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자정부론

전자정부론

김구 (지은이)
윤성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1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자정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자정부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444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0-03-02

책 소개

전자정부론은 ICT와 인터넷의 속성을 기반으로 좋은 정부활동의 모형과 방향 그리고 구현 전략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저자가 동안 정보화 및 전자정부론 과목을 강의하면서 이용한 강의 자료와 관련 연구성과물을 토대로 재구성한 교재다.

목차

제1장 전자정부의 기초와 문해력 23
제1절 데이터와 빅데이터 24
1. 데이터 24
2. 빅데이터 25
제2절 정보 40
1. 정보의 정의 40
2. 정보의 특성 41
3. 가치 있는 정보 43
제3절 지식 44
1. 지식의 의의 44
2. 지식의 유형 45
제4절 데이터, 정보, 지식의 관계 48
1. 정보와 지식의 비교 48
2. 데이터, 정보, 지식의 관계 51
제5절 지능과 지혜 53
1. 지능 53
2. 지혜 57

제2장 전자정부의 개념과 내용 61
제1절 전자정부의 개념 62
1. 전자정부의 개념 62
2. 국가별 전자정부의 개념 75
제2절 전자정부 도입 및 추진 필요성 81
1. 전자정부 도입 필요성 81
2. 전자정부 추진 필요성의 관점 95
제3절 전자정부 구현 유형 101
1. 개념적 구현 유형 101
2. 전자정부 이념에 따른 유형 102
3. 정부와 관계자 간 유형 105
제4절 전자정부 구현 내용과 체계 109
1. 전자정부의 구성 요소 109
2. 전자정부 구현 내용 111
3. 전자정부 구현 체계 115
제5절 전자정부 발전 단계 119
1. 레인과 리의 모형 120
2. UN & ASPA의 모형 121
3. 세계은행 3단계 모형 123
4. 가트너 4단계 모형 123
5. 델로이트 6단계 모형 124
6. 전자정부 성장 단계와 정부관계 모형 124
7. 프로세스 재구축 성숙 모형 125
8. 전자정부 성숙 모형과 구성 요소 126
9. 공공 스마트폰 앱 발전 모형 127
1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발전 단계 모형 129

제3장 정보통신기술과 행정의 변화 131
제1절 전자정부의 출현 132
1. 기술 발전 132
2. 관리혁명 134
3. 정부혁신 137
제2절 정보통신기술의 영향 139
1. ICT의 일반적 영향 139
2. ICT가 행정에 미친 영향 142
제3절 전자정부의 영향과 과제 145
1. 전자정부의 영향 146
2. 전자정부의 기대효과 147
3. 전자정부 추진의 한계와 과제 150
제4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행정 161
1. 4차 산업혁명의 의의 161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자정부 추진 방향 168
3. 새로운 지능정보기술 채택 시 고려 사항 171
4. 공공부문에서 인공지능의 활용과 고려 사항 174

제4장 한국 전자정부의 발전 과정 183
제1절 전자정부 추진 단계 184
1. 전자정부 추진 개요 184
2. 전자정부 추진 단계 186
제2절 정부별 전자정부 추진 내용 188
1. 정부별 전자정부 추진 개요 188
2. 김대중 정부 189
3. 노무현 정부 205
4. 이명박 정부 208
5. 박근혜 정부 212
6.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 215
7. 지능형 정부의 기본 계획 219
8. 성찰과 미래를 향한 제언 221

제5장 전자거버넌스 227
제1절 거버넌스 228
1. 거버넌스의 출현 배경 228
2. 거버넌스의 개념 229
제2절 전자거버넌스의 개념과 내용 235
1. 전자거버넌스의 논의 배경 235
2. 전자거버넌스의 개념 239
3. 전자거버넌스의 내용 241
4. 전자정부와 e-거버넌스의 비교 243
5. e-거버넌스의 이점 246
제3절 전자거버넌스의 모형과 과제 249
1. 전자거버넌스의 모형 249
2. 전자거버넌스의 활용 과제 252
3. 전자거버넌스의 연구활동 경향 255

제6장 전자시민참여 257
제1절 시민참여 258
1. 시민참여의 의의 258
2. 시민참여의 필요성 260
3. 시민참여 활성화의 방향 264
제2절 전자시민참여의 의의 265
1. 전자시민참여의 개념 265
2. 전자시민참여의 필요성과 효과 270
3. 정책결정과정과 전자시민참여 272
제3절 전자시민참여의 구현 276
1. 전자시민참여의 유형 및 방식 276
2. 전자시민참여의 활성화 방안 및 과제 283
3. 전자시민참여의 구현 사례 290

