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8958666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7-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 커피도 사람도 매혹적인 골드코스트에 머물다
1장 골드코스트, 절망과 기회를 만나다
골드코스트, 황금 해변의 도시에 닿다
바리스타에게 새로운 시도는 금물
네 가지의 선택지, 그리고 또 다른 선택
아는 만큼 보이는 기회
커피의 나라에서 커피를 파는 한국인
커피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
덮친 데 엎친 격
위기 뒤에 찾아온 천금 같은 기회
2장 커피를 만드는 시간, 커피를 만드는 삶
이제는 원하는 것만 해줄게요
- 소냐의 스키니 플랫화이트
50센트의 힘
- 세르지오의 피콜로
호의라는 강력한 무기
- 후안의 카푸치노
나의 가장 오래된 단골을 소개합니다
- 네이슨의 플랫화이트
잘 가요! 내 커피를 잊지 말아요
- 사이먼의 프렌치토스트
주문만 해요, 이력서는 넣어둬요
- 멜라니의 아몬드 라테
내 커피가 위로가 된다면
- 나타샤의 지밀 모카
좋은 커피 만들기는 그리 어렵지 않아
- 앤드류의 소이 플랫화이트
맛있는 커피는 설탕이 필요 없다
- 조앤의 바닐라 라테
근육질에 타투를 휘감은 소중한 내 손님
- 코리와 브리트니의 아몬드 카푸치노, 그리고 소이 플랫화이트
둘째 아이도 내 단골로 만들어줘요
- 쿠이니의 카푸치노
꿀 떨어지는 노부부와 이야기하는 시간
- 로버트와 빅토리아의 더블 에스프레소, 그리고 소이 플랫화이트
제발 돌아와 줘요, 건강한 모습으로
- 브라이언의 스위트 플랫화이트
3장 커피와 함께하는 삶, 커피잔에 담긴 이야기
콜라병 대신 커피잔을 든 노숙자
- 자넷의 카푸치노
괜찮아요, 나는 배려심이 많은 걸요
- 토니와 클라우스의 스트롱 플랫화이트
제발 내 전화번호를 가져요
- 애니의 하프 스트롱 라테
환상의 섬에서 온 남자, 그가 사는 법
- 존의 아사이 스무디
너의 행복이 곧 골드코스트의 행복이야
- 이합의 피콜로
두바이에서 골드코스트 롤을 팔아볼까?
- 자예드의 골드코스트 롤
다시는 외도하지 말아줘요
- 올리의 버터 밀크 프라이 치킨버거
땅끝까지 차이 라테를 전파하라
- 모모의 소이 차이 라테
얼어 죽어도 아이스로 주세요
- 팍시의 엑스트라 아이스 소이 라테
우유 탓이 아니에요, 내 실수예요
- 키트와 타이의 아몬드 바닐라 라테
당신의 로또에 행운이 깃들기를
- 피터와 애시의 더티 차이 라테
식성은 다르지만 취향은 같아요
- 에드워드와 형제들의 에그 온 토스트
바리스타지만 페인트칠도 가능해요
- 프랭크의 카푸치노
당신은 훌륭해요, 외상은 달갑지 않지만
- 케빈의 크루아상
에필로그 | 스스로 던진 질문에 달을 찾아가는 시간
리뷰
책속에서

호주인의 커피 사랑은 애정을 넘어 집착, 중독으로 보일 만큼 강하다. 이런 나라를 세계에서 가장 큰 커피 기업인 스타벅스가 가만히 놔둘 리 없다. 스타벅스는 2000년 한국 시장 다음으로 호주 시장에 진출해 공격적인 확장을 시도하며 짧은 시일 내에 87개의 매장을 오픈했다. 하지만 8년 동안 1억 500만 달러(약 1,200억 원)의 영업 손실을 내고 63개 매장의 문을 닫았다. 그리고 남은 10여 개의 매장과 브랜드 사용권을 편의점 회사에 팔고 쓸쓸히 퇴장했다.
스타벅스가 호주에서 맥을 못 춘 이유는 커피를 대하는 호주 사람의 감성 때문이다. 거기에 호주의 국민 커피로 불리는 플랫화이트와 호주식 마키아토는 스타벅스가 주력으로 하는 다디단 마키아토나 프라푸치노와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호주 사람이 원하는 것을 스타벅스가 줄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 모든 매장을 직영점으로 운영하며 커피뿐만 아니라 심지어 매장의 냄새마저도 통일시키려는 제국주의적 감성은 호주 사람에게 통하지 않았다.
호주 로컬 카페에서 단골손님은 저마다의 지분이 있다. 매일 100명의 단골손님이 와서 10달러씩 결제를 한다면 카페는 매일 1,000달러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것이다. 그렇게 일관성 있게 카페가 유지된다면 단골손님 한 명은 가게의 1퍼센트 지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돈을 조금 더 쓴다고 해서 더 중요한 손님이 되는 건 아니다. 커피 앞에서 모두가 평등한 호주 로컬 카페에서 단골손님의 존재감은 그런 것이다. 카페에 참여하는 사람은 누구나 커피 마실 권리가 있다. 카페는 그 권리가 소중하게 지켜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건 모두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