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9118966507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05-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독서동아리와 책쓰기는 하브루타 문화도시로 가는 지름길
0. 추천사
유영만 (지식생태학자, 한양대학교 교수, 《독서의 발견》 저자)
홍석기 (서울디지털대학교 겸임교수, <오늘도 계획만 세울래?> 저자)
윤종록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후츠파로 일어서라> 저자)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황금 수도꼭지> 저자)
이성엽 (아주대학교 교수, <어웨이크너> 저자)
박의석 (마이다스학습법연구소 소장, <수험의 신> 저자)
이현우 (한림대 연구교수, <로쟈의 인문학 서재> 저자)
안남섭 (바인그룹 고문코치, (사)미래준비 이사장, Korea Supervisor Coach)
하태민 (꿈학관교육센터 센터장, <징검다리로 시작해 봐> 저자)
이민규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명예 교수,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저자)
1. 하브루타 독서동아리 후기 : 참여자, 토론리더, 운영자
일상을 흔들어 놓은 하브루타의 매력 (허미진)
생각이 생각을 낳는 하브루타의 힘 (하늘이)
하브루타 인터뷰 1 - 하브루타 독서동아리 참여자와의 하브루타
하브루타 인터뷰 2 - 하브루타 독서동아리 토론리더와의 하브루타
하브루타 인터뷰 3 - 공공도서관에 활용하는 하브루타 독서독아리
2018년 9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진행된 하브루타 독서동아리 프로그램 운영 계획안
2. 하브루타 독서동아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왜 책쓰기인가? - 책쓰기의 7가지 효과
책쓰기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 - 진북 하브루타 5단계 프로세스
SNS 매니아들이 글쓰기를 어려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비문학 글쓰기를 위한 3단계 프로세스(필사, 요약, 초서)
비문학 글쓰기를 위한 필사, 요약, 초서의 사례
- 하루에 한 줄 필사, 일주일에 한 단락 요약, 한 달에 한 페이지 초서(댓글 하브루타)
하나의 생각은 어떻게 한 권의 책이 되는가?
- 아이디어 하나로 책(특강)을 만드는 콘텐츠 프로듀싱의 비결
어떤 글이 책에 실리는가?
- 콘텐츠 프로듀싱과 감성 큐레이팅 교정 피드백 사례
파워 블로거들이 책을 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비문학 책쓰기의 3단계 문일지십, 일필휘지, 관주위보
집단지성으로 문학 글쓰기 사례
- 순천삼산도서관 <동네 북리더 양성 과정>
비문학 글쓰기의 기본 서평쓰기
- 포천일동도서관 <느리고 깊게 읽는 고전>
비문학 글쓰기 피드백 사례
- 포천일동도서관 <난중일기>와 <춤추는 고래의 실천>
미니북 만들기로 출판기념회 열기
- 상상 하지 못한 설렘, 미니북 출판
3. 책쓰기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 : 비문학 책쓰기에 대한 단상
카페 김사장은 왜 책쓰기에 실패했을까?
- 누구나 쓸 수는 있지만 아무나 저자는 될 수 없는 이유
책쓰기를 시작하기 전에 명심할 것들은 무엇일까?
- 책쓰기의 3요소(작가와 독자, 출판사)와 전문성의 3요소(콘텐츠, 표현력, 브랜드)
내 성격 유형에 어울리는 저술 방식은 무엇일까?
-자신만의 집필 스타일 찾기
책을 쓰려면 독서 패러다임부터 바꿔야 한다고?
- 책쓰기를 위한 독서 패러다임
'인풋(입력)'이 아니라 '아웃풋(출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 책쓰기를 위한 독서 공식
책을 쓰려면 시대의 흐름과 트렌드의 변화를 알아야 한다고?
- 지난 10년과 앞으로 10년의 독서학습 분야 트렌드의 변화
책쓰기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까?
- 독서학습 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 사례
롱런 작가가 되기 위한 온리원+플러스원 전략
- 현재에 충실하며 미래를 준비하자
작가에게는 어떤 직업병이 있을까? - 펜혹과 엘보, 등통, 요통의 추억
배움의 완성이 책쓰기라고? - 책쓰기와 배움의 7단계
진정한 작가로 변신하는 비결 - 변화의 원리와 책쓰기
4. 최고의 작가들을 글쓰기 코치로 모시다
전업 작가들이 강조하는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는 독자와 저자의 '정신감응'이라고? - 스티븐 킹의 창작론
글을 쓰려면 머릿속에 글감 서랍장부터 만들어야 한다고?
-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가론
좋은 글을 쓰려면 작가의 정체성이 중요하다고? - 장석주의 문예론
멋진 칼럼을 쓰려면 세 가지 요소를 알아야 한다고?
- 토머스 프리드먼의 작문론
베스트셀러 작가의 영업기밀이 발췌 요약이라고? - 유시민의 산문론
글쓰기가 지식의 연금술이라고? - 유영만의 편집론
맺음말 - 1인 책 시대를 넘어 국민 작가 시대로
리뷰
책속에서
무슨 일이든 기본기가 중요하다. '진북 하브루타 5단계 프로세스'는 책쓰기를 위한 최고의 훈련 프로그램이다. 기본기가 탄탄하면 기술훈련과 실전훈련을 통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다. 책쓰기를 위한 육체적 정신적 기본기가 전혀 갖춰져 있지 않은 사람이라면 1년 정도의 집중적인 훈련을 통해 저술가로 변신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이미 책쓰기를 위한 기본기가 탄탄하게 갖춰져 있다면 1년 후에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책을 손에 쥘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세상에는 수 많은 책이 나와 있다고 하지만 당신의 책은 아직 없다. 누구나 책 한 권은 낼 수 있다는 믿음으로 도전한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될 거라 확신한다. 진북 하브루타와 함께라면 저자의 꿈이 현실로 바뀔 것이다.
이렇게 능동적으로 책 내용을 곱씹어 읽다보면 무척 재미있으면서도 한 번의 토론만으로도 책을 깊이 이해하게 되고 오래도록 기억에 남으며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을 내 삶에 적용할 수 있어 아주 좋다. 우리 뇌의 특성은 무언가를 배우고 난 후 1시간 안에 배운 내용의 50%를 잊어버린다. 반복하지 않으면 하루만에 60%, 일주일 만에 70%, 한 달 만에 80%가 날아가 버리는 것이다. 이런 사실은 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에 의해 19세기 후반에 밝혀졌다. 7키워드는 결국 책을 7번 반복해서 읽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 오래도록 기억하게 만든다. 재미도 있지만 효율성도 아주 뛰어난 책 읽기다. 7번 반복해 읽으면서 하브루타 토론까지 하다보면 혼자 책을 읽을 때 범하기 쉬운 '자신만의 프레임대로 해석하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하나의 책 내용을 여러 사람의 시각으로 해석하고 그 내용을 서로 교류하면서 책을 다양한 각도로 깊게 이해함으로써 시야가 크게 확장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