제7장 전자민주주의와 전자투표 301
제1절 전자민주주의의 등장과 개념 302
1. 전자민주주의의 대두 302
2. 전자민주주의의 개념 305
제2절 전자민주주의의 효용과 구현 306
1. 전자민주주의의 효용성 관점 306
2. 전자민주주의 구현 형태 311
제3절 전자투표의 의의 313
1. 전자투표의 개념 313
2. 전자투표의 기대 효과와 한계 314
3. 전자투표의 필요 조건과 고려 사항 318
4. 전자투표에 관한 이론 326
제4절 전자투표의 실제와 과제 331
1. 전자투표의 방식 331
2. 전자투표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사례 332
3. 전자투표 도입을 위한 과제 351
4.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354

제8장 전자고객관계관리 361
제1절 고객만족 서비스 362
1. 고객만족과 서비스 품질의 의의 362
2.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 336
제2절 고객관계관리 373
1. 고객관계관리의 의의 373
2. PCRM 377
3. 고객에 의한 정책설계 : 국민디자인단 382
제3절 전자고객관계관리 383
1. 전자고객관계관리의 의의 383
2. 전자고객관계관리 서비스 측정과 전략 385

제9장 정보화와 업무프로세스 혁신 391
제1절 업무프로세스재설계 392
1. 업무프로세스재설계의 의의 392
2. 업무프로세스재설계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 400
3. 업무프로세스재설계 추진 시 고려 사항 405
4. 업무프로세스재설계 추진 시 실패 요인과 장애 요인 409
5. 공공부문과 BPR 412
6. 업무프로세스재설계의 실행 절차 및 방법론 419
제2절 업무기능 연계모형 424
1. 업무기능 연계모형의 의의 424
2. 정부기능 분류체계 운영의 기본 목적과 기대 효과 425
3. 정부업무의 기능 분류 체계 426
4. 업무기능 연계모형의 한계 427
제3절 업무프로세스관리 428
1. 업무프로세스관리의 의의 428
2. 업무프로세스관리의 기대 효과와 고려 기준 430
3. 업무프로세스관리의 도입 단계 432
제4절 정보화전략계획 433
1. 정보화전략계획의 의의 433
2. 정보화전략계획의 수립 방법 435

제10장 정보시스템과 전자정부서비스 441
제1절 정보시스템과 웹사이트 품질 442
1. 정보시스템과 웹사이트 품질의 의의 442
2. 정보시스템과 웹사이트 품질의 평가 요소 448
제2절 전자정부서비스 품질 454
1. 전자정부서비스의 특징 454
2. 사용자 중심 전자정부서비스 456
제3절 전자정부서비스 활용 수준 평가 방법 473
1. 활용 수준 평가모형의 필요성과 구성 차원 473
2. 평가모형의 구성 체계 474
3. 종합 478

제11장 전자정부와 정부신뢰 481
제1절 신뢰 일반론 482
1. 신뢰의 일반적 논의 482
2. 신뢰 기반과 신뢰 유형 484
3. 정부신뢰의 영향 요인 487
4. 정부신뢰와 투명성 488
제2절 전자정부 이용과 신뢰의 관계 493
1. 전자정부에서 신뢰에 관한 연구 493
2. 전자정부 신뢰에 관한 영향모형 496

제12장 정보화와 반부패 505
제1절 부패 일반론 506
1. 부패의 의의 506
2. 부패의 실태 514
제2절 전자정부와 반부패의 관계 521
1. ICT와 반부패 521
2. 전자부패 523
3. ICT를 통한 반부패 및 투명성 527

제13장 전자정부 이용의 불평등 531
제1절 정보격차 일반론 532
1. 정보격차의 의의 532
2. 정보격차의 접근 차원과 유형 536
3. 웹 접근성 539
제2절 정보격차와 배제 542
1. 정보이용과 사회생활 542
2. 정보접근성과 사회적 배제 544
제3절 정보격차의 수준 진단 547
1. 정보격차의 수준 진단을 위한 개념적 틀 547
2. 정보격차의 수준 진단을 위한 모형 553
3. 정보격차의 측정모형 556
4. 정보격차의 수준 진단 측정지표 557
제4절 정보격차의 해소 방안 559

저자소개

김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를 취득하고 한국연구재 단이 선정·지원하는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국립 강릉원주 대학교 자치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가직 및 지방직의 9급, 7급, 5급 시험위원(필기시험, 선정위원, 면접 위원)과 국회입법고시 시험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사회과학 계량분석의 이해와 활용」(2010) 「조직혁신의 이해」(2011) 「공무원 행정학 정리」(2012) 「한국사회와 공동체(공저)」(2008) 「스마트사회와 공동체」(2016) 「열린정부의 이해와 실제」(2018) 「인간과 공공사회」(2019) 「전자정부론」(2020) 「사회과학 연구조사방법론(제3판)」(2020) 「전자정부 이론과 연구방향」(2021) 「SPSS 활용 공공시계열 데이터분석」(2022) 「jamovi 활용 사회과학 데이터분석」(202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