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공학일반
· ISBN : 9791188774159
· 쪽수 : 646쪽
· 출판일 : 2024-05-27
책 소개
목차
1장. 서비스 플랫폼 산업 현황
1. 개요
1) 일반적 개념
(1) 개념
(2) 필요성/시급성
2) 구축 범위
(1) 산업특징 및 구조
(2) 대표적 분류 기준
(3) 기술로드맵 전략분야 특정
2. 환경 분석
1) 정책동향
(1) 주요국 정책동향
(a) 미국
(b) EU
(c)일본
(d) 중국
(2) 국내 정책동향
2) 산업 여건 및 시장 현황
(1) 국내 산업 여건
가.서비스 제공 현황
(b) 재무‧인력 현황
(c) 연구개발 및 기술 현황
(d) 시장 및 경쟁 현황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주요 업체 동향
가. 해외 업체
(a) SW/미디어 서비스플랫폼
(b) 비대면 서비스플랫폼
(c) 유통 및 금융 서비스플랫폼
(d) 모빌리티 서비스플랫폼
나. 국내 업체
다. 국내 스타트업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1) 기술개발 동향
가. SW/미디어 서비스플랫폼
나. 비대면 서비스플랫폼
다. 콘텐츠 서비스플랫폼
라. IoT 기반 서비스플랫폼
마. 증강현실 서비스 플랫폼
(2) 중소기업 R&D 투자현황 및 수급계획
(3) 표준화(규제) 동향
가. 표준화
나. 규제 동향
4) 환경분석 종합
3. 품목 로드맵
1) 폼목 로드맵 구축 개요
(1) 구축 절차 및 방법론
(2) 전략품목 개편 대상
2) 품목 후보군 도출 및 선정
(1) 품목 후보군 도출
(2) 전략품목 선정
2) 전략품목 로드맵 구축
2장. 서비스 플랫폼별 산업 현황
1. 일자리 맞춤형 AI 매칭 플랫폼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개념
(2)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2) 용도별 분류
가. 수행방식에 따른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1) 현황
(2)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1) 현황
가. 매칭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능형 매칭 알고리즘의 진화
나. 전문인력 인증 기술
(2) 주요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기업
나. 국내 기업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 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기술 로드맵 구축 개요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a) 핵심기술 선정 과정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2. 디지털 업무공간(DWP) 플랫폼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개념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a) 디지털 기반의 운영 모델 및 비즈니스 모델로의 전환
(b) 다양한 형태로 분화하는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a) 5G 통신기술과 텔레프레즌스를 결합한 홀로그램 텔레프레즌스
(b) 멀티 클라우드 가상 인프라 구축 자동화(Infrastructure as Code; IaC)
(c) 제로트러스트 기반의 보안 모델
(d) 언택트 시대에 따른 디지털 업무공간 플랫폼 활용 증가로 인한 음성 제어 기술 개발 필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기술 로드맵 구축 개요
(2)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선정 과정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 LLM 기반 AI 콜센터 플랫폼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개념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기술 로드맵 구축 개요
(2)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선정 과정
(2)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4. 핀테크 서비스 플랫폼
1) 개요
(1) 개념 및 필요성
가. 개념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현황
