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진격하는 AI와 흔들리는 노동자

진격하는 AI와 흔들리는 노동자

(공포와 공존 사이, 인공지능은 내 일자리를 빼앗을 것인가)

이재열, 권현지, 강정한, 김종길, 강지원, 권오성, 권은정, 김란우, 김태균, 김현주, 오민규, 오삼일, 윤수주, 윤혜선, 이성규, 임준호, 임지선, 장지연, 하주영, 황용석 (지은이), 디지털소사이어티 (기획)
롤러코스터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진격하는 AI와 흔들리는 노동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진격하는 AI와 흔들리는 노동자 (공포와 공존 사이, 인공지능은 내 일자리를 빼앗을 것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91191311686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5-09-05

책 소개

인공지능은 이제 IT업계만의 이야기도, 요즘 사람들만의 이야기도 아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의 해고와 할리우드 작가 파업처럼, 인공지능은 고소득·고학력 일자리까지 위협하며 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이 책은 예측하기 힘든 이 거대한 변화 앞에서 ‘내 일자리는 안전한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목차

들어가는 글 _ 인공지능과 노동시장

1부 인공지능은 일자리를 얼마나 대체할까?
01 인공지능 기술에 노출된 일자리들
02 인공지능이 일자리 지형을 바꾼다
03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양극화

2부 인공지능과 사람이 함께 일하면?
04 인공지능과 협업 중인 사람들
05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 도움을 받는 인공지능
06 인공지능과 사람의 적절한 위치는?

3부 인공지능을 어떻게 규제해야 할까?
07 유럽과 미국은 어떻게 규제하는가?
08 한국의 특수한 상황과 우려
09 인공지능 규제 전에 필요한 것들

