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간의 탄생

공간의 탄생

(한국 도시화 50년과 리질리언스)

김충호 (지은이)
한숲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간의 탄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간의 탄생 (한국 도시화 50년과 리질리언스)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공학 일반
· ISBN : 9791187511458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12-27

책 소개

지속가능 도시설계를 중심으로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김충호 교수가 스스로에게 던진 ‘우리 사회와 도시는 지속가능한가?’라는 근원적 질문에 답하기 위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1970년부터 2022년까지 중앙정부 중심으로 진행된 급속한 도시화와 새로운 도시 만들기에 대해 다룬다.

목차

004 책을 펴내며
010 추천사

016 01. 한국 도시화 50년,
그 공간 문화 비평에 들어가며

032 02. 한국 도시화의 거시적 현황:
쏠림 현상

048 03. 한국 도시화의 일상적 현황:
밀도의 향연

062 04. 한국 도시화의 거시적 메커니즘:
계획 주체와 공간 지향

076 05. 한국 도시화의 일상적 메커니즘:
계획 제도와 일상적 소품

092 06. 1970년대 공간의 탄생:
농촌의 도시화

106 07. 1980-90년대 공간의 탄생:
근교의 도시화

120 08. 2000년대 공간의 탄생:
지방의 도시화

136 09. 2010년대 공간의 탄생:
자연의 도시화

150 10. 2020년대 공간의 탄생:
도시의 도시

166 11. 대한민국 공간은 과연
지속가능한가?

178 12. 대한민국 공간의 미래 전망은?

저자소개

김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도시설계 전공 교수이다. 서울대 건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워싱턴대 도시설계 및 계획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우설계와 해안건축에서 실무 건축가로서 일하였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대와 워싱턴대, 중국의 사천대와 시안교통리버풀대, 한국의 건축공간연구원에서 건축과 도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논문이나 실무 프로젝트 이외에도 다양한 저술 작업을 출판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건축, 도시 및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과 현실적 대안을 꿈꾸고 있다. 현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부학장, 한국도시설계학회 기획위원장,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전문위원, 행정중심복합도시 총괄자문위원, 송산그린시티 총괄자문위원, 서울시 균형발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지속가능한 사회 및 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건축과 도시, 개발과 보존, 교육과 연구 및 실무를 넘나드는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 『행복해지려면 도시를 바꿔라: 행복한 도시를 위한 46가지 제안(2024)』, 『누구나 읽는 주거에세이 H(2023)』, 『Greening East Asia: The Rise of the Eco-developmental State(2020)』, 『공간닥터 프로젝트. Vol.1. 공간복지(2020)』, 『Desire City, Seoul: Visualizing Seoulites’ Desires with Digital Design(2017)』, 『디자인 3분 스피치(2002)』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에 기고하였으며, 우리의 10개 도시에 대해 역사적 배경과 숨겨진 이야기를 탐구한 <KBS 도시의 기록(2023)> 방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 우리가 사는 공간이 오래전부터 거기에 있었던 것처럼 너무나 익숙하고 당연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하지만 우리는 분명 이전에는 없었던 집과 마당에서, 그리고 마을과 도시에서 살고 있다.


한국의 도시화와 물리적 공간은 특별한가? 특별하다면, 과연 얼마나 특별한 것일까? 나는 때때로 우리의 사회와 역사를 다른 시대나 지역과 동일하게 가정하며 서술하는 글에 대해서 아쉬움 또는 반감을 느끼고는 한다. ··· 다시 말해, 한국의 도시화와 물리적 공간을 서술하는 데에 있어서도 우리 사회와 역사에 대한 맥락성과 함께 다른 시대나 지역에 대한 확장성 또는 보편성을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


‘새로운 도시 만들기’는 정부 주도의 도시화와 대규모 물리적 개발의 핵심 목표이자 불가피한 결과물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지금까지의 ‘새로운 도시 만들기’에 대한 공과를 논의하고, 과연 앞으로도 이것이 지속가능한가에 대해 본질적 의문을 던져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 리질리언스는 기본적으로 변화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개념어다. 리질리언스는 외부의 충격과 변화에 시스템이 본래의 구조와 기능 및 정체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하며, 우리말로는 회복력, 복원력, 회복탄력성 등으로 번역된다. 이를 바탕으로 나는 대한민국 정부의 ‘새로운 도시 만들기’ 자체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형성된 각 시대별 공간 사례들의 리질리언스에 대해 분석할 예정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