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89580568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0-12-0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1장 퍼실리테이터는 어떻게 될 수 있나요?
1) 퍼실리테이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퍼실리테이션 자격증은 어떻게 하면 취득할 수 있나요?
3) 퍼실리테이션을 하면 모든 문제가 다 해결되나요?
4) 회사에도 퍼실리테이터가 있나요?
5) 퍼실리테이터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2장 워크숍 퍼실리테이션 준비하기
6) 워크숍 퍼실리테이션이란 무엇인가요?
7) 워크숍 퍼실리테이션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준비해야 하나요?
3장 워크숍 퍼실리테이션 하기
8) 워크숍의 시작 오프닝, 왜 중요한가요?
9) 워크숍 퍼실리테이터로서 아이스브레이킹 어떻게 해야 할까요?
10) 문제점 찾기의 시작, 현황 파악 어떻게 하나요?
11) 퍼실리테이터만 모르고 참여자는 다 아는 문제 어떻게 파악할 수 있나요?
12) 아이디어를 찾는 생각 발산하기
13) 뒤죽박죽 아이디어, 어떻게 체계적으로 정리하나요?
14) 아이디어는 어떻게 구체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5) 질문을 활용해 퍼실리테이션하기
16) 워크숍에서 발생 가능한 이슈 관리하기
17) 아이디어 어떻게 결정하나요?
18) 온라인 퍼실리테이션 어떻게 해야 하나요?
19) 워크숍 클로징
20) 퍼실리테이터의 Reflection(회고)
4장 워크숍 퍼실리테이션 실전 사례
21) 동기부여와 성과창출을 연계한 워크숍
22) 지역 사회에서의 퍼실리테이션
23) 학교에서의 퍼실리테이션
24) 퍼실리테이션과 독서의 만남
에필로그
부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입사 후 10년이 지나 스스로를 돌아보니 처음부터 ‘퍼실리테이터가 되야지!’ 라고 생각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업무에서 쌓은 경험들이 퍼실리테이션으로 연결됐고 경험들이 쌓여 자연스럽게 퍼실리테이터 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게 됐습니다. 저처럼 회사에서의 경험이 아니더라도 사람들 사이를 중재하거나 촉진하면서 자연스럽게 퍼실리테이터로 활동하고 계신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국제 인증의 경우 국내에 취득한 사람이 많지 않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치르더라도 희소성 자체로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증 심사 응시를 통해 전 세계의 퍼실리테이터를 만나고 퍼실리테이터들의 압축된 역량을 경험할 수 있는 30분의 워크숍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너무 멋진 경험이 될 것입니다.
저의 경우 워크숍에서 아는 사람을 참여자로 만났을 경우 이런 생각이 듭니다. ‘이 참여자는 나를 도와줄 사람인가, 방해할 사람인가…?’ 입니다. 모든 아는 사람이 도와주는 사람이면 좋겠지만 인터뷰처럼 어려운 참여자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