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8819218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9-07-05
목차
시인의 말
1부
법주사에 내리는 눈 11
법주사 12
법주사 14
법주사 가는 길 16
법주사가 팔을 걷어붙이다 18
법주사는 팔상전이다 20
법주사가 행복한 고민에 빠지다 22
법주사는 세조의 주치의였다 24
법주사가 순조대왕태실을 관리하다 26
법주사가 속리를 몸으로 실천하다 28
법주사 대웅보전은 한국 삼대 불전 가운데 하나다 30
법주사가 괘불탱화와 신법천문도병풍을 애지중지하다 32
정이품송(正二品松)은 영원한 정이품송이다 34
법주사에 주저앉으려는 마음을 달래느라 애를 먹었다 36
법주사가 백성들을 위하여 큰일을 하였다 38
2부
일주문 41
금강문 42
천왕문 43
사천왕석등 46
쌍사자석등 48
당간지주 49
희견보살상(喜見菩薩像) 52
석련지(石蓮池) 56
금동미륵대불이 나무라면 단풍 든 은행나무다 58
금동미륵대불에게 눈도장을 찍을 수 없다 60
금동미륵대불은 마음이 여리다 62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이 나에게 설법을 하다 66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은 몸이 형편없다 70
팔상전이 귀가 스무 개다 72
철확이 살아남아 법주사의 과거의 영광을 대변하다 76
김칫독, 석옹(石瓮)은 은퇴한 공양주 보살이다 78
삼탸수(三陀水)는 만병통치약이다 80
금동미륵대불 앞에 서면 대인국에 온 기분이다 82
대웅전 앞 보리수(菩提樹) 두 그루를 눈에 담아오다 84
복천암수암화상탑과 복천암학조등곡화상탑은 사제지간이다 90
원통보전이 웃음을 참느라 진땀을 뺄 때가 있다 92
명부전이 겁을 주다 96
법주사 약사전은 늦둥이다 98
팔상전은 호화양장본 그림책이다 100
3부
동암(東庵)은 다른 데 없는 사섭당(四攝堂)이 있다 105
복천암은 세조와 수어지교(水魚之交) 사이였다 108
중사자암은 상사자암과 하사자암이 있었다는 증거다 110
상고암(上庫庵)은 마애불상군이 끝내준다 112
탈골암(脫骨庵)이 약사전과 대휴선원(大休禪院)을 거느리고 있다 114
그리운 것은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있다 116
여적암(汝寂庵)이 내세울 건 다층청석탑(多層靑石塔)이다 118
관음암(觀音庵)이 높은 데 둥지 튼 것은 120
상환암(上歡庵)은 이성계의 백일 기도처였다 122
봉곡암이 천왕봉과 눈빛을 주고받다 124
법기암은 농장에서 일하는 것이 참선이다 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