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91187942382
· 쪽수 : 235쪽
· 출판일 : 2020-01-0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7
서문 9
1장.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1. 개혁주의의 기본 개념
2. 하나님 중심 사상
3. 성경 중심 사상
4. 교회 중심 사상
2장. 개혁주의와 다른 신학 사상들
1. 개혁주의와 사제주의
2. 개혁주의와 루터주의
3. 개혁주의와 복음주의, 근본주의, 보수주의
3장. 종교개혁과 개혁주의
1. 종교개혁이란 무엇인가?
2. 종교개혁의 전개와 개혁교회의 형성
3. 츠빙글리의 교회개혁
4장. 칼빈의 개혁과 개혁주의
1. 개혁자가 되다
2. 칼빈의 제1차 제네바 개혁기(1536-1538)
3. 스트라스부르크에서의 칼빈(1538-1541)
4. 칼빈의 제2차 제네바 개혁기(1541-1564)
5. 칼빈의 죽음과 개혁신앙의 확산
6. 칼빈의 유산
5장. 개혁주의와 신앙고백
1. 신앙고백의 의미와 필요성
2. 신앙고백에 대한 오해
3. 개혁주의 신앙고백서
6장. 칼빈주의 5대 교리
1. 아르미니우스와 예정론
2. 아르미니우스파의 항의
3. 도르트 회의
4. 칼빈주의 5대 교리: T.U.L.I.P
7장. 개혁주의와 인간의 삶
1. 하나님의 섭리와 역사 현실
2. 개혁주의적 삶
주요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가 ‘개혁주의’라는 말을 쓰고 있지만 이 말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개혁주의라는 말은 사전적 의미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고, 역사적 배경에서 형성된 용어이자 복음에 대한 이해, 사회와 문화에 대한 태도 등을 포괄하는 신학적 용어이기 때문이다. 개혁주의를 문자 그대로 ‘개혁을 통해 발전을 꾀하는 주의’ 정도로 생각한다면 웃음거리가 되고 말 것이다. 개혁주의는 16세기 종교개혁을 통해 대두된 신학적 용어이기 때문에 교회사 전통에서 헤아려 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개혁주의의 고유한 원리나 강조점이 있다면, 바로 ‘하나님 중심 사상’이다. 이 하나님 중심 사상은 개혁주의 사상을 통괄하는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기본 원리라는 말은 개혁주의자들이 믿는 교리의 기본이라는 의미이지만, 동시에 이것이 개혁주의자들의 삶을 지배하고 동기와 방식을 제공하는 원리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러한 하나님 중심 사상이란 곧 창조주 하나님을 믿고, 그분의 주권 아래서 살아가며, 그분의 영광을 위해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가리킨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개혁주의는 루터주의보다 더 철저한 개혁을 단행하여 보다 성경 중심의 교회를 지향했다. 이런 점에서 미국 칼빈신학교 교수였던 클루스터(Fred Klooster)는 개혁주의의 독특성이란 바로 ‘성경적 원리’라고 말한 바 있다. 개혁주의는 성경에 기초하여 신관과 우주관, 신앙관, 그리고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한다. 개혁주의는 성경을 신앙과 생활의 절대적인 그리고 유일한 근거로 삼기 때문에 성경의 권위를 강조한다. ‘성경 중심(Bible-centered)’이라는 말은 오직 성경만이 신앙과 삶의 유일한 규범이라는 점을 잘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