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10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8-06-30
책 소개
목차
제1장_열린정부
제1절 서론
제2절 열린정부의 기원과 발전
1. 알 권리
2. 열린정부의 이론적 기반
3. 열린정부 출현의 실제적 토대
제3절 열린정부의 의의
1. 열린정부의 개념
2. 열린정부의 원칙
3. 열린정부의 가치
제4절 열린정부 파트너십
1. 열린정부 파트너십 개요
2. OGP가 정의하는 ‘성공’의 정의
제5절 열린정부 파트너십(OGP) 실행계획
1. 한국
2. 서울시
3. 미국
4. 영국
5. 뉴질랜드
6. 캐나다
7. 호주
8. 핀란드
9. 스웨덴
제6절 열린정부의 수준 평가
1. 열린정부 수준 평가를 위한 규범적 모형
2. 오픈 데이터 품질 사정
제7절 열린정부의 발전 방향
1. 열린정부 전략 구상의 틀
2. 열린정부의 방향
제2장_공공데이터 개방
제1절 공공데이터 개방의 배경
제2절 빅데이터의 의의
1. 빅데이터의 개념
2. 빅데이터의 이점
제3절 공공데이터 개방의 의의
1. 개방의 정의
2. 개방의 목적
3. 공공데이터 개방의 필요성
4. 공공데이터의 개념
제4절 공공데이터 품질과 구성요소
1. 공공데이터 품질
2. 공공데이터 품질의 구성요소
제5절 공공데이터 평가 틀
1. 공공데이터 개방수준 중심의 평가
2. 공공데이터 품질수준 중심의 평가
제6절 공공데이터 개방수준 평가
1. OECD 공공데이터 개방수준 측정
2. 월드와이드웹 재단 평가
3. 열린지식재단의 글로벌 개방데이터지수
제3장_정보공개
제1절 서론
제2절 정보공개제도 발전의 토대
제3절 정보공개제도의 의의
1. 정보공개의 개념
2. 정보공개제도의 개념
3. 정보공개제도의 필요성
4. 정보공개제도의 역기능
5. 정보공개제도의 유형
6. 정보공개제도와 행정절차제도
제4절 정보공개제도의 내용
1. 추진경과
2. 청구주체
3. 정보공개의 적용범위와 적용기관
4. 정보공개 대상과 예외(비공개 대상 정보)
5. 정보공개의 청구방법
6. 정보공개의 절차
7. 정보공개 구제제도
8. 사전정보공개(행정정보의 공표 등)
9. 전자적 정보공개(공개대상 정보의 원문공개)
제5절 정보공개 운영 실태
1. 정보공개 청구현황
2. 정보공개 처리현황
3. 비공개 사유별 현황
제6절 각국의 정보공개제도
1. 스웨덴
2. 미국
3. 영국
4. 일본
5. 독일
6. 주요 국가의 정보공개제도 비교
부록 1
부록 2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