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케이팝은 흑인음악이다

케이팝은 흑인음악이다

(현진영에서 BTS까지, 그리고 그 너머)

크리스털 앤더슨 (지은이), 심두보, 민원정, 정수경 (옮긴이)
눌민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케이팝은 흑인음악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케이팝은 흑인음악이다 (현진영에서 BTS까지, 그리고 그 너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9118775062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06-12

책 소개

전 세계를 사로잡은 케이팝의 매력을 미국 흑인음악과 한국 케이팝의 상호텍스트성과 친연성을 통해 밝힌 책이다. 케이팝이 미국 흑인음악의 세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흑인음악과의 끊임 없는 영향과 교류를 자양분 삼아 전 세계적인 대중음악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고 단언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5

들어가며 11
1장 “Listen to the Music”: 미국 흑인 대중음악과 케이팝 39
2장 “널 부르는 노래”: 케이팝 그룹들 121
3장 “Soul Breeze”: 한국 R&B 그룹과 솔로 가수들 217
4장 “다시 쓰는 이력서”: 한국의 주류 힙합 가수들 277
나가며 333

감사의 말 360
주요 디스코그래피 362
참고 문헌 366
옮긴이의 말 396
찾아보기 400
지은이 소개 412
옮긴이 소개 413

저자소개

크리스털 앤더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 아프리카계 미국학과African-American Studies와 예술대학에서 강의하며, 초국적 미국학, 흑인 국제주의, 글로벌 아시아학 및 대중음악을 연구한다. 자신의 첫번째 저서인 『중화 연결성 너머: 현대 아프로-아시아 문화 생산Beyond the Chinese Connection: Contemporary Afro-Asian Cultural Production』(2013)에서 이소룡Bruce Lee의 영화를 이용해 1990년대 이후의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된 흑인과 아시아인의 이문화異文化 간 역학을 분석했다. 케이팝과 관련해서는 연구논문뿐만 아니라 여러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KPK: 케이팝 콜렉티브KPK: K-pop Kollective는 2010년 세 명의 미국인 학자들에 의해 설립된 가장 오래된 케이팝 공공 학술 사이트이며, 케이팝컬처KPOPCULTURE는 케이팝의 음악, 안무, 창작 인력에 대한 정보를 큐레이션하고 기록하는 교육용 사이트이다. 아시아 대중문화의 베테랑 블로거이기도 한 앤더슨은 케이팝 뉴스 사이트인 헬로케이팝Hellokpop의 부편집장을 역임한 바 있다.
펼치기
민원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에서 호르헤루이스 보르헤스의 텍스트 분석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 칠레로 이주해 2006년부터 칠레가톨릭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아시아센터 집행위원으로 재직했고, 2023년부터 아시아센터 협력교수로 있다. 2020년 한국에 들어와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제한국학연구원 규장각 펠로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시민사회프로그램 객원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칠레에서 처음으로 한국학 관련 강좌를 개설했으며, 한국과 칠레 양국의 학술·문화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주로 식민경험이 중남미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과 중남미 사회의 인종·젠더·계급 문제에 기반해 에스파냐어권 화자들이 한류를 비롯한 아시아 대중문화를 수용·소비·재해석하는 양상을 연구한다. 한국 역사와 문화, 한·중남미 비교 문화 등을 강의했고, 미국 미시간대학교,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도 한류에 관한 강의를 했다. 최근 칠레와 중남미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방송과 강연을 통해 정확하고 생생하게 칠레와 중남미를 소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펼치기
심두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한류와 아시아 대중문화, 글로벌 미디어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저역서로는 『한류가 뭐길래』, 『케이팝은 흑인음악이다』, 『Pop Culture Formations across East Asia』(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미디어의 이해』 등이 있으며,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Journal of Fandom Studies,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등 국내외 학술지의 편집위원이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한국소통학회 회장, 서울문화재단 및 인천문화재단 이사, 서울드라마어워즈 심사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펼치기
정수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국제학과 조교수.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방송작가로 일하며 시사 및 역사다큐멘터리 제작에 참여했다. 한국 리얼버라이어티쇼 진화 과정을 통해 1990년대 이후 한국 방송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천착한 논문으로 미국 조지아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산업과 장르, 생산과 수용 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Global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Gangnam Style”, “Networked audiences and cultural globalization”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위원장으로서 미디어제작 현장의 민주주의, 시민의 미디어권 확장에 일조하고자 애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17년 7인조 보이밴드 BTS가 미국 주류 문화에 진입하면서 케이팝이라고 알려진 현대 한국 대중음악은 세계적으로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BTS는 원래 방탄소년단Bangtan Sonyeondan의 약자지만, “Beyond the Scene” 즉 마주한 현실의 장면scene을 끊임없이 넘어beyond 나아간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1990년대 한국의 세계화 열망과 함께 등장한 케이팝은 오늘날 한국 음악을 대표한다. 케이팝은 또한 한국 음악에 외국, 특히 미국 흑인 대중음악 요소를 결합한 음악이다. 케이팝을 이렇게 정의하는 것은 비주얼을 강조하는 아이돌 그룹뿐만 아니라, 한국 R&B와 힙합을 위시한 여러 장르의 아티스트들도 케이팝 우산 속에 포괄하는 것이다.


미국 내 인종 지형과 연관된 흑인 대중음악이 케이팝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는 것은 서구 혹은 미국 문화라는 일반화된 문화 세계화 개념을 넘어 케이팝 형성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분석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