나가는 글 _ 인간 중심의 가치를 놓치지 않으려면

저자소개

장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사회학을 전공했고, 주된 관심 분야는 소득 불평등, 복지국가, 일과 생활의 균형이다. 지은 책으로 《경제적 불평등과 노동시장연구》(2013, 공저), 《어떤 복지국가인가?》(2013, 공저), 《OECD 주요국의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2012, 공저), 《노동시장 구조와 사회보장체계의 정합성》(2011,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황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1999)를 취득한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면서 데이터저널리즘, 온라인저널리즘 정책 연구 등을 수행했다. 건국대학교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AI 및 데이터 기반 정책연구와 이용자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데이터저널리즘 코리아 컨퍼런스와 어워드, 뉴스테크 이니셔티브 등의 행사를 조직 및 운영하고 있다. 현재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위원, 디지털플랫폼민간자율기구 위원, 디지털플랫폼정책포럼 위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민간협의회 위원, 법무부 인권정책자문 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언론중재 위원,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위원회 위원, 미디어 다양성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대통령 표창(2019), 기획재정부장관 표창(2024), 교육부장관 표창(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2023),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표창(2015), 건국대학교에서 학술상(2014), 연구공로상(2015) 그리고 강의 우수상(2008), 리서치프론티어 상(2014, 2015, 2016, 2017, 2018) 등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디지털 플랫폼 정책 및 자율규제, 디지털미디어 이용자 행동연구,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설계와 구축, 추천 알고리즘 공정성 및 효과측정, AI 리터러시와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Telematics and Informatics)” 등 80 여 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데이터시대 언론학연구>(커뮤니케이션북스, 공저) 등 50 여 권 이상을 발간했다.
펼치기
임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한겨레21》과 《한겨레신문》의 사회부, 문화부, 경제부 등에서 일했다. 《한겨레21》에서 인권 사각지대를 조명한 <인권OTL> 시리즈, 식당 노동자로 위장 취업해 여성 빈곤노동의 현실을 알린 <노동OTL> 시리즈, 영구임대아파트 121가구를 심층 조사한 <영구빈곤 보고서> 등을 취재하며 인권 보도에 눈을 떴다. 노동 문제에 대한 관심은 《한겨레신문》 30분 피자배달제 기획, 좋은 일자리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4천원 인생》, 《왜 우리는 혼자가 되었나》를 공저했고 《현시창》을 썼다.
펼치기
강정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The University of Chicago 사회학 박사/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펼치기
권현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산업구조 변화, 글로벌 가치 사슬의 거버넌스 변화, 기술 변화 등 변동하는 사회 속에서 일의 세계 변화, 노동시장 구조 변화, 불평등 양상을 연구해 왔다. 현재 『산업노동연구』 편집위원장이다. 저임금노동 시장의 젠더 불평등, 조직 내 관계적 불평등, 노동 이력을 통해 본 한국 청년 및 여성 노동시장 구조 변화, 청년 예술 노동자의 꿈과 사회자본, 범주적 불평등과 젠더화된 노동시장, 게임 산업 젊은 노동자들의 노조 조직화, 디지털화의 노동 및 고용 함의, 1차 벤더로서의 한국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글로벌 가치 사슬의 구조 변화 등을 주제로 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권현지의 다른 책 >
윤혜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법학박사) 정부 3.0 추진위원회 법제도 특별위원회 위원 미국(뉴욕주)/캐나다(온타리오주) 변호사 현,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교수
펼치기
오민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에서 노동운동을 시작해 현대차비정규노조 결성을 비롯해 비정규직 조직화 운동에 함께 해 왔다. 전국비정규노조연대회의 집행위원장(2004~2012년), 민주노총 미조직비정규직전략사업실장(2015~2017년)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노동문제연구소 해방 연구실장, 플랫폼노동희망찾기 집행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라이더유니온, 한국지엠지부 등 노동조합 자문역도 겸하고 있다. 2008년부터 '오민규의 인사이드경제'를 《프레시안》에 연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카네이션: 브레이크 없는 어느 자동차 왕국 시승기》(이매진), 《톡 까놓고 이야기하는 노동》(공저, 숨쉬는책공장)이 있다.
펼치기
권오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속대학: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위 ∙서울대학교 법학사 ∙성균관대학교 법학석사 및 법학박사 주요 논문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변경(노동법연구, 2018) ∙‘재직 조건’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성(중앙법학, 2018) ∙플랫폼 경제와 노동법(노동연구, 2020) ∙산재유족 특별채용 조항의 적법성(사회보장법학, 2020) ∙하청근로자의 도급인 시설에 대한 직장점거의 형사책임(법학연구, 2020) 등.
펼치기
임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주)튜터러스랩스 CTO 연세대학교 겸임교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 위원
펼치기
하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강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앤장 법률사무소 외국변호사(미국 뉴욕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최고위협의회 법제도분과 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인공지능 이용자보호 법안 검토연구위원 산업통상자원부 AI산업정책위원회 법제도분과 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펼치기
김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
펼치기
김태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합뉴스〉 기자
펼치기
김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주노총 공공운수지부 든든한콜센터지부장
펼치기
오삼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장
펼치기
윤수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자랩스 작곡가
펼치기
이성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EMX 대표이사
펼치기
디지털소사이어티 (기획)    정보 더보기
디지털 기술의 올바른 역할과 바람직한 디지털 사회 구현 방안을 모색하고자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출범했다. 인문·사회·기술·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석학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기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며 정부의 정책 수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digitalsociety.or.kr
펼치기

책속에서



‘그래서 어떤 일자리가 주로 대체되는가, 구체적으로 어떤 직업(Job)이 AI에 의해 대체되기 쉬운가’를 밝히
는 것이었습니다. 먼저 주요 문헌을 분석해서 측정 지표를 정하고, 한국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를 간단히 말씀드리면, 일단 인공지능의 영향은 과거 산업용 로봇, 소프트웨어를 도입할 때와 다릅니다. 과거 기술은 저학력·중숙련 노동자를 많이 대체했는데, 인공지능은 고학력·고임금 노동자가 해온 업무와 상당히 중복되고, 그만큼 이 업무를 대체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 회사에 속한 디자이너들얘기를 들어보면 생성형 인공지능 사용을 강제당하거나, 기존에 여럿이 하던 일을 혼자서 하는 경우가 전보다 더 빠르게 전개되는데도 목소리를 내는 사람이 거의 없는 상황이에요. 그에 비해 할리우드의 이 창작자들은 조합 단위로 의견을 모으고 함께 소송도 내면서 단체로 대응하고 있어 우리 현실에 비해 나아 보였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