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여순

여순

김재석 (지은이)
사의재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8,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여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여순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8819607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0-04-06

목차

여순

시인의 말

1부

여순麗順 13
동백꽃 물든 여수 봄 바다 15
여수麗水 16
여수 18
여수 20
여수 22
여수 앞바다의 혼잣말 1 24
여수 앞바다의 혼잣말 2 25
여수의 봄 26
여수 앞바다가 여수실록이다 29
오동도는 여수실록인 여수 앞바다의 부록이다 30
여수 앞바다를 꾸짖을 수가 없다 32
여수麗水의 달 34
동백꽃 35
형제묘 40
백비白碑 42
14연대가 여순항쟁의 불씨이다 44
진남관은 누구의 편도 들지 않았다 46
여수역은 여수 앞바다를 닮았다 48
중앙초등학교가 손가락총의 산증인이다 50
여수여중학교가 비통해 하다 52
여수항은 자존심이 강하다 54
애기섬이 다 지켜보았다 55
만성리굴을 걸어보지 않고서 여순항쟁에 대하여 이야기 하지 말라 하면 56
하멜기념관도 여순항쟁에 대하여 알고 있다 58
우익인사 대한노총지부장 김창업이 죽음 앞에서 봉선화와 산타루치아를 불렀다 60
여수 앞바다가 나를 가상하게 여기다 62
사진첩 『1948, 칼 마이던스가 본 여순사건』이 산증인이다 64
미임시군사고문단원 대로우 대위의 장문의 보고서가 다 까발리다 66
미 임시 군사고문단원 Ralph P,Bliss 소령이 뒷짐 지고 서 있다 68
피난민들이 두 손을 든 채 그냥 그 자리에 붙박여 있는 것은 70
손양원 목사는 세상에 없는 사람이다 72
자칭 백두산 호랑이 김종원은 죽일 놈이다 74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가 여순에 청춘을 다 바치다 76

2부

순천順天 81
순천 82
순천 84
순천 85
순천 86
순천역이 이현상과 지창수가 이야기 나누는 것을 다 지켜보았다 87
동천둑이 피아를 구분 못하다 89
학구리가 김지희에게 귀띔해 주다 90
순천이 맛보지 말아야 할 인민재판을 맛보았다 92
사진첩 『1948, 칼 마이던스가 본 여순사건』가 순천 농림학교를 그냥 지나갈 리가 없다 94
진압군도 봉기군도 주먹밥에게 신세지다 96
순천시 낙안면 신전마을 사람들은 한때 혼이 나갔다 98
조계산은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니고 그냥 ‘이다’이다 100
『조계산의 눈물』은 엄정하고 냉철하고 담대하다 102

3부

구례 107
구례의 모스크바인 산동은 산수유가 대세다 108
구례 경찰서장 안종삼이 자기 목숨을 걸었다 110
독립운동가 출신 차일혁 토벌대 대장이 화엄사를 구하다 112
산동애가는 대살의 산증인이다 114
산동마을은 쥐를 잡아먹고 살았다 116
구례군수 유수현이 누구도 못할 말을 하였다 118
여수, 순천, 구례 못지않게 보성, 고흥, 광양 모두 다 피를 보았다 119

4부

빨치산 123
빨치산은 산호랑나비, 토벌군은 채집꾼 124
빨치산이 궁여지책과 가까이 지냈다 126
처음부터 빨치산인 게 아니다 128
빨치산의 십팔 번은 부용산이었다 130
빨치산 132
지리산 133
지리산 134
지리산 136
지리산은 시비의 대상이 되기를 원치 않는다 138
지리산이 빨치산과 가까이 지낸 게 아니다 140
지리산은 학습장이었다 142
지리산은 냉철하다 144
지리산은 푸지다 146
뻐꾹새와 소쩍새 148
뻐꾹새와 소쩍새 150
지리산 소쩍새 152
섬진강은 언어의 화수분이다 154
해인사가 김영환 대령에게 빚을 지다 156
피아골 계곡물이 중얼거린다 158

