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리커버)

(인사 교육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하는)

최영훈 (지은이)
플랜비디자인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 (리커버) (인사 교육 담당자가 꼭 알아야 하는)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95953127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7-07-27

책 소개

많은 인사/교육담당자들이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이 자신의 경력관리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순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걱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직무분석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관리하는 업무로 그 영역과 인사관리 분야의 전문성을 넓혀 보기 바란다.

목차

들어가는 글 004

Ⅰ 직무분석의 개념 이해

1 직무분석이란 무엇인가 017
⑴ 직무분석의 개념 및 체계적 조직 성과관리에의 필요성 017
⑵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해야 하는 결과물, 성과영향요소의 개념 (개요) 026

2 직무분석을 통해 제작되는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 055
⑴ 직무분석 결과에 대한 개인차원 / 조직차원의 관리 055
⑵ 직무기술서를 활용한 조직의 체계적 성과관리 058

3 직무분석의 대략적 추진 프로세스 066
⑴ 직무분석 수행 주체 066
⑵ 직무분석의 추진 절차 071

Ⅱ 직무분석 사전준비단계

1 직무분류 079
⑴ 직무분류의 중요성 079
⑵ 직무분류 프로세스 084

2 직무별 SME 선정 101
⑴ SME의 자격요건 및 선발방법 101
⑵ SME와의 협조체계 구축 106

Ⅲ 직무분석 실시 본단계(직무별 성과영향요소 도출단계)

0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 (설문법, 인터뷰법, 워크샵법, 혼합법 등) 109
⑴ 설문법 111
⑵ 인터뷰법 115
⑶ 워크샵법 120
⑷ 혼합법(워크샵+인터뷰) 130

1 직무역할(Mission) 설정하기 135
⑴ 직무역할(미션)의 정확한 개념 이해 135
⑵ 직무역할(Mission)의 기능 및 조직관리에의 필요성 148
⑶ 직무역할(미션)의 설정 방법 155

2 성과목표 설정하기
⑴ 성과에 대한 정확한 개념 166
⑵ 핵심성과목표 설정 방법 174

3 성과창출을 위한 결정적 성공요인, CSF 도출하기 181
⑴ CSF에 대한 구체적 개념 정립 181
⑵ CSF 도출 방법 190

4 핵심성공요인(CSF) 확보를 가능케하는 행동지표 도출하기 196
⑴ 행동지표에 대한 구체적 개념 정립 196
⑵ 행동지표 도출 방법 205

5 행동지표 상의 행동을 촉진하는 지식, 기술, 태도(직무역량) 도출하기 216
⑴ 직무역량에 대한 구체적 개념 정립 216
⑵ 직무역량 도출 방법 226

6 직무역량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의 특성, 직무자격 설정하기 233

7 성과영향요소들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알려주는 수치적 지표, KPI 도출하기 240

8 직무분석 본단계에 대한 설명을 마치며… 250

Ⅳ 직무기술서 작성 및 사후관리

1 직무기술서의 작성 및 검토 257
⑴ 바람직한 직무기술서 포멧의 구성 257
⑵ 직무기술서 작성, 검토 및 피드백 실시 262

2 직무기술서의 업그레이드 & 업데이트 267

Ⅴ 체계적 조직 성과관리를 위한 직무기술서의 활용방안

1 MBO 운영 및 직원 평가 기준으로의 활용 275
⑴ 업적평가 기준 275
⑵ 역량평가 기준 282

2 직원 채용, 배치 및 승진 기준으로의 활용 293
⑴ 채용공고문 작성에 활용 296
⑵ 서류 및 면접전형 기준으로의 활용 299

3 직원 교육운영 관리에의 활용 307
⑴ 교육담당자가 직무에 적합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찾을 시 활용 307
⑵ 학습목표 설정 및 교육평가 기준으로의 활용 307
⑶ 현업 부서에서의 교육 요청에 대한 필터링 319
⑷ 효과적 교육방법, 플립러닝 설계 및 기획 321

4 관리자의 구체적 리더십 도구로의 활용 331

5 직무분석 결과(직무기술서)의 기타 활용방법 340
⑴ 조직 성과향상을 위한 TF 구성 시 적합인원 선정에의 활용 340
⑵ 직무적합성 평가의 기준으로 활용 343
⑶ 사업계획 수립의 Frame으로 활용 347
⑷ 조직의 업무 구조조정에의 활용 352

마치며. 직무분석 시 유의사항 및 학습성찰노트 작성 358

저자소개

최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성과관리/직무분석 전문 컨설팅 및 교육기업인 P&J(Performance & Job Analysis) Institute 대표로 일하고 있으며 HR프렌드라는 닉네임으로 다양한 온오프라인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전공 외래교수, 한국생산성본부 및 고용노동부 일터혁신 인사담당자교육 담당교수 등을 역임하며 성과관리 및 직무분석과 관련된 수많은 강의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또한 HPC컨설팅과 한국노동연구원 고성과작업장혁신센터(舊 뉴패러다임센터)에서 HR혁신 컨설턴트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산업군과 기업에서 인사관리/성과관리 컨설팅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인사관리 컨설팅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영역인 '직무분석'에 특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성과관리의 방법을 기업에 도입할 수 있도록 지도해왔습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