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9118751130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목차
『공원관리 가이드북』 발간에 부쳐 _ 4
한국어판 출판에 즈음하여 _ 5
제1장 공원관리의 목적
1. 공원관리의 의의 _ 14
2. 공원관리의 변천 과정 _ 21
3. 공원관리의 목적 _ 25
4. 공원관리의 근거법 _ 26
5. 공원관리 업무의 구분 및 본 가이드북의 구성 _ 32
제2장 유지관리
1. 유지관리 _ 36
2. 식물관리 _ 37
3. 시설관리 _ 65
4. 청소 _ 82
제3장 운영관리
1. 운영관리 _ 86
2. 정보수집 _ 88
3. 정보제공 _ 95
4. 행사 _ 103
5. 이용프로그램 _ 109
6. 공평·평등한 이용 _ 119
7. 이용지도 _ 123
8. 이용조정 _ 127
9. 공원시설의 운영 _ 132
제4장 법령관리
1. 재산관리와 도시공원대장 _ 142
2. 점유 및 사용 _ 149
제5장 공원관리와 안전대책
1. 공원관리의 안전대책 _ 160
2. 공원시설 이용에 관련된 사고방지대책 _ 168
3. 도시공원의 방범대책 _ 178
4. 도시공원의 방재대책 _ 184
제6장 공원관리의 시민참여·협동
1. 공원관리의 시민참여·협동의 개요 _ 192
2. 공원애호회, 공원어답트 _ 199
3. 공원자원봉사 _ 220
4. 협동을 향하여 _ 237
제7장 공원매니지먼트
1. 공원매니지먼트와 지정관리자제도 _ 250
2. 매니지먼트 계획 _ 253
3. 매니지먼트 실시 _ 262
4. 매니지먼트 평가 _ 274
부록
부록 1. 『공원관리 가이드북』 출판의 배경과 의의 _ 282
부록 2. 일본 공원의 종류 _ 290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시공원은 정비하는 것만으로는 그 기능을 충족할 수 없다. 공원을 구성하는 각종 시설과 구조물의 물적 조건을 정비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고, 계획에 의도한 대로 시설을 운영하는 동시에 공원의 존재가치를 충분히 실현하여, 이용자가 즐거워하고 이용자가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확보와 기회 제공을 지속적이고 창조적으로 실현해야 한다. 바꿔 말하자면, 공원공간·시설유지·보존과 공원의 원활한 이용을 촉진하도록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원관리는 지금까지 공원 내부의 기능 유지를 위한 관리에서 한층 나아가, 공원 밖의 환경이나 지역을 위한 관리도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원을 포함한 지역과 일체된 관리영역 매니지먼트나 지역의 자연자원이나 역사문화 자원을 공원에서 보전하고 계승하는 매니지먼트가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공원에서 어린이의 놀이나 자연관찰, 마을숲(里山) 관리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단체도 증가하고 있다. 어린이부터 고령자까지 각 연령층이 방문하는 공원은 커뮤니티 거점으로서 각종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지역 사람들이 교류하는 장소다. 이제는 공원관리가 공원에서 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공원을 구성하는 재료는 크게 생물적인 특성을 지닌 식물재료와 그 외의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지관리를 하는 데는 이들 재료의 특성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공원의 환경·경관·공간구성의 중심인 식물재료는 생물로서 생장과 생육주기 등의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