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8729525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2-20
책 소개
목차
Ⅰ
1 인간이란 무엇인가
2 인간은 어떻게 등장했는가
3 인간의 신경계는 뭐가 다른가
4 인간의 뇌는 어떻게 생겼는가
5 인간은 생리적 조산(早産)이다. 특히 뇌에서
6 인간의 뇌는 3중의 삶을 연출한다.
7 인간 뇌에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있다.
Ⅱ
8 인간은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는가
9 인간은 어떻게 먹는가
10 인간은 어떻게 섹스하는가
11 인간은 어떻게 함께 사는가
12 인간은 왜 스킨십을 하는가
13 인간은 왜 화를 내는가
14 인간은 어떻게 느끼는가
15 인간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16 인간은 어떻게 기억하는가
17 인간은 어떻게 학습하는가1
18 인간은 어떻게 학습하는가2
19 인간은 어떻게 참는가
20 인간은 어떻게 창조하는가
21 인간은 어떻게 쾌락과 행복을 구분하는가
22 인간은 어떻게 말을 하는가
23 인간은 왜 노래하고 춤추는가
24 인간은 어떻게 웃고 어떻게 우는가
25 인간은 어떻게 존재와 시간을 파악하는가
26 인간은 왜 생에 집착하는가
27 인간은 왜 서로 죽이는가
28 인간은 왜 걱정이 많은가
29 인간은 왜 놀이를 하는가
30 인간은 왜 자는가
31 인간은 어떻게 꿈을 꾸는가
32 인간은 왜 비합리적인가
33 인간은 살려고 하는 생명에 둘러싸인, 살려고 하는 생명이다
34. 인간은 어떻게 호모 사피엔스가 될 수 있을까
후기
리뷰
책속에서
어린아이의 뇌가 이렇게 급속하게 성장하는 것은 뇌의 중요한 구성단위인 신경세포의 수가 늘어나서 생기는 현상이 아니다. 신경세포는 태아의 시기에 모두 완성되며, 출생 후에는 신경세포가 분열해서 수가 늘어나는 일은 없다. 또 손상되어도 결코 재생되지 않는다. 뇌를 제외한 다른 신체 부위의 세포는 사정이 다르다. 태어났을 때는 세포가 2조 개이지만 어른이 되면 50조 개로 늘고, 게다가, 평상시 언제나 교체되고 손상되면 바로 재생된다. 따라서 ‘변함없는 나’라는 것은 교체가 없는 신경세포에 있는 것이며, 결국 인간은 뇌 덕분에 ‘나’인 것이다.
교육의 목적이 인간 형성에 있다고 하는 것은 달리 표현하면 아이가 인간다운 정신을 갖고 인간다운 행동을 할 수 있게끔 신경세포가 형성되게 도와준다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적이고 근대적인 보육, 교육이라는 것은 바로 아이들의 뇌에서 신경세포의 배선이 이루어지는 발달 단계에 맞춰 아이를 키워가는 데에 있다고 할 것이다.
맞벌이가 많은 아파트 단지에는 손가락을 빠는 아기가 많다고 한다. 그러한 행위는 성욕이 충족되지 않을 때의 자위행위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대상 행위이다. 직업을 가진 부모가 아기를 어린이집이나 시설에만 맡겨놓으면 스킨십이 부족해지기 쉽고, 그러다가 소위 호스피탈리즘에 의한 정신 이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스킨십이 결핍된 아기는 무표정, 무기력해지거나 도피적으로 되고, 말에 대한 이해력은 갖게 되지만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능력의 발달은 지체된다. 성격도 공격적으로 되며 쉽게 흥분하고 행동도 통제가 안 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