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공학 일반
· ISBN : 9791187511458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12-27
책 소개
목차
004 책을 펴내며
010 추천사
016 01. 한국 도시화 50년,
그 공간 문화 비평에 들어가며
032 02. 한국 도시화의 거시적 현황:
쏠림 현상
048 03. 한국 도시화의 일상적 현황:
밀도의 향연
062 04. 한국 도시화의 거시적 메커니즘:
계획 주체와 공간 지향
076 05. 한국 도시화의 일상적 메커니즘:
계획 제도와 일상적 소품
092 06. 1970년대 공간의 탄생:
농촌의 도시화
106 07. 1980-90년대 공간의 탄생:
근교의 도시화
120 08. 2000년대 공간의 탄생:
지방의 도시화
136 09. 2010년대 공간의 탄생:
자연의 도시화
150 10. 2020년대 공간의 탄생:
도시의 도시
166 11. 대한민국 공간은 과연
지속가능한가?
178 12. 대한민국 공간의 미래 전망은?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 우리가 사는 공간이 오래전부터 거기에 있었던 것처럼 너무나 익숙하고 당연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하지만 우리는 분명 이전에는 없었던 집과 마당에서, 그리고 마을과 도시에서 살고 있다.
한국의 도시화와 물리적 공간은 특별한가? 특별하다면, 과연 얼마나 특별한 것일까? 나는 때때로 우리의 사회와 역사를 다른 시대나 지역과 동일하게 가정하며 서술하는 글에 대해서 아쉬움 또는 반감을 느끼고는 한다. ··· 다시 말해, 한국의 도시화와 물리적 공간을 서술하는 데에 있어서도 우리 사회와 역사에 대한 맥락성과 함께 다른 시대나 지역에 대한 확장성 또는 보편성을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
‘새로운 도시 만들기’는 정부 주도의 도시화와 대규모 물리적 개발의 핵심 목표이자 불가피한 결과물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지금까지의 ‘새로운 도시 만들기’에 대한 공과를 논의하고, 과연 앞으로도 이것이 지속가능한가에 대해 본질적 의문을 던져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 리질리언스는 기본적으로 변화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개념어다. 리질리언스는 외부의 충격과 변화에 시스템이 본래의 구조와 기능 및 정체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하며, 우리말로는 회복력, 복원력, 회복탄력성 등으로 번역된다. 이를 바탕으로 나는 대한민국 정부의 ‘새로운 도시 만들기’ 자체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형성된 각 시대별 공간 사례들의 리질리언스에 대해 분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