(a) 금융플랫폼의 수익 모델 및 서비스 성격의 혁신적인 변화
(b) 정책규제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산업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금융플랫폼의 구조적인 혁신
나.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제공을 최우선 하는 방향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증가율 분석
나. 기술경쟁력 및 기술수명측정
다. 특허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 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기술 로드맵 구축 개요
(2)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기술 선정
다. 핵심기술 선정 과정
(3) 기술 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장.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동향
1. 블록체인·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플랫폼
1) 메타버스 패션쇼 플랫폼 내부 주문생산 AI 공정모델링
(1) 서론
(2) 메타버스 디지털 패션 선행연구
가. 메타버스와 디지털 패션 상호작용
나. 디지털 패션과 아바타 생성기술
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패션
(3) 패션디자인 AI 공정솔루션 기획 및 설계
가. 패션디자인 AI 공정솔루션 고려사항
나. 패션 AI 공정솔루션 데이터 설계
다. 패션 AI 공정솔루션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4) 생성형 AI를 활용한 패션디자인과 AI 공정솔루션
가. 생성형 AI를 활용한 맞춤형 패션디자인 생성
나. 패션디자인 통합 AI공정솔루션 모델링 확장 설계
다. 메타버스 패션쇼를 기반으로 한 패턴 디자인 인사이트 매칭
(5) 결론
2) 특허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기술 동향 연구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가. 연구체계
나. 특허데이터 수집과 분석 대상
다. 데이터 전처리와 키워드 추출
라. ARIMA를 통한 시계열 분석
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4) 연구 결과
가. 특허의 현황
나. 시계열 분석 결과
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5) 결론
3) 블록체인 기반 분산환경 상에서의 신원인증 기술동향
(1) 서론
(2) 디지털 신원확인
가. 디지털 ID
나. 디지털 신원확인
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확인
(3)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기술
가. DID 인증의 주요 특징
나. DID 시스템 구조
(4) 국내외 DID 동향
가.. 국내외 동향
나. W3C DIDs 표준
다. DID 프레임워크 현황
(5) DID 보안 위협 분석 및 동향
가. 블록체인 기반 신원확인 서비스 분석
나. 보안가이드/표준화 동향
(4) 결 론
4) 블록체인 기반 IoV 보안 기술 동향 연구 분석 및 고찰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스마트시티 (Smart City)
나. Internet of Vehicles (IoV)
다. 블록체인 (Blockchain)
(3) 블록체인 기반 IoV 보안 기술 연구
(4) 결론 및 고찰
5) 웹 3.0 시대 환경 변화에 따른 차세대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1) 서론
(2) 스토리지 활용 현황
가. 기존 스토리지 사용 현황
나.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3) BTFS 개요 및 현황
가. BTFS 기술 개념
나. Bit Torrent 프로세스
다. BTFS 구조분석
(a) 파일공유를 통한 BTT 획득
라. BTFS 특징 및 장점
(4)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 비교
(5) BTFS 기술과 보안문제
(6) 결론
6) 블록체인 기반 NFT 서비스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1) 서론
(2) 관련 연구
(3) NFT 서비스 효율적 운영 방안
가. NFT를 위한 블록체인 인프라
나. 스마트 계약 최적화
다. 상호 운용성 및 크로스체인 기능
