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코노크러시

이코노크러시

(경제를 전문가에게만 맡겨놓는 것의 위험성)

조 얼, 카할 모런, 제크 워드 퍼킨스 (지은이), 안철흥 (옮긴이)
페이퍼로드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60원 -10% 580원 10,000원 >

책 이미지

이코노크러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코노크러시 (경제를 전문가에게만 맡겨놓는 것의 위험성)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88982769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9-02-22

책 소개

현대사회 분석과 신고전학파 경제학 비판, 대학의 경제학 교육과정 분석, 대안 경제학 소개 등을 두루 담고 있는 <이코노크라시>는 저자들이 전 세계 경제학도들을 향해 외치는 ‘매니페스토’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추천사 1
앤디 홀데인의 서문 9
감사의 말 17

들어가는 글 19
제1장 이코노크러시 29
제2장 교리가 된 경제학 67
제3장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넘어서 103
제4장 경제학의 영혼을 지키기 위한 투쟁 151
제5장 교양교육의 재발견 195
제6장 모두를 위한 경제학 235

부록1. 커리큘럼 리뷰에 대한 기술 부록 269
부록2. 커리큘럼 리뷰 방법론 287
역자 후기 300
<맨체스터 자본주의> 시리즈에 대하여 307

저자소개

조 얼 (엮은이)    정보 더보기
맨체스터 대학에서 PPE(철학과 정치학, 경제학 융합 전공) 과정을 졸업했다. 대학 2학년 때인 2012년, 동료 카할 모런과 제크 워드 퍼킨스와 함께 맨체스터 대학 내 경제학 개혁운동 동아리인 포스트 크래시 경제학회(Post-Crash Economics Society)를 창립했다. 졸업 후 퀸메리 대학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경제학 개혁운동 단체 리싱킹 경제학(Rethinking Economics)의 공동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리싱킹 경제학의 웹 사이트 ‘Economy’(www.ecnmy.org)의 대표로서 다양한 경제학 개혁 및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펼치기
카할 모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맨체스터 대학 경제학과에서 학?석사 과정을 마쳤고 현재 대학원 박사 과정에서 계량 경제학 및 응용 경제학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한 행동 경제학 모형에 관심이 많으며, 현재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에 기초한 영국 가계 패널 데이터의 저축 행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제크 워드 퍼킨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맨체스터 대학에서 PPE 과정을 마쳤고 현재 셰필드 대학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리싱킹 경제학 회원으로서 다원주의 경제학 및 경제학의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안철흥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시사저널』 『시사IN』에서 기자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 『다시 희망을 묻는다』가 있고, 옮긴 책으로 『키신저 재판』 『이코노크러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이 통렬하면서도 의미 있게 다가오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학생으로서 경제학자들의 위기를 지켜봤고, 그 후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과정에서 같은 학자로서 실패의 좌절을 맛본 이들이다. … 경제학자들에게는 이 책의 저자들이야말로 위대한 경제학자일 것이다.
- 앤디 홀데인의 서문 중에서


세계적으로 약 7,000개의 언어가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제학 언어는 가장 새롭고 잘 알려지지 않은 언어 중 하나이지만, 급속하게 가장 중요한 언어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그 결과 시민들은 점점 더 자신이 어찌할 수 없는 세계에서 살아간다. 경제학의 언어를 구사할 수 없다는 것은 경제나 정치 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의미 있는 목소리를 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주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시민들은 중요한 정치 제도와 과정에서 배제되어 있으며, 전문가와 정치인들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 제1장 경제를 전문가에게 맡겨놓는 것의 위험성 중에서


이것은 우리의 경제를 운영할 사람들이 비판적으로 경제를 사고하는 것에 대해 전혀 배우지 않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한 차례의 자기 의견 제시 없이도 경제학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주목할 만한 경제학 사례 연구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 윤리학적인 관점이 결여되어 있다. 경제학자들은 윤리학을 철학 수업 시간의 주제 정도로 여기기 때문에, 학생들은 무엇이 바람직한지 판단하기 위해 문제를 파고들기보다는 표준화되어 해석의 여지가 별로 없는 이론을 배우는 쪽을 택한다. ‘좋은 사회에 대한 아이디어는 전반적으로 부재했다.’
- 제2장 교리가 된 경제학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8982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