저자소개

김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세계의문학》에 시로 등단했으며 2008년 유심신인문학상 시조부문(필명 김해인)에 당선했다. 시집으로 『까마귀』『샤롯데모텔에서 달과 자고 싶다』『기념사진』『헤밍웨이』 『달에게 보내는 연서』『목포자연사박물관』『백련사 앞마당의 백일홍을』『강진』『조롱박꽃 핀 동문매반가』『목포』『강진시문학파기념관』『무위사 가는 길』『그리운 백련사』『마량미항』『당당한 영랑생가』『그리운 강진만』『모란을 위하여』『구름에 관한 몽상』『바다의 신 포세이돈 지명수배되다』『사의재에게 아학편을 떼다』『갈대는 제 몸뚱일 흔들어』『유달산 뻐꾹새 첫 울음소리』『목포문학관』『유달산 뻐꾹새 마지막 울음소리』『달리도, 외달도, 율도』『눈 내리는 이훈동정원』『조금새끼』『보리마당에 살어리랏다』『장흥』『나의 이뭣고는 홍매화다』『보길도에 어부사시사가 내린다』『동백꽃똥구멍쪽쪽빠는새』『목포근대역사관』『유달산과 고하도가 통하다』『달마고도에서 대오할 생각을 하다』『대흥사는 천강에 얼굴 내민 달이 꿈이다』『신안』『백운동원림』『선암사 가는 길』『통도사는 금강계단이다』『해인사에 빠지다』『송광사는 내 마음의 주장자다』『연기암은 내 마음의 죽비다』『불국사의 봄』『봉정사는 자기 혼자만의 몸이 아니다』『부석사의 달』『법주사에 내리는 눈』『마곡사에 내리는 비』『백담사에 들른 뻐꾹새 울음소리가 나를 따라다니며』『비췻빛 하늘가마로 구운 시』『탐진강』『달마지마을』『백조의 호수 강진만에서』『도보다리가 답이다』『골목은 나무꾼 빈집은 동백아가씨』『백련지가 나를 불러내다』『도라산역이 늠름하다』『비 내리는 난중일기』『현대시창작교실』『소쩍새 죽음의 내력에 대하여』『인문대 등나무벤치』『마리아회수도원』『책장을 입양하다』『그리운 성문종합영어』『미생』『고장난 신자유주의』『철원』『양구』『인제』『고성』『연천』『강화』『옹진』『화천』『인천』『경주』『백제』『개성』『평양의 달』『광주』『여순』『제주』『부산』『마산』『대구』『군산』『피난열차』『체 게바라 양말』『남해』『완도』『청산도의 달』『진도』『여수의 봄』『바다에 붙들려』『거제도』『통영』』『진해』『진주』『나주』『화순』『춘천』『설원과 붉은여우와 들쥐』『포천』『홍천』『동두천』『칠곡』『포항』『영천』『창녕』『광양』『고흥』『보성』『영암』『곡성』『장성』『영광』『순천』『함평』『무안』『담양』『해남』『구례』『서울』『윤슬』『영랑생가에게 면목없다』『도라지꽃 비구니』『앵두나무와 보낸 한철』『자작나무와 달마시안』『다시 태어난 현구생가』『목포 1,2,3』『강진 1,2,3』『안동』『정읍』『전주』『영랑생가 은행나무에 대한 몽상』『사랑이여, 노을치마만 같아라』『영랑생가 내 눈결에 쏘인 것들은』『영랑생가 가 나에게 신신당부하다』『백련사 동백숲에 대한 몽상』『대전』』『부잡하다』 『윤슬 3』 『다시 태어난 현구생가가 카이저 수염을 하다』 『슬픔이 나에게 베팅하다』 『수사학교실』 『시문학파기념관이 독서삼매에 빠지다』 『영랑생가는 시문학의 성지다』 『강진이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작시치인 나는 강진이다』『목포를 클릭하라』『목포문학관을 클릭하라』『목포에 꽂히다』『시문학파기념관에서 자작나무를 만나다』『강진미술관이 솔찬하다』『시문학파기념관은 시문학답사 일번지다』『예남사는 경주 김씨다』『동백정은 청주 김씨다』『해동사는 순흥 안씨다』『영랑생가 꽃나무들이 구김살이 없다』『해와의 인터뷰』『사의재의 달』『내가 시문학파기념관이라면』『우두봉과 구강포의 눈을 피해』『내가 백운동원림이라면』『강진을 밝히다』『뻐꾹새와 보낸 한철』『슬픔을 밝히다』『똑소리나는 슬픔이 딱 부러지는 슬픔과 마주치면』『강진에 꽂히다』『달이 성전을 편애하다』『슬픔으로 허기를 달래다』『지구별이 혼잣말을 하다』『윤슬 4』『고희의 강을 눈앞에 두고 내가 만난 슬픔들은』『백두산 천지에서』『압록강 단교』『윤한봉은 갈리아의 수탉이다』『두만강 푸른 물을 편지지 삼아 』『백금포의 달』『남미륵사가 불혹의 강을 건너다』『그리운 강진극장』『성요셉여자고등학교』『백운동원림 정선대가 끝내주다』『정지용문학관은 정지용 대변인이다』『노근리 쌍굴다리의 눈빛 전언』 『탑동』 『몽돌에 대한 몽상』 『소안도의 달』 『청산도의 달』 『내가 슬픔이라면 나는』『가을 강진만 갈대밭에서』『겨울 강진만이 나를 불러내다』번역서로 『즐거운 생태학 교실』, 시조집으로 『내 마음의 적소, 동암』『이화』『별들의 사원』『별들을 호린다고 저 달을 참수하면』『고장난 뻐꾸기』『큰개불알풀』『다산』(2권)『만경루에 기대어』『구강포』『백운동원림』(2권)『추사』『노래하는 의미를 너희들이나 모르지』『첫사랑』『전봉준』『달빛한옥마을』『별이 빛나는 밤에』『윤슬 2』『일가달영야』『일인천강지곡』『달빛전선 이상없다』『성요셉여자고등학교』『대동강』『강진만 갈대밭에서』 동시집으로 『가파초등학교마라분교』『해와 달, 별, 구름 그리고 지구별』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