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8782205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7-06-16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6·25전쟁은 무엇을 남겼는가?
1. 참혹한 전쟁 피해
2. 남북한의 극한 대립 초래
북한에 미친 영향 |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3.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
미.소 대립과 냉전의 고착화 | 중국의 급부상과 타이완의 안전보장 | 일본의 경제 도약과 재무장
제2장 6.25전쟁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1. 전쟁의 근원이 된 남북 분단
38도선 분할 | 북한의 소비에트 정권 수립 | 미 군정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2. 미국의 한국 지원과 소련의 북한 지원
미국 극동방위선 밖의 대한민국 | 미국의 한국 군사원조와 주한미군 철수 | 소련의 팽창정책과 북한군 전력증강 지원
3. 남침 음모: 북한.소련.중국의 남침 결정
김일성의 무력남침 제의와 스탈린의 반대 | 마오쩌둥의 지원 약속과 조선인 중공군의 북한군 편입 |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남침계획 승인과 전쟁지원 보장 | 소련의 북한군 증강 지원과 남침계획 수립
제3장 북한의 남침과 유엔군의 참전
1. 암호명 ‘폭풍’: 북한군의 6.25 기습 남침공격
2. 국군의 초기 방어와 서울 함락
지상군 및 해·공군과 경찰의 대응 | 옹진반도와 개성-문산 지역 방어 | 동두천·포천·의정부 지역 방어 | 춘천·홍천 지역 방어 | 동해안 지역 방어 | 서울 방어와 북한군의 서울 점령
3. 유엔군의 참전과 낙동강까지 지연전
미국과 유엔의 참전 결정 | 국군의 한강선 방어 | 맥아더의 한강 방어선 시찰과 미 지상군 참전 | 유엔군사령부 창설과 국군의 재편성 | 미군 최초의 죽미령 전투와 서부전선의 지연전 | 중동부 전선의 지연전 | 동해안 지역의 지연전 | 서남부 지역의 지연전
4. 최후의 보루 낙동강 방어선의 공방전
정부의 전시 조치와 국가 총력전 전개 | 낙동강 방어선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대구를 향한 북한군 총공세: 다부동-왜관 전투 | 북한군의 우회기동과 마산-부산 압박 | 최대의 위기 영천-포항 피탈과 재탈환
5. 인천상륙작전과 38도선 이북으로 진격
인천상륙작전의 최종 논쟁 | 상륙부대 편성과 상륙작전 실시 | 9·28 수도 서울 탈환과 정부의 환도 | 유엔의 북진 결정과 전쟁 목표의 확대 | 이승만의 38도선 돌파 명령 | 맥아더의 유엔군 북진 명령 | 평양·원산 탈환작전 | 북한군의 함흥 대학살
제4장 중국의 개입과 새로운 전쟁
1. 중공군의 참전과 유엔군의 철수
중국의 참전 결정과 한반도 침입 | 유엔군의 추수감사절 공격과 중공군의 제1차 공세 | 중공군의 제2차 공세 준비 | 유엔군의 크리스마스 공세와 중공군의 반격 | 장진호 전투 | 흥남 철수작전 | 중·조 연합군의 제3차 공세와 1·4 후퇴
2. 유엔군의 새로운 전략 모색
전쟁 목표의 재변경 | 유엔의 휴전 제의와 공산 측의 거부 | 한국에서 철수할 것인가 | 한국 정부 제주도 이전 계획
3. 유엔군의 재반격과 전선 교착
유엔군의 위력수색과 한강선 진출 | 중공군의 제4차 공세와 횡성·지평리 전투 | 서울 재탈환과 38도선으로 진격 | 유엔의 신전략과 맥아더의 해임 결정 | 국군과 유엔군의 38도선 확보 작전 | 공산군의 춘계공세 좌절과 전선 교착
제5장 휴전 - 끝나지 않은 전쟁
1. 휴전의 조건과 고지 쟁탈전
휴전의 모색과 회담 의제의 채택 | 스탈린의 휴전회담 전략과 개성 문제 | 고지 쟁탈전: 해안분지, 피의 능선, 단장의 능선 확보작전 | 지리산 공비토벌작전 | 휴전협상의 최대 걸림돌 포로교환 협상 | 공산군의 지하요새 구축과 전력 보강 | 전초진지 쟁탈전: 벙커·백마고지, 저격·지형능선 전투 | 유엔 해·공군의 공산군 압박 작전
2. 국제정세의 변화와 이승만의 휴전 반대
상병포로교환과 포로교환협정 합의 | 반공포로 석방과 한·미 회담 | 중공군의 최후 공세 전략과 금성지구 전투
3. 정전협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정전협정 체결과 정전체제의 구축 | 비무장지대 설치와 정전관리기구 구성 | 포로 송환 |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제네바 정치회담의 결렬
맺음말
6.25전쟁 연표
참고 문헌
부록
1. 남.북한군 전력 비교(1950. 6. 25)
2. 유엔 참전국 현황(전투부대 / 의료지원부대)
3. 유엔 물자지원국(1950. 7~1956. 6)
4. 아군 및 적군 인명 피해 현황
5. 국군 및 유엔군 주요 작전
6. 국군 주요 부대 및 지휘관
7. 미군 참전부대 현황
8. 공산군 전력 현황(북한군.중공군.소련군)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