라. 규정 준수 및 소비자 보호
마. 환경 고려 사항 및 솔루션
(4) 토 론
(5) 결 론
7) 블록체인 탈중앙화 거래소 DEX의 취약점과 MEV 공격 기법 분석
(1) 서론
(2) 블록체인과 DeFi & DEX
가. 블록체인(Blockchain)
나. 탈중앙화 금융과 탈중앙화 거래소
(3) 탈중앙화 거래소의 취약점과 공격유형 분석
가. 블록체인의 구조적 취약점과 공격유형
나. 탈중앙화 거래소의 구조적 취약점과 공격유형
(4) 결론
8)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탈중앙화 신원 인증 시스템 구축
(1) 서론
(2) 연구배경 및 관련연구
가. 탈중앙화 신원 인증(DID)
나. 탈중앙화 신원 인증 사례
(3)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탈중앙화 신원 인증 시스템
가. 전체 시스템 구성본
나. 사용자 ID 생성(등록)
다. 사용자 ID 조회(검증)
라. 성능평가
(4) 결론 및 향후 과제
9) 블록체인 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의 기술 동향 분석
(1) 서론
(2) 블록체인 스케일링의 기본 이해
가. Layer 1 스케일링 솔루션의 개요
나. 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의 등장 배경
(3) 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의 분석
가. 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의 개념 및 유형
(a) 스테이트 채널의 구조 및 특징
(b) 사이드 체인의 구조 및 특징
(c) 롤업 기술의 구조 및 특징
나. 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 간의 비교 및 분석
(4) 현재와 미래의 활용 사례
가. 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의 현재 적용 사례
(a) 스테이트 채널: 라이트닝 네트워크
(b) 사이드 체인: 폴리곤 (Matic)
(c) 롤업: 옵티미스틱 롤업과 영지식 증명 롤업
나. 향후 발전 가능성 및 시사점
(a) 스테이트 채널
(b) 사이드 체인
(c) 롤업
(5) 결론
10) NFT 서비스 제공자 보안 수준 점검 항목 중요도 분석을 통한 보안 위협 대응
(1) 서론
(2) 관련 이론 및 연구
가. NFT NFT(Non-Fungible Token)관련
나. NFT 보안 위협
다. 국내외 법률
라. 규정의 준수
마. 계층 분석 기법
바. 관련 연구
(3) 연구모형
가. NFT 점검 항목 도출
나. 연구 모델
다. 연구 방법
(a) 방법 및 표본 특성
(b) AHP 절차
(4) 실증 결과
(5) 결론
11) 블록체인기반 다량의 NFT 민팅에 대한 연구
(1) 서론
(2) Preliminaries
가. Metaverse Platforms for Metacommerce
나. FT and NFT Coins
(3) The Proposed Scheme
가. Creating NFT Content (based Image)
나. NFT content creation path setting
다. Compile Content Creation for NFT Indexing
라. Register on trading Site for Mintting
(4) 실험 및 분석
(5) 결론
12)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 NFT 를 활용한 전자 헌혈증 시스템
(1) 서론
(2) 본론
가. 제안 시스템
나. 주요 기능
(3) 결론
13) NFT 기술 기반의 BIM 공유모델 개발
(1) 서론
가. 연구방법 및 범위
(2) NFT와 BIM
가. BIM 라이브러리와 NFT 기술
(a) BIM 라이브러리의 특성 및 활용현황
(b) NFT (Non-Fungible Token)
나. 공유 모델
(a) BIM 라이브러리 공유를 위한 절차 분석
(3) NFT-BIM 연계를 위한 요구사항
가. NFT의 기술적/제도적 문제의 해결
나. 시스템 설계 요구사항의 충족
(a)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b) 워터마크 (Watermark)
(4) 시스템 구현
(5) 결론
14) 블록체인 플랫폼과 IoT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에 관한 연구
(1) 서론
(2) 본론
(3) 결론
15)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플랫폼상의 국내 조각투자에 관한 사례연구
(1) 서론
(2) 본론
가. 블록체인의 개념 및 특징
나. 블록체인의 연구 동향 및 구현 사례
(3) 블록체인 추진 현황
가. 블록체인 기술 관련 정부 추진 과제
나. 블록체인 기술 관련 추가 연구 동향
(2) 블록체인 기반의 조각투자
