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9118835241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05-21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사보나롤라
1장 허영의 소각
2장 가짜 예언자
3장 세계의 종말
4장 신비로운 탄생
5장 마지막 성체배령
제2부 멜랑콜리아
6장 일 마니피코
7장 카레지의 아카데미아
8장 판의 향연
9장 사성론
10장 생각하는 사람
제3부 사랑과 아름다움
11장 삼미신
12장 정절, 사랑, 아름다움
13장 큐피드
14장 우주적 옥타브
15장 서풍과의 만남
16장 생명 부활의 제의
제4부 두 명의 비너스
17장 비너스의 탄생
18장 성애와 속애
19장 기사의 꿈
20장 여신과 매춘부
제5부 신들의 축제
21장 파르나소스
22장 순결과 애욕의 싸움
23장 결혼기념화
24장 신들의 축제
25장 바카날레
26장 비너스의 예배
초판 후기
문고판 후기
개정판 후기
도판목록
참고문헌
인명색인
책속에서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이탈리아의 도시 중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에 르네상스 문예의 꽃을 피우고 여러 천재를 배출한 피렌체에서, 대대로 전해 내려온 귀중한 유산과 당대에 만든 수많은 걸작을 이처럼 몽땅 태워버리는 무지막지한 짓을 기뻐하며 행했던 건 도대체 무엇 때문이었을까?
중세로부터 르네상스에 걸친 역사적 전환기인 15세기 말에 피렌체 시민들이야말로 오비디우스의 시와 보티첼리가 그린 나체의 아름다움을 진정으로 만끽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들이었다. 당시 이탈리아에서, 아니 유럽 모든 도시 중에서 ‘예술의 도시’라는 명칭에 걸맞은 도시는 피렌체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찬란한 예술애호의 도시 피렌체에서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끔찍한 예술파괴운동이 일어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과연 그 사건은 사보나롤라라는 수도사의 변설만으로 초래된 것이었을까?
베런슨이 언급한 대로 판을 비롯한 ‘알몸의 신들’은 바사리가 말한 ‘강건한 화법’으로 마치 구리로 만들어진 것처럼 훌륭한데, 르네상스 미술에서 이만큼 뛰어난 나체 표현이 나오려면 미켈란젤로가 등장하기를 기다려야 한다. 시뇨렐리는 뒤에 오르비에토 대성당에 그린 〈세계의 종말〉 연작에서 나체를 다루는 뛰어난 솜씨를 한껏 보여주지만, 이보다 앞서 뮌헨 회화관에 있는 〈성모자〉의 배경이나 〈판의 향연〉과 같이 로렌초를 위해 그려진, 우피치 미술관에 있는 또 다른 ‘성모자’의 배경에 역시 이 이교적인 나체상이 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우피치 미술관에 있는 미켈란젤로의 〈도니가의 성가족〉의 배경에서 ‘율법 이전의 세계’를 나타내는 나체 군상까지 계승되어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