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22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9-03-04
책 소개
목차
1장 4차 산업혁명과 공공사회
제1절 4차 산업혁명의 의의 17
1. 4차 산업혁명의 개념 17
2. 4차 산업혁명의 대두 19
3. 4차 산업혁명의 본질 20
4. 산업혁명의 발전 단계 23
제2절 4차 산업혁명의 혁신기술 26
제3절 4차 산업혁명과 사회 변화 32
1. 사회 변화: 생활 방식의 변화 32
2. 4차 산업혁명이 공공 부문에 미친 영향 34
3.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사회 전망 35
4.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준비와 대응 37
제4절 4차 산업혁명과 국가 41
1. 인공지능 기반 국가 서비스 41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부 운영 모형 42
3.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공공 서비스 44
참고 : 행정 서비스 통합·연계 추진 52
참고 문헌 61
2장 공공사회와 사회적 규범
제1절 공공사회 63
1. 공공사회의 개념 63
2. 공공사회 이해의 필요성 64
제2절 사회적 규범 67
1. 사회적 규범의 개념 67
2. 사회적 규범의 특징 70
3. 사회적 규범의 필요성과 기능 71
4. 사회적 규범과 공공사회 75
제3절 사회적 규범의 수준과 유형 76
1. 사회적 규범의 수준 76
2. 사회적 규범의 유형 77
제4절 사회적 규범의 형성 과정 80
제5절 사회적 규범 모형과 측정 85
1. 사회적 규범 관련 모형 85
2. 사회적 규범의 일반적 측정 지표 90
참고 문헌 94
3장 사회적 가치와 공공가치
제1절 사회적 가치 97
1. 사회적 가치의 개념 97
2. 사회적 가치의 등장 배경 99
3.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과 내용 104
4. 사회적 가치의 방향과 과제 107
제2절 공공가치 111
1. 공공가치의 개념 111
2. 공공가치 이론 113
3. 공공가치의 대두 배경 115
4. 공공가치의 의의 118
5. 공공가치의 내용 및 유형 119
참고 문헌 131
4장 공직가치
제1절 공직가치의 의의 133
1. 공직가치의 개념 133
2. 공직가치 개념의 접근 방식 135
제2절 공직가치의 내용 137
1. 공직가치의 구성 요소 137
2. 공직가치로서 법적 규범 145
참고 문헌 153
5장 공공성과 공익
제1절 공공성 155
1. 공공성의 개념 155
2. 공공성 개념의 구성 요소와 발생 158
3. 한국 사회에서 공공성에 대한 관점들 163
제2절 공익 165
1. 공익의 개념 165
2. 공익의 필요성 166
3. 공익의 구성 요소 168
4. 공익의 다양한 관점 169
5. 공익의 재조명: 공익과 사익의 조화 172
참고 문헌 176
6장 시민성과 공동체
제1절 시민성 179
1. 시민성의 개념 179
2. 시민성의 유형 182
3. 시민성의 육성 방안 184
4. 시민성의 측정 188
제2절 디지털 시민성 193
1. 시민성의 변화; 디지털 시민성의 태동 193
2.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 194
3. 디지털 시민성의 요소 197
4. 디지털 시민성 측정 202
5. 건전한 디지털 시민성 확립을 위한 토대 202
참고 문헌 208
7장 정부와 공공재
제1절 공공재의 의의 211
1. 민간재와 공공재의 의미 211
2. 재화의 유형 213
3. 공공재의 특성과 문제 216
4. 외부성과 정부 218
5. 비대칭정보와 정부 221
6. 정부가 공공재를 생산하는 근거 223
7. 공유재 관리의 새로운 접근 224
제2절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 225
1. 시장실패와 정부 225
2. 경제활동에서 정부의 역할 227
3. 정부실패 228
4. 정부실패에 대한 새로운 접근 232
참고 문헌 236
8장 행정의 본질과 방향
제1절 행정의 의의 237
1. 행정의 다양한 개념 237
2. 행정학적 관점에서 행정의 개념 242
3. 행정의 필요성 245
4. 행정의 역할 247
제2절 행정과 인접 분야의 관계 249
1. 행정의 학제간 관계 249
2. 정치(정책)와 행정의 관계 254
3. 경영과 행정의 관계 259
4. 정치, 행정, 경영의 관계 262
제3절 미래 행정의 방향 263
1. 좋은(바람직한) 행정의 요건 263
2. 한국 사회에서 미래 행정의 대응 방향 264
3. 4차 산업혁명시대의 행정 서비스 방향 268
참고 문헌 281
9장 공유자산의 유지와 관리
제1절 공유자산의 비극 283
1. 공유자산 비극의 이해 필요성 283
2. 공유자산의 비극 개념 284
3. 공유자산의 유지 및 관리 상황 285
4. 공유자산의 비극 방지를 위한 방안 288
제2절 죄수의 딜레마 295
1. 죄수의 딜레마 개념 295
2. 죄수의 딜레마 상황 296
3. 죄수의 딜레마 상황의 확장 297
4. 죄수의 딜레마 현상의 시사점 298
5. 죄수의 딜레마 게임과 집단이기주의 299
제3절 깨진 유리창 이론 301
1. 깨진 유리창 이론의 유래 301
2. 깨진 유리창 이론의 내용 303
3. 깨진 유리창 이론의 사례 304
4. 깨진 유리창 이론의 함의 309
참고 문헌 311
10장 함께하는 공공사회
제1절 공진화 313
1. 공진화의 개념 313
2. 공진화의 형태 314
3. 현대 사회와 공진화 317
제2절 공공 부문의 공동생산 326
1. 공동생산의 의의 326
2. 공동생산의 배경 329
3. 공동생산의 유형 330
4. 행정 서비스 공동생산 사례 331
5. 공동생산의 활성화 방안 335
참고 문헌 337
11장 세상과 공공사회의 혁신
제1절 경로의존성 339
1. 경로의존성의 개념 339
2. 경로의존성의 사례 341
제2절 폐기학습 346
1. 폐기학습의 의의 346
2. 폐기학습의 연구 사례 350
3. 폐기학습의 함의 351
참고 문헌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