가. 조각투자의 정의
나. 조각투자 플랫폼의 IT 기반구조
다. 국내 조각투자의 사례 비교
(a) 부동산
(b) 미술품
(c) 한우
(d) 시계, 와인 및 자동차 등
라. 조각투자의 보완점
(a) 법제도적 측면
(5) 결 론
가. 연구결과 및 시사점
나.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6) 블록체인 기반 분산 메신저 시스템
(1) 서론
(2) 블록체인 기반 분산 메신저 시스템
다. 주요기능
(a) 휘발성 메시지 기능
(3) 결론
17) 블록체인 기반 P2P 채팅 서비스 아키텍처 및 구현
(1) 서론
(2) 본론
가. Background
(a) Ethereum
(b) P2P(Peer-to-Peer)
(c)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나. System Design
(a) Smart Contract
(b) WebRTC
(c) Storage
(3) 구현
가. Experiment Environment
(4)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18) 블록체인 기반 의료서비스 설계 연구
(1) 서론
(2) 선행연구
가. 스마트 의료환경과 보안위협
나. 블록체인 기술 동향
(3) 블록체인 기반 의료서비스 요구사항
가. 의료정보 생애주기별 보안 취약점과 보안 요구사항
나. 개인건강정보 활용 요구사항
다. 의료분야 블록체인 서비스 사례 분석
(4) 블록체인 기반 의료서비스 설계
가. 블록체인 기반 의료서비스 설계
나. FGI 결과 및 분석
(5) 결론
19) 블록체인 기반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 프로세스 연구
(1) 서론
(2) 블록체인의 요소 및 부가적 기능
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나. NFT(Non-Fungible Token)
다.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라.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3) 제안하는 프로세스
(4) 모의실험
가. 모의실험 환경 구축
나.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 프로세스의 동작
(5) 결론
20) 블록체인 기반 연합학습 레퍼런스 아키텍처 및 DID 접근 시스템
(1) 서론
가. 연합학습
나. 블록체인
다. 블록체인 기반 연합학습
라. Decentralized Identity(DID)
마. Interplanetary File System(IPFS)
(2) 본 론
가. 구현
나. 스마트 컨트랙트
(a) Round control
(c) Evaluation
(d) Global model saving
(e) Training
(f) Training
(g) Token distribution
(h) FL progress check
다. Cross-device 시나리오 및 Cross-silo 시나리오
라. Stake holders 기능 구현 및 기타 모듈 설계
(a) Evaluator
i) Local model evaluation
ii) Global model evaluation
iii) Scoring algorithms
ⅳ) Smart contract bridge
(b) Job creator
i) Training configuration
ii) Smart contract
iii) Setting genesis model
(c) Trainer
ii) Smart contract bridge
iii) DID Class
(d) Aggregator
i) Smart contract bridge
ii) Make global model
iii) Aggregation algorithms
ⅳ) Client selection algorithms
(e) Cross-silo 시나리오에서의 Participant
i) Check role
ii) Add auxiliary odel
(f) BCFL 유틸리티 함수
마. DID 및 VC 인증 시스템
(3) 실험
가. 이더리움 가스 수수료
나.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동작 검증
다. DID 인증 시스템을 도입한 글로벌 모델
(4) 결론
21) 블록체인 기반 DID를 활용한 자기주권강화 PrivBlock 설계
(1) 서론
(2) PrivBlock분석
(3) 자기주권강화 PrivBlock 설계
(4) 보안 분석
(5) 결론 및 고찰
22) 블록체인 기반 연합학습 GUI 모니터링 도구
(1) 서론
(2) 블록체인 기반 연합학습 GUI 모니터링 도구 설계
(3) 블록체인 기반 연합학습 GUI 모니터링 도구 구현 결과
(4) 결론
23)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 추적의 최적화 연구
(1) 서론
(2) 배경 지식
