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89643911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19-03-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시각문화, 생활세계, 그리고 그것의 관찰 가능성
◾백문이 불여일견! 시각의 등극 …… 3
◾자연에 대한 관찰 가능성과 자연과학의 발달 …… 5
◾본다는 것과 보여진다는 것의 의미 …… 6
◾인간의 마음도 관찰 가능한가? …… 7
◾시각적 자료 수집과 분석: 시간의 관찰 …… 11
1장 공공성에 대한 재해석: 지하철과 엘리베이터의 질서와 규칙
◾규칙과 질서의 생성에 관한 담론들 …… 19
◾관찰의 상황과 자료의 수집 …… 24
◾공공장소에서 공적거리의 변화와 유지 …… 26
◾줄의 생성과 변화 …… 35
◾원칙(principle)과 규칙(rule) …… 53
2장 코칭의 재발견: 필라테스 코칭 과정에 대한 관찰 분석
◾운동과 코칭 …… 57
◾필라테스에서의 ‘집중’과 ‘호흡’ …… 59
◾관찰 상황과 자료의 수집 …… 61
◾몸으로 찾아가는 리듬 …… 62
◾발화의 맥락성 …… 66
◾전략으로서 전문성 …… 71
◾말은 어떻게 동작이 되는가 …… 73
◾과정으로서의 운동의 의미 …… 78
3장 요리 레시피의 활용법: 요리의 기술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휴리스틱스 요리법 …… 81
◾관찰의 상황과 자료의 수집 …… 85
◾잡채는 레시피대로 만들어졌는가? …… 87
◾자취방에서의 잡채 만들기 …… 91
◾가정집에서의 잡채 만들기 …… 101
◾주먹구구식 문제해결, 합리성에 대한 재이해 …… 111
4장 공감과 소통의 방법: 일상의 대화 속 공감과 소통의 노하우
◾놀이로서의 대화 …… 115
◾관찰의 상황과 자료의 수집 …… 118
◾친구와의 대화 …… 120
◾이모의 조카 돌보기 …… 128
5장 암묵지의 형성과 공유: 행정 조직에서의 업무의 효율성
◾조직 학습, 문화의 형성 …… 137
◾조직화의 과정, 암묵지를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론의 등장… 141
◾관찰의 상황과 자료의 수집 …… 146
◾즉흥성의 포착, 현상학적 사회학의 민속방법론 활용 … 148
◾멤버십(membership) 범주의 효율적 활용 …… 150
◾정서의 공유를 통한 실용적 문제해결 …… 157
◾문제의 협력적 재구성 …… 164
6장 시뮬레이션 학습의 설계: 의과 대학 시뮬레이션 학습에서 학습자 경험
◾경험의 흐름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 175
◾관찰 상황과 자료의 수집 …… 179
◾민속방법론과 비디오 분석 …… 183
◾사례 분석 …… 185
◾학습자 경험 분석과 PBL 프로그램 설계 …… 199
찾아보기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