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87822936
· 쪽수 : 608쪽
· 출판일 : 2024-12-19
책 소개
목차
서문
CHAPTER 1 손자의 군사사상 | 노양규(영남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머리말
II. 손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1. 손자의 생애 | 2. 시대적 배경 | 3. 손자병법의 종류와 체계
III. 『손자병법』의 편별 주요 내용
1. 시계편(始計篇) 의 핵심 사상 | 2. 작전편(作戰篇) 의 핵심 사상 | 3. 모공편(謀攻篇) 의 핵심 사상 | 4. 군형편(軍形篇) 의 핵심 사상 | 5. 병세편(兵勢篇) 의 핵심 사상 | 6. 허실편(虛實篇) 의 핵심 사상 | 7. 군쟁편(軍爭篇) 의 핵심 사상 | 8. 구변편(九變篇) 의 핵심 사상 | 9. 행군편(行軍篇) 의 핵심 사상 | 10. 지형편(地形篇) 의 핵심 사상 | 11. 구지편(九地篇) 의 핵심 사상 | 12. 화공편(火攻篇) 의 핵심 사상 | 13. 용간편(用間篇) 의 핵심 사상
IV. 『손자병법』의 주요 군사사상
1. 손자의 전쟁관 | 2. 부전승과 전승 사상 | 3. 손자의 용병관 | 4. 정보의 중요성 | 5. 지형론
V. 맺음말
CHAPTER 2 공화주의자 마키아벨리의 군사사상 | 홍태영(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I. 머리말
II. 르네상스와 마키아벨리
1. 이탈리아의 도시국가 | 2. 르네상스기 군사상의 변화 | 3. 마키아벨리는 누구인가?
III. 마키아벨리의 정치 및 군사사상
1. 공화주의 정치철학자 | 2. 마키아벨리의 군사사상
IV. 맺는말
CHAPTER 3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 김연준(용인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머리말
II. 시대적 배경과 클라우제비츠의 생애
1. 프로이센의 명암: 7년 전쟁, 나폴레옹 전쟁 | 2. 철학적·지적 배경 | 3. 클라우제비츠의 생애
III. 『전쟁론』 분석
1. 『전쟁론』의 편성 | 2. ‘전쟁의 이중적 본질’에 대해 | 3. 마찰에 대해 | 4. ‘전쟁의 3요소, 삼위일체’에 대해 | 5. ‘군사적 천재’에 대해
IV. 『전쟁론』 주요 사상
1. 전쟁에서 ‘인적 요소’의 중요성 강조 | 2. 정치·전쟁과 연계성 유지: 정치의 우위성
V. 『전쟁론』 종합 평가
1. 클라우제비츠 전쟁사상의 재조명 과정 | 2. 현대 전쟁에서 클라우제비츠 전쟁이론의 유용성
VI. 맺음말
CHAPTER 4 조미니의 군사사상 | 유상범(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I. 머리말
II. 조미니 소개
1. 시대적 배경 | 2. 군사사상가 조미니
III. 조미니의 주요 사상
1. 전략 | 2. 전승을 위한 기본 원칙 | 3. 실제 전장과의 연결고리
IV. 맺음말
CHAPTER 5 독일학파: 몰트케의 군사사상과 현대적 해석 | 이병구(국방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머리말
II. 몰트케의 생애
III. 몰트케의 주요 사상
1. 정치와 전쟁의 관계: 상호 독자적 영역의 강조 | 2. 전략의 실용성과 융통성 중시 사상 | 3. 임무형 지휘와 총참모본부 | 4. 전략적 포위 사상
IV. 몰트케의 유산과 재평가
V. 맺음말
CHAPTER 6 프랑스학파: 뒤 피크와 포슈의 군사사상 | 손경호(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I. 머리말
II. 뒤 피크
1. 뒤 피크의 생애 | 2. 정신적 요소의 강조 | 3. 질적 우위의 강조 | 4. 뒤 피크 사상의 평가
III. 포슈
1. 포슈의 생애 | 2. 전쟁 및 전략에 대한 이해 | 3. 공세의 추구 | 4. 포슈 사상의 평가
IV. 맺음말
