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식물 일반
· ISBN : 9791189074319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1-01-04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 식물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제1장 익숙한 식물, 새로운 사실
_장미 열매의 빛깔을 알게 된다면
Q1. 모란은 향기가 있는 걸까?
Q2. 동구 밖 과수원 길에는 아카시아꽃이 활짝 필까?
Q3. 달토끼와 함께 있다는 계수나무는 무엇일까?
Q4.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에 나오는 ‘동백꽃’은 무엇일까?
Q5. 다음 중 할미꽃을 고르세요
Q6. 다음 중 단옷날 머리를 감을 때 쓰는 창포는?
Q7. 그림 속 개나리꽃 중 몇 송이가 열매를 맺을까?
제2장 정원을 꿈꾸시나요
_식물과 더불어 정원에서 자라는 것
Q8. 왜 식물에 우유를 뿌릴까?
Q9. 다음 원예 정보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세요
Q10. 튤립은 꽃이 진 후 어디로 사라지는 걸까?
Q11. 유럽에서는 붉은, 한국에서는 푸른 꽃을 피우는 식물은?
Q12. 붉은 단풍이 왜 봄에도 보이는 걸까?
Q13. 마트에서 파는 연근을 심으면 연꽃이 자랄까?
제3장 일상에 스며든 식물들
_횟집에서 식물을 발견하는 법
Q14. 식물 사프란은 어디에 쓸까?
Q15. 화투의 ‘똥’은 어떤 식물일까?
Q16. 화투의 ‘흑싸리’는 왜 어떤 장에서는 거꾸로 자랄까?
Q17. 다음 중 쌍화탕에 들어가는 식물은?
Q18. 포켓몬스터 라플레시아와 우츠보트의 모델이 된 식물은?
Q19. 우리나라 식물로 마라탕의 얼얼한 맛을 낼 수 있을까?
Q20. 부처님이 득도하신 곳에 자란다는 보리수는 무엇일까?
제4장 쓸모없겠지만 알고 싶은 식물학
_새우난초와 자란을 구별하며
Q21. 다음 중 정확한 이름을 찾기 가장 까다로운 식물은?
Q22. 다음 중 성전환을 하는 꽃은?
Q23. 다음 화초를 같은 과인 채소와 짝 지어 보세요
Q24. 엽록소가 없는 이 식물은 어떻게 생존할까?
Q25. 다음 벌레잡이식물 중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것은?
Q26. 다음 중 진짜 난초는 무엇일까?
Q27. 다음 중 독이 없는 식물은?
Q28. 다음 중 희귀식물을 고르세요
5장 우리는 식물을 어떻게 대하나요
_잡초로 가득한 정원에서
Q29. 이 꽃은 왜 옥살이를 할까?
Q30. 식물도 이름을 바꿀 수 있을까?
Q31. 무궁화는 왜 산에서 볼 수 없는 걸까?
Q32. 북한의 나라꽃은 무엇일까?
Q33. 다음 채소 중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것은 무엇일까?
Q34. 다섯 갈래 라일락꽃을 먹는 이유는 왜일까?
Q35. 대저택 한 채만큼 비쌌던 튤립은 무엇일까?
마치며 : 좋은 시절이 끝날 때
참고 자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며칠 전, 어머니께 전화를 받았습니다. 씨앗 봉투에서는 분명히 큼직한 진보랏빛 나팔꽃이 그려져 있었는데 키워보니 작은 하늘색 꽃을 피워서 조금 실망스러웠다고요.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법이니, 어디선가 봉투와 다른 씨앗이 섞여 들어갔을 테지요. 그런데 어떤 식물은 분명 같은 종인 것이 확실한데도 유럽에 심으면 붉은 꽃을, 한국에서는 푸른 꽃을 피웁니다. 어떤 식물일까요?
〈Q11 유럽에서는 붉은, 한국에서는 푸른 꽃을 피우는 식물은?〉 중에서
고스톱 게임에 유리해서 인기가 많은 ‘똥’은 오동나무입니다. 오동나무, 오동으로 부르던 것이 ‘똥’으로 변했다고 합니다. ‘똥’이란 이름 때문에 다른 것이 연상되는 검은 덩어리는 잎사귀로, 일본 옛 화투에는 녹색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그리고 파란색 별은 개화한 꽃, 가지에 달린 작고 둥근 것은 꽃봉오리입니다.
〈Q15 화투의 ‘똥’은 어떤 식물일까?〉 중에서
특이하게도 봉선화는 꽃을 성전환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꽃송이를 수꽃으로 피우고는 나중엔 암술을 덮고 있던 수술을 떨어뜨려 암꽃으로 만드는 것이지요. 호박처럼 꽃을 따로 만드는 수고 없이 확실하게 다른 꽃과 수분할 수 있으니, 효율적인 선택인 셈입니다. 다만 앞서 말씀드린 흰동가리는 한 개체의 성별을 바꾸지만, 봉선화는 꽃만 수꽃에서 암꽃으로 바꾸는 점이 다릅니다
〈Q22 다음 중 성전환을 하는 꽃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