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88900329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3-03-06
책 소개
목차
서문 – 염불문 완성
제1장 예불 · 아미타청
1. 예불
발원문
2. 아미타청
축원
제2장 인류의 안락을 위한 대원
1. 사십팔 대원의 인연
2. 아미타불의 사십팔 대원
3. 보현보살의 정토발원
4. 『화엄경』 「입법계품」
제3장 부처님의 지혜를 믿는 종교
1. 아뇩다라삼먁삼보리
1) 깨달음의 정의
2)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번역
3) 무상보리를 분별함
2. 부처님의 네 가지 지혜
1) 성소작지
2) 묘관찰지
3) 평등성지
4) 대원경지
5) 양유여래 일향복신
3. 발심
1) 수사발심
2) 순리발심
제3장 일심정토를 논함
1. 『대승기신론』
1) 논을 지은 뜻
2) 「수행신심문」
2. 정토경전의 대의
1) 『무량수경종요』
2) 『아미타경소』
3. 정정취문 정토
1) 『아미타경소』
2) 『무량수경종요』
3) 정정취문 정토의 중생
4) 정정취의 뜻
5) 정정취문 정토의 요체
4. 일심정토
1) 일심의 뜻
2) 일체경계 본래일심
3) 일심정토의 뜻
4) 일심정토는 정정취문 정토
5) 염불문 완성
제5장 오념문
오념문의 신행체계
제 1 예배문
1. 예배문 해설
1) 귀명의 뜻
2) 예배의 뜻
3) 일심의 법과 불지에 귀명하여 예배함
2. 예배문의 공덕
1) 안심을 얻고 발심한다
2) 오체투지 귀명정례
3) 예배만 하여도 왕생한다
3. 예배문 수행
1) 사성례
2) 오체투지 귀명정례
제2 찬탄문
1. 찬탄문 해설
1) 명호의 뜻
2) 여래의 광명
3) 명호의 뜻과 여래의 광명지상을 찬탄함
2. 찬탄문의 공덕
1) 여래의 공덕을 찬탄함
2) 명호는 진언이며 활구이다
3. 찬탄문 수행
1) 명호의뜻과 광명지상
2) 나무아미타불 정근
3) 장엄염불
제3 작원문
1. 작원문해설
1) 마음에 항상 원을 지음
2) 마음을 정토에 두고 전념으로 작원함
2. 작원문의 공덕
1) 염불삼매
2) 일상관의 역사
3. 작원문 수행
1) 『관무량수경』의 일상관
2) 『수심요론』의 일상관
3) 지관 · 진여삼매 · 선문
제4 관찰문
1. 관찰문 해설
1) 아미타불은 법계신이다
2) 진여의 체대와 상대
3) 진여의 용대
4) 진여의 두 가지 작용
5) 대승경론의 불신관
2. 관찰문의 공덕
1) 일체를 아미타불의 화신으로 관찰함
2) 상사각을 성추한다
3) 방편을 닦아야 청정을 얻는다
3. 관찰문 수행
1) 철학적 사유의 지혜
2) 종교적 관찰의 지혜
3) 불국토의 장엄을 관찰한다
4) 일체가 아미타불의 화신이다
제5 회향문
1. 회향문 해설
1) 회향의 뜻
2) 회향은 방편지혜의 행위이다
3) 모든 인연의 은혜에 감사하고 회향함
2. 불교의 세계관
1) 연기의 세계관
2) 오위 백법
3) 세계의 존재법칙
4) 인간의 존재법칙
제6장 왕생론 · 아미타경 · 반야심경 · 천수경
『왕생론』전문
『아미타경』전문
「미타증성게」
『반야심경』
『천수경』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깨달음의 정의」
불각의 근본원인은 무명이다.
무명을 깨뜨리는 것이 깨달음이다.
범부가 ‘성품을 터득하는 견성(見性)의 깨달음’은 어렵고,
‘경계를 바르게 관찰하는 정관(正觀)의 깨달음’은 쉽다.
【찬탄】「무상보리를 분별함」
무상보리를 지혜의 이름으로 분별하여 밝히고
팔식을 전환하여 지혜를 얻는 차별을 보이며
처음 지혜가 일어나는 자리를 나타낸 것은
원측의 ‘불설반야바라밀다심경찬’이 유일하다.
원효는 네 가지 지혜에 대하여 의혹하는 경계와
의혹하는 마음을 자세하고 깊게 설하였다.
이제 두 분 조사의 지혜와 자비가 빛날 것이다.
【찬탄】「부처님의 네 가지 지혜」
성소작지 묘관찰지 평등성지 대원경지
일심의 근원에서 깨달은 위없는 지혜
불교는 부처님의 지혜를 믿는 종교이다.
지(智)는 세계와 인간의
존재법칙에 대한 깨달음의 이름이고,
혜(慧)는 깨달음의 내용을
육근으로 비추어 보는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