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88754113
· 쪽수 : 674쪽
· 출판일 : 2019-02-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워런 버핏은 이미 알고 있었다 _ 홍춘욱
역자 서문 | 버핏이 직접 쓴 ‘워런 버핏 책’은? _ 이건
서문 | 주주총회에서 듣는 버핏과 멍거의 이야기 _ 대니얼 피컷
1986년 거시 경제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1987년 근사한 그래프의 유혹
1988년 터무니없는 지수 옵션
1989년 과거 사례만 공부해서는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1990년 전문가에게만 유효한 담배꽁초 투자
1991년 주가가 오르면 우울합니다
1992년 높은 수익률을 유지할 방법은 이제 없습니다
1993년 평생 8~10개 기업에만 투자해도 충분합니다
1994년 효율적인 비상장 회사 거래 시장
1995년 회계가 복잡한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습니다
1996년 내재 가치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한 것
1997년 변동성은 위험이 아닙니다
1998년 잘 모르는 기업에는 투자 않으면 그만입니다
1999년 플로트에 좌우되는 기업의 성장
2000년 가치투자는 좋은 주식을 끈질기게 보유하는 것입니다
2001년 고평가 종목 배후의 대개 작전 세력
2002년 공매도는 위험합니다
2003년 아무 의미 없는 애널리스트 보고서
2004년 시장 예측은 미친 짓입니다
2005년 기업 평가 척도는 가격 결정력
2006년 소규모 투자조합을 시작한다면 한국에 100% 투자하겠습니다
2007년 원자재보다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008년 비전문가를 위한 인덱스 펀드
2009년 어제 치른 가격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2010년 주가는 주식의 가치에 대해 아무 것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2011년 주식 투자는 최선의 선택
2012년 신규 상장 주식에는 투자하지 않습니다
2013년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4~5회의 투자 기회
2014년 수익보다 중요한 마음의 평화
2015년 생각만큼 쉽지 않은 가치투자
부록
2016년 주가를 5년 동안 확인하지 마십시오
2017년 가장 좋은 해자는 경쟁력 우위
2018년 | 주주는 동업자입니다
감수 후기 | 버핏과 멍거가 함께 진행한 ‘투자 특강’ _ 신진오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Q 4. 지수 옵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버핏: 언제든 두 상품을 연계할 때 차익 거래가 일어납니다. 자본주의에서 차익 거래는 필요하고도 유익한 기능입니다.
멍거: 문제는 ‘지수 옵션 같은 파생 상품도 필요한가?’입니다. 지수 옵션은 터무니없는 발상입니다.
버핏: 다음과 같은 상상을 해봅시다. 버크셔 주주 총회가 진행되던 유람선이 폭풍에 휩쓸려 무인도에 난파했고, 내가 사태 수습을 책임지는 관리자로 선출되었다고 가정합시다. 나는 주주 절반에게 농사를 짓게 하고, 일부는 오두막을 짓게 하며, 창의적인 몇몇 사람에게는 장래에 대비해 기술을 개발하고 도구를 만들게 할 것입니다. 만일 내가 IQ 테스트를 해서 가장 똑똑한 사람 30~40명을 선발해 단말기를 하나씩 지급하고 나중에 섬에서 생산될 식량에 대해 선물 거래를 하게 한다면 어떨까요? 당연히 터무니없는 짓이지요.
(1988년)
Q 8. 당신은 성장 투자와 가치투자를 어떻게 구분하나요?
버핏: 성장 투자와 가치투자를 구분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모든 투자는 가치투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장래에 더 많이 얻으려 하는 투자이니까요. 내재 가치는 기업이 마지막 날까지 창출하는 현금흐름을 적정 금리로 할인한 현재 가치입니다. 내재 가치를 계산하려면 1)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해서 2) 적정 금리로 할인해야 합니다.
기업의 성장은 내재 가치를 높일 수도 있고 낮출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70년대의 전력회사는 성장을 위해 자본을 투자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수익률이 낮아졌습니다.
미국 항공사의 성장은 투자자에게 사형 선고가 되었습니다. 라이트 형제가 최초로 비행에 성공한 이후 항공사는 해마다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그러한데도 항공사는 투자자에게 해마다 더 많은 돈을 요구해왔습니다. 투자자는 계속 돈을 요구하는 기업이 아니라 돈을 벌어주는 기업을 찾아내야 합니다.
멍거: 항공사를 분석해보면, 고정비가 높은 동질재 산업에서 경쟁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버핏: BPS는 내재 가치 평가에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BPS는 기업에 이미 투입된 비용을 기록한 숫자에 불과하니까요. 내재 가치 평가의 핵심은 그 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이 얼마인지 알아내는 것입니다.
투자는 이표에 금리가 적히지 않은 영구채를 사는 것과 같습니다. 이표 금리는 우리가 적어 넣어야 하며, 이 금리가 정확해야 현명한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표 금리를 도무지 추정할 수 없다면, 그러한 기업에는 투자하면 안 됩니다.
(1992년)
Q 2. 자산의 내재 가치는 어떻게 평가하나요?
버핏: 자산의 내재 가치는, 그 자산에서 창출되는 미래 현금흐름을 적정 금리로 할인한 현재 가치와 같습니다. 대부분 현금흐름에 적용되는 적정 할인율은 장기 국채 수익률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업의 현금흐름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그 대가로 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멍거: 애널리스트는 현금흐름을 예측하려고 방대한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지만(IQ가 높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살펴보지만) 시간 낭비에 불과합니다. 진정한 투자는 패리 뮤추얼 베팅(Pari-Mutuel Betting: 수수료를 공제하고 판돈을 승자에게 모두 배분하는 내기)에서, 예컨대 확률은 50%인데 배당은 3배인 곳에 돈을 거는 것과 같습니다. 가치투자는 ‘가격이 잘못 매겨진 도박mispriced gamble’을 찾아내는 행위입니다.
버핏: 우리가 경마장의 말을 모두 평가하려 한다면 아무런 우위도 확보하지 못할 것입니다. 평가 대상을 잘 선택해야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과거 통계나 공식에 의존하면, 실적은 화려하지만 곧 아교 공장에 팔려갈 늙은 말에 돈을 걸기 쉽습니다.
(199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