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8992089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0-08-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조선 후기 조선과 일본의 독도 인식
1 조선 정부의 독도 인식
울릉도 쟁계 이전의 독도 인식
울릉도 쟁계 전후의 독도 영유권 인식
2 에도막부의 독도 인식
호키주 어민의 울릉도 도해와 에도막부의 독도 인식
울릉도 쟁계 당시의 ‘독도 조선령’ 확인
독도 조선령 인식의 정착
2부 메이지 초기 『태정관지령』의 ‘독도는 조선령’ 인정
1 『태정관지령』이 내리게 된 경위
시마네현 지적 편찬에 관한 질의서의 작성 경위
에도시대 외교 교섭 자료를 검토한 내무성의 의견과 질의
태정관의 결재와 지령 하달 및 공시
2 『태정관지령』에서의 ‘죽도외일도’ 논란
‘죽도외일도’에 대한 정의
‘외일도’가 독도라는 근거
다케시마문제연구회 측 주장에 대한 비판
3 『태정관지령』의 중요성
독도 영유권 귀속의 조약상 근거 공식 확인
‘독도 조선령’ 공시와 그 후 무주지 주장의 허구성 증명
3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독도 인식
1 대한제국기의 독도 인식
고종의 ‘울릉도 개척령’과, 독도 관할을 공포한 칙령 제41호
일본의 독도 불법 편입 결정에 대한 대한제국 정부의 대응
2 대한제국기 일본 정부의 독도 인식과 흑룡회의 독도 무주지 주장
독도를 조선령으로 인식한 일본의 각 정부기관
흑룡회의 ‘양코’섬 발견 주장과 무주지 주장
일본의 독도 불법 편입 결정
3 일제강점기 일본의 독도 인식
독도를 조선 영토로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일본의 수로지 편찬
수로지에 독도를 울릉도 부속으로 서술
4부 일제 패전 이후의 독도 인식
1 일본으로부터의 독도 분리
포츠담선언의 해석과 독도 문제
연합국최고사령부의 ‘독도 한국령’ 인식
독도 고유 영토 인식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2 대일평화조약 초안과 관계국의 독도 인식
대일평화조약 초안 작성 기간 중 미국의 독도 인식 변화
대일평화조약 체결 직전 한·미·일의 독도 인식과 대응
대일평화조약 체결 당시 미국의 독도 인식에 대한 비판
일본 국회의 ‘독도는 한국령’ 지도, 「일본영역참고도」에 의한 조약 비준 동의
「일본영역참고도」에 관한 일본 측 주장 비판
「일본영역참고도」의 국제법적 해석과 「일본영역도」
3 대일평화조약상 연합국의 독도 인식과 그 해석
대일평화조약의 간결성과 독도 문제
러스크 서한과 덜레스 전문, 밴 플리트 보고서
대일평화조약의 문언적 해석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울릉도의 영유권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 인종 23년(1145)경에 김부식(金富軾) 등이 국왕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삼국사기(三國史記)』다.
독도 문제는 국가 간의 주장이 서로 대립되는 만큼 영토 내셔널리즘과의 관련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국민감정에 편승해 관련 사료에 대해 객관적인 검토 없이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견해를 아전인수 격으로 주장하는 경향도 전혀 없지는 않다. 그러나 이는 일부에 불과하고, 독도 문제는 엄연한 지리적?역사적?국제법적인 학문 연구의 영역이다. …… 독도 문제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감정 대응으로 치닫는다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진리는 단 하나라는 말이 있다. 하나씩 진실을 밝혀 나가면 영유권에 관한 양국의 견해 차이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 나아가 독도 문제에 관한 오해가 풀린다면 한일 우호에도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을 확신하고 또한 기대한다. - 머리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