가. 허가형 블록체인 플랫폼
나. 해시 함수와 해시 체인 구조
(3) 관련 연구
가. 블록체인을 적용한 비즈니스 및 서비스
(4) 해시 체인 구조를 활용한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 추적 프로세스
가. 해시 체인 기반의 구조적 접근 방법
(a) 기존 트랜잭션 기반 데이터 추적 프로세스
(b) 해시 체인 기반 데이터 추적 프로세스
나. 트랜잭션 데이터 추적 사례 연구
(a) 사례 제시: 철도 화물 통관 절차
(b) 사례 기반 트랜잭션 데이터 추적 프로세스
(c) 해시 체인 구조 기반 트랜잭션 데이터추적 프로세스 분석
24) 데이터 신뢰도 확보 위한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스토리지에 관한 연구
(1) 서론
(2) 본론
(3) 결론
25)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 연합학습 연구
(1) 서론
(2)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 연합학습
(3) 동작 과정
가. 로컬 모델 학습
나. 로컬 모델 제출
다. 로컬 모델 등록
라. 리더 선정
마. 모델 취합
바. 글로벌 모델 등록 및 전파
26) 탈중앙 메타버스에서 자기주권 신원확인을 위한 OpenID Connect와 eIDAS 2.0 기술 동향
(1) 서론
(2) 탈중앙 메타버스
가. 메타버스의 개발 단계
나. 탈중앙 메타버스
다. 탈중앙 메타버스의 특징과 기능요소
(3) 신원확인 및 본인확인
가. 신원확인
나. 본인확인
다. 신원확인과 본인확인의 관계
(4) OpenID
가. OpenID Connect
나. GNAP
(5) 유럽연합의 디지털 신원확인
가. 디지털 신원
나. eIDAS 2.0
(a) 전자서명(electronic signature)
(b) 전자 타임스탬프(e-Timestamp)
(c) 전자 봉인(e-Seal)
(d) 웹사이트 인증(Website Authentication)
(e) 전자 등록 배달
(f) 인증서 발급
(6) 결론
27) 탈중앙 사용자 인증을 위한 SBT구현 및 인증 시나리오 제안
(1) 서론
(2) 본론
가. 배경
(a) 블록체인
(b) 이더리움 의견 요청(ERC)
(c) 디지털 토큰(NFT, SBT)
나. 관련 성과물
(3) 제안된 계획
가. 사용자 인증 SBT 디자인
나. SBT 사용자 인증 시나리오
(a) SBT 데이터 전처리
(b) SBT 발행, 관리 프로세스
(4) 실험
가. 구현
(a) SBT 토큰 구현
(b) SBT 사용자 인증 시나리오 구현
나. 검증 구현
(5) 결론
28) 탈중앙화 서비스를 위한블록체인 기반 분산 알림 시스템 설계
(1) 서론
(2) 본론
가. 시스템아키텍처
나. 스마트컨트랙트
다. 시스템 동작 과정
(3) 구현
(4)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29) 실시간 웹 3.0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1) 서론
(2) 관련 서비스
(3) 웹 3.0 스트리밍 서비스 구현 문제점
가. 브라우저 IPFS
나. 클라우드 기반 IPFS
(4) 리트리버: 제안하는 웹 3.0 스트리밍 서비스
가. 세그먼트 분산 요청
나. 우선순위 기반 세그먼트 핀
(5) 실험 결과
가. 실험 내용
나. 시스템 별 세그먼트 수신 시간 비교
다. 시스템 별 영상 끊김 현상 비교
라. 웹 2.0 시스템과 성능 비교
(6) 결 론
30) 웹 3.0 응용의 특성 및 동향
(1) 서론
(2) 웹 3.0 응용의 특성
가. 탈중앙화
나.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 자율조직)
라. 참여 보상
마. 데이터 소유
(3) 웹 3.0 프로젝트의 종류
(4) 웹 3.0 응용
가. 오디오스 (Audius)
나. 브레인트러스트 (Braintrust)
(5) 결론
31) 메타버스에서의 Web3 기술의 활용
(1) 서론
(2) Web 기술 스택
(3) Web3의 메타버스 적용
가. 탈중앙화 신원 증명
나. 자산 소유권
다. 가치의 호환
라. 보안 향상
마. 실제 연동 사례
(3) 결론
32) 대학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
(1) 서론
가. 상상에 상상을 더한 또 다른 세상 메타버스
나. 메타버스 해외 동향
다. 메타버스 국내 동향
(2) 본 론
가. LG유플러스의 메타버스 서비스 유버스(UVERSE)
나. 유버스의 주요 특징 및 기능
다. UVERSE 적용 대학 사례
(3) 결론
33) 메타버스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자기 주권 신원 아바타 및 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온라인 상 신원 관리 시스템
나. 자기 주권 신원 (Self-Sovereign Identity, SSI)
