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권은중의 청소년 한국사 특강

권은중의 청소년 한국사 특강

(음식으로 배우는 우리 역사)

권은중 (지은이)
철수와영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권은중의 청소년 한국사 특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권은중의 청소년 한국사 특강 (음식으로 배우는 우리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8821574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6-25

책 소개

선사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한국사를 우리 민족의 음식과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청소년 눈높이에서 쉽게 알려 준다. 음식으로 한국사를 살펴보며, 우리나라 역사 변화의 원동력이 무엇이며 그 힘을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했는지를 보여 준다.

목차

머리말: 음식으로 배우는 맛있는 우리 역사

1부. 선사 시대: 풍요로운 땅, 한반도에 사람이 모이다
1. 갯벌 – 한반도의 기운이 빚어낸 생명의 요람
2. 한반도의 땅과 물 – 기운 넘치는 한반도로 가자
3. 쑥과 마늘 – 우리는 모두 웅녀의 자식이다
4. 국물 – 우리에게는 뜨거운 국물이 있사옵니다

2부. 고대 국가의 형성: 밥상 위에 세워진 나라
1. 쌀 – 고대 국가를 만든 한해살이풀의 열매
2. 쇠 – 풍요와 전쟁의 도구가 되다
3. 닭 – 왜 왕들은 알에서 나왔을까?
4. 나물 – 우리 밥상에 평화를 주다
5. 김치 – 어머니의 지혜가 빚은 마법의 맛

3부. 고려 시대: 문화만큼이나 화려했던 밥상
1. 차茶 – 황제의 나라 고려의 자존심
2. 조기 –휘청거리는 왕권의 상징
3. 청자 –식탁을 넘어 생활을 디자인하다
4. 만두 –우리 밥상에 찾아온 육식 문화
5. 홍어 –피난민의 물고기, 잔치 음식이 되다

4부. 조선 시대: 쌀의 나라, 이념의 나라
1. 쌀 –한 톨의 쌀알에 조선이 담겨 있다
2. 인삼 –고려의 눈물, 조선의 보물이 되다
3. 갈대 –흔들리는 조선 사대부의 양심
4. 고추 –백의민족의 밥상을 붉게 물들이다
5. 탕평채 –조선의 패스트푸드여, 분열을 극복하라!
6. 갈치 –조선 지식인의 매서운 반격
7. 장터 국밥 –되살아난 상업 경제, 조선에 활력을 일으키다

연표
참고 문헌

저자소개

권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겨레》 《문화일보》 등에서 기자로 20여 년 일하다 50세에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의 ‘외국인을 위한 이탈리아 요리학교(ICIF)’에 유학을 다녀왔다. 요리를 하기 전에는 주로 화이트와인만 마셨다. 가성비가 떨어지는 레드와인이 맛보다는 남과 구별 짓는 ‘연성 권력’쯤으로 여겼던 탓이다. 하지만 요리 유학을 가서 생각을 바꾸었다. 15년 숙성된 발로 와인의 실크빛 질감과 피에몬테식 파스타인 타야린이 이룬 조화를 맛본 뒤 와인과 음식은 하나라는 급진적인 사고에 빠져들었다. 귀국해 와인 수입 법인을 설립하고 와인과 서양 음식은 물론 편의점 삼각김밥을 비롯한 우리 음식과 와인의 마리아주를 연구해왔다. 《한겨레》 《경향신문》 〈연합뉴스〉 《농민신문》 등에 음식과 역사를 다룬 인문학적 칼럼을 써왔고, 롯데백화점과 현대백화점 문화센터에서 와인 강연을 해왔다. 앞으로 우리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이탈리아 와인 수입과 이탈리아 와이너리 투어 관광 프로그램을 만들 계획이며, 와인과 음식의 페어링을 전문으로 하는 랩 레스토랑도 꿈꾸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독학파스타》 《볼로냐 붉은 길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음식경제사》 《파스타에서 이탈리아를 맛보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에는 무려 1만 2000년 전부터 쌀을 먹은 흔적이 있습니다. 연구에 의하면 신석기 시대부터 농업을 시작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조·수수·보리 등 거친 곡식을 키우다가 먹기 부드러운 벼를 키운 것으로 추측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대 국가가 성립된 이후 1970년대까지 오랫동안 배불리 먹지 못했습니다. 이유는 자연이 아닌 ‘사람’ 때문입니다. 잦은 외침과 지배 세력의 수탈로 농민들이 자신의 손으로 일군 곡식 대부분을 이곳저곳에 빼앗겼던 탓입니다. 서양도 중세 때까지 사정은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