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87481768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20-03-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더블 딥이 오는가?
코로나19 사태 전과 후의 변화
주요 기관들의 경제전망 수정
2장 팬데믹의 경제적 충격
14세기 페스트 되돌아보기
2003년 사스 사태 되돌아보기
2015년 메르스 사태 되돌아보기
3장 중국의 경제적 위상 변화와 코로나19 사태
거시경제 관점에서의 변화
글로벌 벨류체인 관점에서의 변화
4장 코로나19 사태의 파급 영향 시나리오
2020년 시대상이 된 코로나19
코로나19의 한국경제 파급 영향 시나리오
통화정책 : 기준금리는 추가 인하할까?
재정정책 : 추경은 어떻게 쓰일까?
5장 2020년 수정경제전망
2020년 수정경제전망의 주요 전제
2020년 한국경제 전망과 대응 전략
부록 1. 주요 투자은행의 세계경제 및 주요국 성장률 전망
2. 주요 투자은행의 아시아 주요국 경제지표 전망
미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IMF는 2020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3%에서 3.2%로, 중국 경제성장률을 6.0%에서 5.6%로 각각 하향조정했다. 앞의 책에서 한국 경제성장률이 2019년 2.0%에서 2020년 2.2%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전망치를 수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2020년 한국경제는 어떻게 펼쳐질까?
주요 경제연구기관들은 잇달아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2020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스탠다드 차타드Standard Chartered는 중국 경제성장률이 1분기 2.8% 수준에 그치고 연간 5.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 전망을 0.5%p 하향 조정한 셈이다. 또한 3월에 바이러스가 진압되기 시작하고 실물경기가 개선되더라도 당분간 성장률이 큰 폭으로 반등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홍콩의 2020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2% 수준으로 발표했다.
중국경제가 흔들리면서 한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2003년 2분기, 특히 5월의 수출증가율이 일시적으로 크게 위축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출 위축이 모두 사스 사태로 인한 것이라고 가정할 경우, 2003년 2분기 한국 경제성장률을 1%p(연간성장률 0.25%p) 내외 하락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