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89580162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9-10-08
책 소개
목차
0 성과를 향상시키는 전략적 접근방법, 성과목표 분석
1 성과목표 분석이란?
2 성과목표 분석의 흐름 정리
3 올바른 성과목표 분석을 위한 출발점
1 명확한 성과목표 설정학
1 나의 역할 찾기
2 조직에서 기대하는 역할 내의 성과목표 설정하기
2 구체적 성과행동 실행하기
1 성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SF) 찾기
2 CSF 확보를 위한 성과행동 찾기
3 실행과정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1 성공적 성과행동 실행을 위한 직무 역량 도출하기
2 KPI를 통한 실행과정의 구체적 모니터링하기
4 성과목표분석 따라하기
Step 1 개인업무 역할(미션) 명확화
Step 2 개인 성과목표 설정
Step 3 CSF 도출
Step 4 성과행동 도출
Step 5 개인 직무역량 도출
Step 6 개인 KPI 도출 및 KPI 체크리스트 제작
Step 7 성과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5 성과목표분석 결과 업무에 활용하기
1 성과행동 체크리스트의 활용
2 KPI 체크리스트의 활용
3 직무기술서의 일반적 활용
4 관리자의 부하직원 및 팀 성과지원에서의 활용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의 목표는 '직장인들이 자신의 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찾고 그 수행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입니다.
(책을 시작하며 - 인정받는 직장인은 무엇이 다른가?)
성과목표 분석이란 자신이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목표를 기준으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건들(CSF, 성과행동, 직무역량, KPI 등)을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이 요건들을 찾아서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여러분들의 성과 목표 가능성이 전보다 훨씬 높아지겠죠?
(성과를 향상시키는 전략적 접근 방법, 성과목표 분석)
먼저 자신의 역할을 명확히 한 후에, 그 역할 범위 내에서 자신의 성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목표설정 전에 자신(팀 목표설정 시의 경우에는 자신이 맡은 팀)의 역할을 먼저 명확히 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죠. 이 역할을 우리는 '미션'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성과목표 분석의 기준점은 자신의 역할을 의미하는 '미션'이 됩니다.
(성과를 향상시키는 전략적 접근 방법, 성과목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