단하게 잃으니 새는 바가 있어서 그 열매가 사라져 번거롭게 되므로, 탄생이 있어도 그 열매가 사라져 맛이 없고 탄생을 잃게 하니 모두가 역사로서는 부족하다.
우리 주 예수를 가르치는 진리는 서양에서 또한 중국에서 우리 조선에 들어온 지, 지금까지 육십 여년이 되었다. 그 사이에 몸으로 진리를 전하다가 죽거나 후회 없는 이가 몇 천 몇 백이 되는지 알지 못한다. 믿음으로 구원을 얻고 의로써 즐거운 자가 또한 몇 만 몇 천의 사람인지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실을 기록하여 사실을 이룬 열매는 이와 같으니 그것은 위대하고 또 훌륭할 것이리라.
아아! 사람의 글로 시작을 하였으나 넉넉하지 못하고, 이어서 국가가 어려움이 많아 서적으로 실을 여가가 지금까지 이어질 수 없었으니 안타까움도 늦었다. 이리하여 널리 연구하여 유래와 전설을 많이 수집하고, 지난날의 자취를 따라서 사실을 기록하여 간략하게 줄여서 편집을 한다.
주후 1865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발시대의 사(事), 1893년부터 1906년까지는 공의회시대의 사(事) 1907년부터 1911년까지는 독노회시대의 사(事), 그리고 1912년부터 1923년까지는 총회시대의 사(事)이다. 그것을 앞과 뒤, 크고 작음, 가볍고 무거움, 잘되고 못됨, 참과 거짓으로 선악을 구별하였고, 세월은 오래고 사건은 숨었으나 사람은 가도 흔적을 펼쳤는데 혹 열매를 잃지 않았으니 감탄이다.
그리하여 지금에 와서 숨은 것을 보충하고, 교정하여 논리와 윤색을 튼튼히 하여 조그마하게 완전 편집을 하였다. 이를 돌아 보건데, 황급하므로 계승할 자료로서는 완전한 것은 아니고 또 그 때의 사람들도 아니어서 기다리는 후세의 군자들을 위함이니라.
1930년 8월 20일
수정자 김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