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91189736378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2-05-0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서문 : 왜 '지금' 유연근무제인가?
1부 유연근무란 무엇인가?
1. 유연근무
2. 유연근무의 이점과 과제
3. 유연근무와 근무형태의 미래
4. 유연근무와 포용성
5. 유연근무와 웰빙
6. 유연근무에 대한 오해와 진실
7. 유연근무의 장벽과 극복 방법
2부 유연근무제 도입 : 실천지침
8. '준법'에서 '문화'로
9. 유연근무를 위한 전략 개발
10. 효과적인 정책 및 프로세스
11. 유연근무자를 지원하는 방법
12. 결론
13. 유연근무제 툴킷
에필로그: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제
부록 1: 관리자를 위한 샘플
부록 2: 구성원을 위한 샘플
색인
저자 및 역자 소개
발간사
리뷰
책속에서
유연근무제는 단순히 놀고먹자는 주장이 아니다. 우리의 삶 속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담론을 새롭게 재구성하자는 것이다. 노동에 잠식된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전환을 일으켜보자는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사람들이 일하는 방식과 조직 구조에 큰 변화가 생겼다. 지정된 장소에 같은 시간에 도착해 동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점차 당연해진 것이다. 월요일에서 금요일,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일하고 퇴근하는 것이 근무 방식의 '표준'이 되었다. 시간, 장소, 업무 방식에 표준근로모델이 탄생한 것이다.
유연성은 '근무유형의 미래'에 필수적이다. 모든 조직은 업무 방식과 근무 시간에 대한 기존의 관념을 재고하고 유연성이 가져올 다양한 이점을 수용해야 한다. 유연근무를 도입하지 않는 것은 기회를 놓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는 심각한 경영 위기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유연근무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가 또 있다. 유연근무를 도입하는 것은 올바른 조직을 만드는 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