CHAPTER 7 영국학파: 풀러, 리델 하트의 군사사상 | 윤형호(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머리말
II. 사상가 소개
1. 풀러의 생애와 저술 | 2. 리델 하트의 생애와 저술
III. 주요 사상
1. 영국학파의 군사사상 형성 배경 | 2. 풀러의 기계화전 사상 | 3. 리델 하트의 전략사상
IV. 맺음말
1. 풀러와 리델 하트 | 2. 영국학파에 대한 평가와 의미
CHAPTER 8 머핸과 코벳의 해양전략사상 | 김기주(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I. 머리말
II. 사상가 소개
1. 앨프리드 머핸 | 2. 줄리언 코벳
III. 머핸과 코벳의 해양전략사상
1. 머핸의 해양전략사상 | 2. 코벳의 해양전략사상 | 3. 머핸과 코벳의 해양전략사상 비교
IV. 맺음말
CHAPTER 9 항공우주 군사사상 | 강진석(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보학 교수)
I. 머리말
II. 항공 군사사상의 대두와 발전
1. 항공력의 등장과 군사적 가치 인식
2. 주요 사상가 및 이론
(1) 줄리오 두에: 최초의 항공력 이론가, 항공력의 아버지 | (2) 휴 트렌차드: 영국 공군의 아버지 | (3) 윌리엄 “빌리” 미첼: 현대 공군의 아버지
III. 현대 항공우주 군사사상
1. 전장 환경의 변화
(1) 현대 전쟁과 전략적 마비 | (2) 항공우주력의 발전
2. 주요 사상가 및 이론
(1) 알렉산더 세버스키: 미 공군 창설, 전략폭격이론 주창 | (2) 존 보이드: 공중전의 귀재, 의사결정주기이론 창시자 | (3) 존 워든: 전략적 마비, 병행이론 | (4) 데이비드 뎁튤라: 효과기반작전 개념 창시자 | (5) 필립 메일링거: 현대 항공력이론가, ‘현대 항공력의 10대 명제’ 제시
IV. 종합분석 및 평가
1. 항공우주력의 의의
2. 항공우주 군사사상의 핵심 주제
(1) 공중우세 확보 | (2) 항공력의 전략적 활용 | (3) 항공력의 공세적 운용 | (4) 항공력의 경제성과 결정성 | (5) 중심 공격과 전략적 마비 | (6) 기술 우위와 체계 복합성 | (7) 지휘통제의 일원화
V. 결론 및 전망
CHAPTER 10 핵전략 | 고봉준(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교수)
I. 머리말
II. 냉전기 핵전략
1. 대량보복 | 2. 유연반응 | 3. 확증파괴와 억지 | 4. 대군사타격 vs 대가치타격
III. 탈냉전기 핵전략
1. 억지에서 방어로
2. 소극적 안전보장과 선제 사용
3. 비확산
4. 핵군축
IV. 맺음말
CHAPTER 11 마오쩌둥의 전략사상 | 박창희(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I. 머리말
II. 사상가 소개
1. 시대적 배경
2. 마오쩌둥의 유년 및 청년 시절
3. 마오쩌둥 전략의 형성 배경
III. 주요 전략사상과 실제
1. 정치사회적 수준에서의 인민전쟁론
(1) 인민전쟁의 개념 | (2) 인민전쟁전략의 이행
2. 군사적 수준에서의 지구전론
(1) 지구전론의 개념 | (2) 지구전론의 수행
IV. 맺음말
CHAPTER 12 한국의 군사사상 | 노영구(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I. 머리말
II. 한국 고대의 군사사상
1. 고구려 군사사상 및 군사전략의 전개 | 2. 통일신라 시기의 군사사상
III. 고려의 군사사상
1. 고려 전기 거란과의 전쟁과 군사사상 | 2. 고려 후기 몽골과의 전쟁과 군사사상
IV. 조선시대의 군사사상
1. 조선 전기의 전쟁과 군사사상 | 2. 조선 후기의 군사사상
V. 서양 세력의 대두와 근대의 군사사상
1. 서양 세력의 접근과 해안방어론 | 2. 대한제국 시기의 국방정책과 대외전략
VI. 현대의 군사사상
1.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기의 군사노선 | 2. 대한민국 임시정부 후반기의 군사노선과 광복군 창설 | 3. 해방 전후 건군 구상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