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8758045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0-08-1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6
제1장 ‘평화’, 조용한 아침의 나라 · 13
가등정웅, 강동범 강대호, 강병학, 강성구, 강수성, 강용진, 강윤희, 김백평,
김성수, 독고전, 동철봉, 대장경미, 박의송, 윤병길, 윤자영, 이익종, 이일영,
이활, 전동범, 전선녀, 조수동, 최수창, 한계순, 한봉현
제2장 ‘의병’, 나라를 지켰던 그들 · 97
강경화, 강덕선, 강상국, 강석준, 강원, 고성봉, 고수복, 권희, 김경화
김만석, 김효순, 노순경, 박노영, 박성녀, 엄택용, 유정진, 이갑문, 이병주
이용준, 전좌한, 정학순, 조안덕, 차주상, 천년도, 최진순, 한수자
제3장 ‘불꽃’, 꺾이지 않았던 신념 · 177
강낙원, 강병창, 강부성, 강우규, 강약수, 강윤조, 곽대용, 권오진, 김동석
김봉녀, 김백원, 김완규, 신현중, 안옥자, 여운형, 오동진, 윤용화, 이도재
이배건, 이정로 장경업, 전현애, 정금동, 정영업, 정운해, 최장범
제4장 ‘의지’, 평범할 수 없었던 시간 · 257
강달영, 강덕근, 강병도, 강상욱, 강열모, 강완주, 강용석, 강주상, 곽효술
권병덕 김두칠, 김준모, 동창율, 박양순, 오흥순, 유관순, 안치구, 이명용
이신도, 장식연, 홍명숙, 황영임, 황재옥
제5장 ‘해방’, 당연하지 않은 자유 · 32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는 말한다. “한국의 기후는 중국인들이 부르는 한국의 공식 명칭인 ‘고요한 아침의 나라’ 또는 ‘아침의 고요함’이라는 말 하나로 잘 표현된다. 한국의 아침은 사계절 내내 맑고 신선하며 가볍고 투명한 공기, 부드럽고 깨끗하며 매우 빛나지만 눈이 피곤하지 않은 햇빛, 깨끗한 청록색 하늘로 표현할 수 있다. 유럽인에게는 모든 것이 즐겁기보다는 놀랍고 불편하게 느껴지는 이곳에서 유일하게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이 바로 이 점일지도 모르겠다….”
- 「르 프티 주르날」, 1907. 08. 04. <고요한 아침의 나라> 중에서
일본은 무자비하게 자신의 임무에 착수하였다. 한국의 왕을 감금하고 왕비를 살해(을미사변)하였다는 점은 일본이 수단을 가리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일본이 수립한 개혁안은 근사하게 보이지만 한국 사회에 정착되지 않았다. 일본의 휘호 아래 강제적으로 만들어진 ‘신한국’ 사회는 3-4년 이내에 무너졌고 산산이 부서졌다. 일본인들은 부산과 제물포 등 한국의 곳곳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은 우편과 전신 체제의 기초 시설을 만들었다. 이것이 (한국에) 이로운 것임에 분명하지만, 동시에 한국은 일본에 고나한 모든 것에 엄청난 적개심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 한국의 문명개화는 뒷걸음치게 되었다.
- 「하퍼스 위클리」, 1904. 02. 20. <한국의 운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