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제식민통치연구 1

일제식민통치연구 1 (1905-1919)

(한국현대사의 재인식 14)

강창일, 도면회, 이윤상, 김익한, 임경석 (지은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엮은이)
백산서당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일제식민통치연구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제식민통치연구 1 (1905-1919) (한국현대사의 재인식 14)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3272204
· 쪽수 : 262쪽
· 출판일 : 1999-11-30

목차

발간사

일제 식민통치기구의 초기 형성과정 - 1905~1910년을 중심으로 / 도면회

1. 머리말
2. 대내적 이중권력기(1905~1907)
3. 통치기구의 완전장악과 한국의 식민지화(1907~1910)
4. 맺음말

일제초기 식민통치의 전략과 내용 - 조선지배의 원리와 관련하여 / 강창일

머리말
1. 일본의 조선침략
2. 일본의 조선침략론
3. 조선지배의 원리와 정책
4. 식민지 초기 조선총독의 지위와 권력
5. 식민지 초기의 통치구조
맺음말

초기 식민통치의 경제정책과 그 결과 - 통감부시기의 재정정책을 중심으로 / 이윤상

1. 머리말
2. 일제의 재정제도 이식과 재정기구 장악
3. 통감부시기의 세입.세출 예산
4. 한국인의 저항과 일제의 대응책
5. 맺음말

일제의 초기 식민통치와 사회구조변화 - 김익한

1. 머리말
2. 강점 직전 농촌사회의 구조
3. 지방관관제, 면에 관한 규정과 강점 초기의 제도정비
4. 행정구획 통폐합 조치와 면행정
5. 면제의 시행
6. 맺음말

3.1운동과 일제의 조선지배정책의 변화 - 만세시위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응방식을중심으로 / 임경석

1. 머리말
2. 만세시위운동과 무력탄압
3. 일제의 사상적 대응
4. 맺음말

저자소개

강창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제주도 출생 1964년 고산초등학교 졸업 1970년 제주 오현중·고등학교 졸업 1969년 9월 19일(오현고 3학년) ‘3선 개헌’ 반대 데모를 주동하여 대통령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 광주가정법원 송치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사학과 입학 1972년 서울대학교 제주학우회 회장 1973년 재경오현학우회 회장 1973년 육군 학군단(ROTC) 입단(제13기) 1974년 4학년 재학 중, 유신헌법 철폐를 위한 학생운동(‘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 비상고등군법회의에서 10년형 언도 1975년 2월 15일 형집행정지로 순천형무소에서 석방 1976년 아세아문화사 편집부장(~1980년) 1979년 12월 사면·복권 1981년 2월 서울대 졸업 1985년 4월 東京大學 大學院 人文社會系硏究科 東洋史學專攻 석사과정 1987년 4월 동 박사과정(~1991년) 1988년 4월 도쿄에서 <‘4·3’ 진상규명 심포지엄> 주도 1989년 정윤형·현기영·김명식·고희범 등과 제주4·3연구소를 창립 1991년 배재대학교 교수 임용 1995년 제주4·3연구소 소장 취임(~2003년) 1997년 도쿄대학 문학부 조선사 연구과 객원연구원(~1998년 4월) 1998년 동아시아 평화·인권 한국위원회 사무국장 겸 운영위원장 1998년 8월 <제주 4·3 40주년 기념―동아시아 평화인권 국제학술대회> 개최 1999년 재단법인 5·18 기념재단 이사(~2004년) 1999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2000년) 1999년 12월 ‘제주 4·3’ 특별법 쟁취 2000년 1월 11일 청와대에서 ‘4·3’ 특별법 서명식에 참석 2000년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운영위원장 2001년 국무총리실 <제주 4·3사건 진상규명보고서 기획단> 간사(단장 박원순) 2001년 <제주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연대회의> 상임대표 2001년 <일본교과서 바로잡기 운동본부> 운영위원장 2001년 한일 양국의 합의에 의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2003년 배재대학교 교무처장 2003년 도쿄대학 문학박사 취득 2004년 4월 제17대 국회의원 당선으로 배재대학교 휴직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당선 이후 4선(제17, 18, 19, 20대) 국회를 그만두고 나서 2020년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2020년 국회 한일의원연맹 명예회장 2020년 국회 정각회 명예회장 2020년 몽양여운형기념사업회 이사장 2021년 1월 주일본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발령 2023년 9월 일본 천황의 욱일장대수장(旭日章大綬章) 수상 현재(2023년 10월)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제주와미래연구원 상임고문 조계종 미래본부 <천년을 세우다> 정책자문역 한·일평화포럼 상임대표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구소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전통문화특별위원회 고문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 자문위원 헌정회 이사 몽양여운형기념사업회 고문 및 이사 정각회 고문 한일의원연맹 고문 역사디자인연구소 상임고문
펼치기
도면회 (감수)    정보 더보기
1960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 규장각 특별연구원을 거쳐 2002년 이래 대전대학교 혜화리버럴아츠칼리지 역사문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한제국기 화폐제도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고 형사재판제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원인, 한국의 근대 문화 변용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근대 역사학 성립부터 1960년대 역사학까지 연구하여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단독 저서로 ��한국 근대 형사재판제도사��(푸른역사), 번역서로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역서, 삼인), 공저로 ��한국근대사 1��(푸른역사), ��역사학의 세기��(휴머니스트),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휴머니스트)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윤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근대사를 전공하였으며 현재 대한제국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위하여 당시 고종의 역할과 정책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대한제국기 농민운동의 성격>(<<1894년 농민전쟁연구 2>>, 역사비평사), <한국근대사에서 개항의 역사적 위치>((<<역사와현실>>9, 한국역사연구회, 1993), <통감부시기 일제의 한국재정침탈>(<<숙명한국사론>>2, 1996), <대한제국기 황제 주도의 재정운영>(<<역사와 현실>>26, 한국역사연구회, 1997)등이 있다.
펼치기
김익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민국 제1호 기록학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교 대학원에서 역사학을 전공했다. 국내 최초의 기록학 전문대학원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을 설립하고, 한국기록학회장과 한국국가기록연구원장을 역임하며 국가기록관리 제도의 근간을 마련했다. 2020년 이후부터는 국가 기록을 넘어 개인 기록의 중요성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교육과 컨설팅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유튜브 채널 <김교수의 세 가지>를 운영하며 38만 명의 구독자와 소통하는 인기 크리에이터이자, 이타적 자기계발을 선도하는 교육 컨설턴트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10만 베스트셀러 『거인의 노트』를 비롯해 『파서블』, 『마인드 박스』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깊은 통찰과 실질적인 변화를 제안하고 있다. (주)문화제작소가능성들의 대표이사로서 자기계발 교육 프로그램인 <아이캔대학>과 <아이캔ITAI대학>을 운영하며, 기록이라는 멋진 무기를 활용해 개인이 원하는 성장과 성공에 이르는 길을 전파하고 있다.
펼치기
임경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한국근대사 전공.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구 코민테른 문서보관소의 한국 관련 자료와 조선총독부 고등경찰 기록을 비교․검토하는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2003), 《이정 박헌영 일대기》(2004),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2008), 《모스크바 밀사》(2012), 《독립운동 열전》(전2권,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3277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