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91188285976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1-09-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반성 20
1장. 지금-여기, 정의당
조국, 그리고 정의당 28
586세대가 만든 오늘의 불평등 35
나는 왜 정의당이어야 하는가 41
정의당의 위기 49
정의당 바깥은 겨울 56
정의당과 젠더 59
2장. 청년 정치의 힘
류호정과 장혜영 70
이준석의 공정 담론 75
청년정의당의 길 80
청년당과 기후 위기 85
청년, 이정미 정치의 출발점 93
3장. 외로움, 진보 정치의 과제
내가 만약 외로울 때면 누가 위로해주지? 104
‘좋아요’, 외로움의 또 다른 이름 109
공동체와 시민사회가 만드는 새로운 연결 115
연결, 참여자들의 공동 책임 120
4장. 차가운 복지, 배제된 시민들
소리 없이 서로를 보듬는 사람들 128
표면적 행정 복지의 폐해 132
복지의 양적 경쟁을 멈추자 137
수치와 통계 바깥의 사람들 139
5장. 외로움 없는 따뜻한 돌봄 국가
1인분의 삶 144
돌봄의 시간 148
환경 돌봄과 정의로운 전환 156
디지털 사회의 사람 돌봄 160
돌봄, 녹색, 지역이 만들어내는 참여소득 168
양적 성장론은 필요하지 않다 174
복지국가에서 돌봄 국가로 가는 10년 176
나가며 – 다짐 184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 혹독한 시간 속에서 정의당을 돌아보았다. 수많은 일을 겪었지만, 모든 갈등이나 문제가 제대로 해결됐다고 말할 수 없었다. 무엇을 반성해야 했고, 또 반성해야 하나. 하나씩 되짚어보기로 했다. 코로나19라는 아주 작은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세상 곳곳에 숨겨진 모든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듯이 김종철 대표 사퇴 후의 시간은 정의당의 모든 문제점을 동시다발적으로 되짚게 만든 시간이었다. 정의당이 본격적으로 흔들리던 때는 언제부터였을까. 시계는 ‘조국 사태’가 휩쓸던 2019년으로 돌아갔다.
정치의 신뢰는 ‘일관성’에서 온다. 아무리 어려운 처지에 놓이더라도 국민들에게 약속했던 가치와 방향성을 놓지 않으려고 애써야 한다. 앞의 말과 태도와 뒤의 말과 태도가 같은지 다른지, 국민들은 다 지켜보고 있다. 그리고 냉정하게 심판한다. 정의당은 그 잣대 앞에 더 엄격해질 수밖에 없다. 조국이라는 길고 위태로운 터널을 지나오며 많은 것을 되돌아보았다. 정의당의 원칙과 가치는 무엇인가, 정의당의 존재 이유를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