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건강/환경
· ISBN : 979118805376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9-12-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열나는 아이 때문에 걱정하는 엄마, 아빠에게
chapter 1 _ 열이 있어요. 어떻게 할까요?
01 체온을 재는 올바른 방법 14
02 아이가 열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20
03 아이가 열날 때 체크해야 할 증상 25
04 열날 때 체온 재는 간격 28
05 해열제 안 쓰고 열 내리는 방법, 효과 있을까? 31
06 미온수 마사지 바로 알기 34
07 미열이 있어요. 어떻게 할까요? 37
08 열이 39도, 어떻게 대처할까요? 41
09 열이 40도,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44
10 왜 열 조절에 실패할까요? 46
11 급히 병원으로 가야 할 때 51
12 연휴 기간에 아이가 열이 나면 56
13 신생아 열날 때 대처법 61
14 2개월 아기, 해열제 먹여도 될까요? 63
15 예방 접종 후 열날 때 어떻게 할까요? 67
16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72
17 열성 경련, 올바른 대처법 76
18 열성 경련의 재발을 예방하려면 79
19 열꽃일까요? 발진일까요? 81
20 열 있을 때 목욕, 괜찮을까요? 84
chapter 2 _ 해열제에 관한 모든 것
01 열날 때 꼭 해열제를 먹여야 할까요? 88
02 언제 해열제를 먹일까요? 90
03 자는 아이를 깨워서라도 해열제를 먹일까요? 94
04 어떤 해열제를 먹일까요? 96
05 우리 아이에게 맞는 해열제 용량은 99
06 적절한 해열제 복용 간격은 10410
07 해열제 교차 복용, 올바른 방법은 107
08 해열제 과다 복용을 피하는 방법 110
09 해열제를 먹고 토하면 다시 먹여야 할까요? 113
10 해열제가 효과 없을 때 점검할 사항 116
11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38도, 어떻게 할까요? 119
12 열이 떨어져도 처방받은 해열제를 다 먹이나요? 122
13 해열제를 잘못 먹였을 때, 어떻게 대처할까요? 125
chapter 3 _ 아이를 열나게 하는 질환들
01 어떤 병이 아이를 열나게 하나요? 132
Tip 로타바이러스 감염 141
02 이유 없이 열날 때, 의심되는 질환 147
Tip 엔테로바이러스 감염 152
03 이런 질환일 때도 열이 납니다 153
Tip 신생아 패혈증 159
Tip 메르스 160
chapter 4 _ 우리 아이를 괴롭히는 질병 Best 6
01 중이염 164
02 독감 169
03 수족구병 184
04 요로 감염 194
05 가와사키병 198
06 뇌수막염 201
chapter 5 _ 아이가 열날 때 가장 궁금한 질문 27가지
이것만 알아도 걱정 없어요! 212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실 열이 난다는 것은 아이 몸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입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인체의 면역 시스템이 작동하면서 열이 나는 것입니다. 체온이 일정수준 높아지면 세균이나 바이러스 증식이 억제됩니다. 면역 반응으로 인한 발열은 아이들이 흔히 겪는 증상입니다. 대부분 아이들은 감기같이 가벼운 질환 때문에 열이 납니다. 열이 난다고 해서 바로 응급상황이라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뇌수막염이나 요로 감염, 폐렴 같은 질병 역시 열을 일으킨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또 열나는 자체는 병이 낫기 위한 과정이라고 이해하더라도, 심하면 아이가 힘들어할 수 있으니 신경을 써야 합니다. 열에 대한 공포로 그저 ‘해열’에만 급급하다 보면 오히려 아이가 더 고생할 수도 있습니다. 지나친 걱정에 앞서 열에 대해 잘 알아 둔다면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기가 밤에 열나면 때로는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문제는 언제 응급실에 가야 하는지 잘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응급실이 너무 멀어서, 근처 응급실에 소아과 의사가 없어서, 응급실에 갔다가 고생한 경험이 있어서 가기 망설여질 때도 있습니다. 반대로 불안하고 걱정돼서 응급실에 안 가도 되는데 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응급실에 가 봐야 해 주는 게 없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가야 할 때는 가야 합니다
예방 접종이란 아기 몸에 약하게 만든 균이나 바이러스를 집어넣어서 면역이 생기게 하는 방법입니다. 특정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해 항체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줍니다. 그래서 다음에 그 병에 걸렸을 때 아주 약하게 앓고 지나가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방 접종을 하게 되면 아기 몸의 면역계가 활성화됩니다. 적군이 쳐들어와서 군대를 소집하는 셈입니다. 면역계가 활성화되면 면역 반응이란 것이 생깁니다. 바로 이 면역 반응이 접종 후 열이 나는 주원인입니다. 예방 접종 열은 보통 접종 후 24시간 안에 시작합니다. 따라서 24시간이 지난 뒤 열이 시작됐다면 일단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인가 다른 문제가 있지는 않은지 살펴야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