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강창일, 격정 55년

강창일, 격정 55년

(조작된 정치범의 시대증언록)

강창일 (지은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강창일, 격정 55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강창일, 격정 55년 (조작된 정치범의 시대증언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91188339976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4-01-05

책 소개

역사학자이자 정치인인 강창일의 인생 역정을 엮은 책이다. 격동기인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한국 사회의 참모습은 어떠한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그리고 한 개인의 삶이 어떻게 국가권력에 의해 굴절되고 적응해나가는가 하는 것을, 저자의 경험을 통해 증언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제주 섬에서 나고 자라다
제2장 서울에서 대학 생활
제3장 조작된 정치범 - 시련의 시작
제4장 도쿄대학에서 유학 생활
제5장 귀국과 배재대학교 교수
제6장 제주‘4·3’운동 - 진실을 밝히자
제7장 국회의원(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제8장 주일본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참고 자료 1 한겨레신문, 대사 부임 인터뷰 _ 355
참고 자료 2 일본 언론인 단체 ‘9월회’ 발표문 _ 366
참고 자료 3 귀국 직후, 중앙일보 인터뷰 _ 372
참고 자료 4 중앙일보 인터뷰, 한·일관계 전망 _ 376

주요 이력 _ 381
주요 논저 _ 385
한국인 인명색인 _ 389

저자소개

강창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제주도 출생 1964년 고산초등학교 졸업 1970년 제주 오현중·고등학교 졸업 1969년 9월 19일(오현고 3학년) ‘3선 개헌’ 반대 데모를 주동하여 대통령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 광주가정법원 송치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사학과 입학 1972년 서울대학교 제주학우회 회장 1973년 재경오현학우회 회장 1973년 육군 학군단(ROTC) 입단(제13기) 1974년 4학년 재학 중, 유신헌법 철폐를 위한 학생운동(‘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 비상고등군법회의에서 10년형 언도 1975년 2월 15일 형집행정지로 순천형무소에서 석방 1976년 아세아문화사 편집부장(~1980년) 1979년 12월 사면·복권 1981년 2월 서울대 졸업 1985년 4월 東京大學 大學院 人文社會系硏究科 東洋史學專攻 석사과정 1987년 4월 동 박사과정(~1991년) 1988년 4월 도쿄에서 <‘4·3’ 진상규명 심포지엄> 주도 1989년 정윤형·현기영·김명식·고희범 등과 제주4·3연구소를 창립 1991년 배재대학교 교수 임용 1995년 제주4·3연구소 소장 취임(~2003년) 1997년 도쿄대학 문학부 조선사 연구과 객원연구원(~1998년 4월) 1998년 동아시아 평화·인권 한국위원회 사무국장 겸 운영위원장 1998년 8월 <제주 4·3 40주년 기념―동아시아 평화인권 국제학술대회> 개최 1999년 재단법인 5·18 기념재단 이사(~2004년) 1999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2000년) 1999년 12월 ‘제주 4·3’ 특별법 쟁취 2000년 1월 11일 청와대에서 ‘4·3’ 특별법 서명식에 참석 2000년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운영위원장 2001년 국무총리실 <제주 4·3사건 진상규명보고서 기획단> 간사(단장 박원순) 2001년 <제주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연대회의> 상임대표 2001년 <일본교과서 바로잡기 운동본부> 운영위원장 2001년 한일 양국의 합의에 의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2003년 배재대학교 교무처장 2003년 도쿄대학 문학박사 취득 2004년 4월 제17대 국회의원 당선으로 배재대학교 휴직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당선 이후 4선(제17, 18, 19, 20대) 국회를 그만두고 나서 2020년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2020년 국회 한일의원연맹 명예회장 2020년 국회 정각회 명예회장 2020년 몽양여운형기념사업회 이사장 2021년 1월 주일본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발령 2023년 9월 일본 천황의 욱일장대수장(旭日章大綬章) 수상 현재(2023년 10월)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제주와미래연구원 상임고문 조계종 미래본부 <천년을 세우다> 정책자문역 한·일평화포럼 상임대표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구소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전통문화특별위원회 고문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 자문위원 헌정회 이사 몽양여운형기념사업회 고문 및 이사 정각회 고문 한일의원연맹 고문 역사디자인연구소 상임고문
펼치기

책속에서

인간이 쉽게 타자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사물과 현상 모든 것에 자신의 삶을 투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스스로 만든 섬 속에서 뭍을 꿈꾸며 살아간다. 나 역시 지금도 평생 섬에서 살고 있는지 모른다. 그리고 섬이라는 분절된 사고에서 벗어나고자 평생을 힘겹게 싸워왔는지도 모르겠다. 섬과 뭍을 초월한 진정한 자유인. 내가 꿈꾸는 이상이다.


제주 오현고등학교 학생들이 데모했다는 기사가 중앙일간지에도 실렸다. 광주일고와 더불어 전국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고등학생들의 시위였다. 그로 인해 당시 제주 경찰국장이 경질됐고 교육감도 몇 개월 후에 사임했으며, 한동안 오현학원은 재단 파동으로 몸살을 앓았다. 제주도 사회가 발칵 뒤집힌 유명사건이 된 것이다.


그날 모인 사람들은 일단 “좋다, ‘4·3’을 다뤄보자”라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뒤 헤어졌다. 그런데 며칠 사이에 선배들이 무슨 이야기를 들었는지 “‘4·3’은 안 된다”라며 실태조사 연구를 강하게 반대했다. 의견이 분분했다. 결국 시국도 그러하니 다른 주제를 찾기로 했다. 어렵게 다시 동의를 얻어 낸 것이 바로 <제주 할망당 본풀이 조사>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