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찌하랴 예의와 염치를

어찌하랴 예의와 염치를

최재문 (지은이)
오름(오름에디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14,250원 -5% 2,500원
0원
16,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찌하랴 예의와 염치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찌하랴 예의와 염치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9486464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1-06-21

책 소개

오름 시인선 59권. 최재문 서사시집.

목차

005 │ 시인의 말

1부 / 휘모리장단에 휘돌아가고
013 │ 보릿고개
014 │ 종가(宗家)
016 │ 달빛 감옥
017 │ 바람구멍
018 │ 좌구산 봄
020 │ 기획 변신
022 │ 포스트 휴먼 시대의 시詩를 짓는 로봇과 선비의 동거
029 │ 목련
030 │ 봄의 수다

2부 / 어리석은 후손이 옷깃을 여민다
033 │ 백불암 종가
037 │ 그림자 조각
038 │ 원인은 당신의 씨앗
040 │ 소묘(素描)
041 │ 사서오경에서 군자다운 선비를 찾았다
047 │ 유교(儒敎)가 종교(宗敎)가 아닌 까닭은
050 │ 별천지
051 │ 허상
052 │ 흔적
053 │ 어찌하랴 예의(禮義)와 염치(廉恥)를
060 │ 옛집

3부 / 민족애의 주된 정신은 선비정신이었다
063 │ 복수초
064 │ 난향
065 │ 취기
066 │ 술의 역사는 인간의 희로애락과 함께했다
077 │ 절망
078 │ 눈빛에 심었다
079 │ 천방지축
080 │ 미궁
081 │ 다도(茶道)는 무아지경에서 조화(調和)와 절제가 경지에 이른다
090 │ 숲의 정령

4부 / 하얀 입김 사이로 한 마지기 향기가 날다
093 │ 수평선의 여운
094 │ 가을 여인
095 │ 서창(西窓)
096 │ 홍시
097 │ 수화(手話)
098 │ 문동(文童)이는 문둥이가 되었다
105 │ 문둥이 소동
109 │ 농자(農者)의 만찬
113 │ 벤치
114 │ 춘정

5부 / 애끓는 발원을 간절한 촛불에 모았다
117 │ 진달래
118 │ 수선화
119 │ 단상
120 │ 분분한 홀씨
121 │ 결혼은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였다
143 │ 새 맞이
144 │ 회한의 진화
145 │ 옛 호수
146 │ 일필휘지
147 │ 작달비
148 │ 나의 여백에 향기를 담고

6부 / 고운 햇살 찧고 지워진 발자국을 다시 본다
151 │ 불시착
152 │ 품향
153 │ 멍 때린 날
154 │ 절세의 가시성
155 │ 향기의 화음
156 │ 환갑잔치를 치르고
166 │ 숲의 푯대
167 │ 황혼
168 │ 낙락장송
169 │ 코로나19
170 │ 메모리
171 │ 고해(苦海)

평설
175 │ 하얀 입김 사이로 한마지기 향기가 날다 │ 김유조
181 │ 취호당 시집에 가득한 선비의 묵향 │ 김철교
184 │ 해학과 풍자로 논하는 예의와 염치 │ 오경자
186 │ 고금의 삶을 넘나드는 다양한 스케치 │ 최균희
189 │ ‘염치(廉恥)’를 일깨우는 선비정신이 빛나는 서사시 │ 권갑하
193 │ 전통은 지키는 것이 아니라 삶이되어야한다 │ 정근옥

저자소개

최재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광역시 달성 출생. 1979년 JCI korea 창원JC초대회장. 1996년 대덕로터리클럽 회장. 칼럼니스트로 현실참여를 활발히 하면서 ICT ETC system 도로공사 『하이패스』 개발회사 최고경영자와 대전유교문화진흥원장, 성균관전의를 역임하면서 전통문화와 유학에서 선비정신에 대한 칼럼과 서사시를 써 왔다. 한국문학시대에서 시(詩) 등단, 문학평론가 김우종 교수의 추천으로 수필 등단. 국제계관시인연합 UPLI Poetry Korea 주간 일도 하고 있다. 한국문인협회, 국제PEN한국본부이사,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직을 맡고 있으며 시집으로 『선비 낙향하다』, 『어찌하랴 예의와 염치를』, 공동저서『3·8의거와 민주 물결』이 있다. 한국 현대시 특별상 수상, 대한민국전통문화 예술부문 명인 대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최재문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민족정기를 바로세운 선비와, 무능과 교만으로 나라를 망친 선비가 있다.’로 문을 여는 취호당 시집의 중핵은 동방예의지국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전통문화가 사라져가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인간관계의 기본덕목인 예의와 염치가 실종된 사회를 그냥 간과할 수 없다는 행간의 문장에서 꾸짖고 서사의 곡절에서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다. 이미 시인의 시심 속에 깊이 자리하고 있는 선인들에 선비정신의 삶을 조명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으로 문화적 유산을 다양한 스케치로 담아내고 있다. ? 최균희 (아동문학가, (사)어린이문화진흥회 이사장)


모처럼 ‘특별한’ 시집을 만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시들이 꽃처럼 피어나고 예쁜 장정(裝幀)의 시집들이 속속 출간되고 있지만, 이토록 우리가 추구해야 할 전통의 푯대를 오롯이 세우며 엄정한 내면의 기품과 외면의 훈훈함과 여유, 그러면서도 현대적 감각의 치열한 시적 긴장을 잃지 않는 한 권의 시집은 만나기란 사실 쉽지가 않다. 그런 속에서 취호당 최재문 시인의 이번 시집은 품새와 정신이 온전히 조화와 균형을 이룬, 삶에 대한 관조와 직관(直觀)이 실핏줄 터진 얼음 결정처럼 맑게 빛나는 시집이기에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 권갑하 (시인, 농민문학 논설실장)


사회 저변에 새로운 질서는 동방예의지국 이라는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전통 정신문화가 사라지면서 인간관계의 기본 덕목인 예의와 염치가 실종되고 사회는 극도로 혼란에 빠졌다, 변화하는 사회와 더불어 변화하지 못한 뿌리 깊은 원죄 의식의 부끄러움이 우리의 가슴을 짓눌렀다. 이러한 시대에 “어찌하랴 예의와 염치를”라는 시집 출간을 참으로 경하해 맞이한다. 사실 우리 문인들이 우리 시대에 선비다. 어찌 시인이 선비의 자리에 머무르고 있어야만 하겠는가 시인은 자연을 벗하고 학문을 닦아 군자의 대열에 합류하여야 한다. ? 정근옥 (문학비평가, 한국현대시인협회 부이사장)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