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CEO/비즈니스맨을 위한 능력계발 > 간부학/리더십
· ISBN : 9791189580780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1-02-28
책 소개
목차
PROLOGUE 모든 것은 리더의 결정에서 시작된다
PART 1 리더의 결정
CHAPTER 1 리더의 결정이 중요한 이유
리더에게 결정의 의미란
리더가 갖는 결정의 무게
좋은 결정의 정의
CHAPTER 2 리더의 결정이 어려운 이유
리더의 딜레마 상황
리더의 결정에 대한 책임
PART 2 더 나은 결정을 위한 5가지 질문
CHAPTER 1 결정의 원칙과 기준이 있는가?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원칙과 기준
협업을 만들어 내는 원칙과 기준
업무가치를 높일 수 있는 원칙과 기준
CHAPTER 2 버려야 할 결정 습관이 있는가?
많은 리더들이 자신의 과거 경험에 너무 의존한다.
많은 리더들이 결단력이 없고, 결과에 대해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많은 리더들이 외부의 자극에 둔감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한다.
CHAPTER 3 심리적 오류를 경계하고 있는가?
확증 편향과 허위 합의 효과
자기과신과 낙관주의
결과로만 판단하려는 편향된 믿음
CHAPTER 4 구성원이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가?
심리적 안전감(Psychology Safety)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
취약성(Vulnerability)의 고리
CHAPTER 5 실행을 통해 결정을 완성해 가고 있는가?
리더는 결정의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리더는 결정에 대한 구성원의 참여와 지지를 이끌어 내야 한다.
리더는 결정이 좋은 결과로 매듭지어 질 때까지 돌봐야 한다.
PART 3 나인팀이 제안하는 NICE 결정 프로세스
CHAPTER 1 1단계: Notice 인식하기
문제 인식: 결정해야 하는 상황임을 인식한다
정보 수집: 결정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CHAPTER 2 2단계: Investigate 검토하기
정보 분석: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방향을 설정한다
니즈 확인: 이해관계자의 입장과 니즈를 확인한다
CHAPTER 3 3단계: Choose 선택하기
옵션 도출: 결정 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선택지를 도출한다
기준 확정: 결정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확정한다
결정 공유: 결정사항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한다
CHAPTER 4 4단계: Execute 실행하기
계획 수립: 실행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실행 점검: 결정된 안을 실행하면서 모니터링을 통해 점검해 나간다
시스템화: 결정 및 실행 사항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고 시스템화한다
PART 4 리더들의 어려운 결정 상황
Case 1. 결정을 하지 않으려는 상사와 의사결정을 해야 할 때
Case 2. 결정이 필요한 사안인지 확인이 필요할 때
Case 3. 급박한 상황에서 제한된 정보로 결정해야 할 때
Case 4. 상사들간 의사결정 의견이 다를 때
Case 5. 이해당사자가 많은 현안을 해결해야 할 때
Case 6. 이익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다양한 선택지가 필요할 때
Case 7. 업무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Case 8. 구성원의 인사이동에 개입하는 결정을 할 때
Case 9. 결정된 사항을 번복해야 할 때
팀장들의 현실적인 이슈와 의사결정
[정리하며] 리더는 결정으로 말한다
BONUS BOOK 어느 날, 선물같이 찾아온 내 인생의 '결정'
EPILOGUE 당신의 결정은 언제나 옳다.
부록 NICE 의사결정 프로세스 Tools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떤 리더는 기준을 가지고 행동하고 결정합니다. 구성원에게 그 기준을 공유하여 팀이 같은 곳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끕니다. 반면, 어떤 리더는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결정합니다. 스스로는 유연하다고 생각하지만, 구성원들은 리더가 독단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어떤 방식이든 리더가 결정하면 구성원은 이를 실행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결국 리더의 결정은 실행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열정으로 가득 채울 수도, 영혼 없이 손발만 움직이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어떤 리더가 좋은 결정을 내릴까?’, ‘좋은 리더의 특성은 무엇일까?’ 리더라면 누구나 하게 되는 고민입니다. 하지만 리더는 어떤 성격으로 특정할 수 없는 사회적 역할입니다. 즉, 좋은 사람이 좋은 리더가 되는 것이 아니라, 리더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리더가 좋은 리더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알고 보면 회사 생활 자체가 의사결정의 연속입니다. 직급이나 부서를 떠나 조직 구성원 모두는 각자의 위치에서 수많은 의사결정을 통해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높은 레벨에 해당하는 전략적 의사결정이 아니더라도 저마다 다양한 유형의 결정을 내립니다. 협력사의 납품대금 지급을 위해 세금계산서 표기 금액을 확인하고 지출결의서를 승인하는 것 역시 일상적이고 정형화된 의사결정의 한 유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