다. 메타버스 내 SSI
(3) SSI 아바타와 관리 어플리케이션
(4) 서비스 별 신원 사용 목적에 따른 SSI 아바타 활용
가. 화상 회의 서비스
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다. 금융 서비스
(5) 결론
34) 가상화폐 스캠 탐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 블록체인 전송내역 그래프 분석 방법들
(1) 서론
(2) 데이터
가. 데이터 수집
나. 노드 레이블링 및 그래프의 구조적 특성
다. 도전 과제
(3) 가상화폐 스캠 탐지 방법들
가. 기계학습 기반 가상화폐 스캠 탐지 방법들
나. 딥러닝 기반 가상화폐 스캠 탐지 방법들
다. 그래프 딥러닝 기반 가상화폐 스캠 탐지 방법들
(a) 그래프 탐색 기반 경로 임베딩
(b) 그래프 신경망 기반 그래프 임베딩
(c) 그래프 오토인코더 기반 전송내역 이상 탐지
(4) 실험 결과
(5) 결 론
35) 사물인터넷 및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연구
(1) 서론
(2) 본론
가. 블록체인과 임베디드 시스템
나. 임베디드 시스템 및 장치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활용
다. 임베디드 시스템 및 장치에서 블록체인의 도전 과제
(3) 결론
36) 전기차 충전 인프라에서의 블록체인 활용
(1) 서론
(2) 본론
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
(a) DID
(3) 결론
37) 건설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 연구
(1) 서론
(2) 본론
(3) 건설 중인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가. 자산 관리
나. 건설 관리
다. BIM 관리
라. 건물 유지관리 시스템
마. 에너지 관리
바. 물 거래
사. 폐기물 관리
(4) 결론
38) 사용자 독립방식의 블록체인 기부시스템
(1) 서론
(2) 본론
가. 지역 기부 플랫폼
나. 블록체인 기술
다. 블록체인 합의
라. 블록 구조
마. 블록체인 암호화
(a) Hash
(b) 블록체인 비대칭 암호화
(3) 체리 블록체인 시스템
가. 사용자 독립적인 블록체인 방식
나. 기본 기부 블록체인 흐름
다. Cherry System의 블록 다이어그램
라. 체리 암호화 방식
마. 자동 영향력 제어 POS 방식
바. 성능 검사
(4) 결론
2. 핀테크 서비스 플랫폼
1) 모바일 앱 및 키오스크 사용자의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
(1) 서론
(2) 문헌 연구
가. 비대면 서비스와 기술수용모델
나. 이미지
다. 추천의도
(3) 연구모델 및 연구방법
가. 연구모델
나. 연구방법
(a) 측정도구의 개발
(b)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4) 분석 및 연구결과
가. 연구변수의 타당성
나. 구조모델 및 가설검증
다. 매개효과 검증
(5) 결론
2) 바일 기기에서 토큰을 이용한 간편 결제시스템의 보안 취약점 개선을 위한 연구
(1) 서론
(2) 관련연구
가. 간편 결제 시스템의 토큰 발급 절차
나. 토큰을 이용한 기존 간편 결제 시스템 결제절차
다. 비대칭 암호화(Asymmetric Crypto)
(3) 제안
가. 비대칭 암호화를 결합한 간편 결제시스템의 토큰 발급 절차
나. 비대칭 암호화 이용한 간편 결제 시스템의 결제 절차
(4) 결론
3)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지문인식 기반 OTP 시스템 개발
(1) 서론
(2) 본론
가. 지문인식 기술 및 적용 사례
나. OTP의 기능 및 특징
(3) 제안된 계획
가. 지문인식 기반 OTP의 설계
나. 지문인식 기반 OTP의 구현
(4) 결론
4) 웹 3.0 생태계를 위한 디지털 지갑 기술 동향
(1) 서론
(2) 웹 3.0과 탈중앙화
가. 웹 3.0
나. 소브린 재단의 자기주권 신원
(3) 디지털 지갑
가. 유니버설 디지털 지갑 요구사항
(4) 유니버설 지갑 관련 기술
가. W3C의 Universal Wallet 2020
나. EUDI 지갑
다. ESI
라. SVIP
마. OWF(Open Wallet Foundation)
(5) 결론
5) 인공지능 기반의 CCTV 얼굴인식을 통한 자동화 출입관리 솔루션
(1) 서론
(2) 연구 방법
(3) 시스템 개발 및 테스트 방향
가. 시제품 제작품
나. 시제품 시스템
다. 테스트 방법
(4) 테스트 및 결과 분석
가. 얼굴분석 테스트
나. 얼굴분석 + 출입문 개폐 테스트
라. 다중 얼굴분석 + 출입문 개폐 테스트
마. 다중 얼굴분석 + 알람 울림 유무 테스트
바. 향후 연구
(5) 결론
가. 기술개발 최종 결과
나.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