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91189766511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4-07-2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Ⅰ. 한글의 창제와 한글문학의 형성과 그 전개과정
한글의 창제와 한글문학의 형성과 그 전개과정
1. 훈민정음과 한글문학 … 16
2. 15세기 훈민정음의 창제와 사대부들의 한글문학 … 19
3. 16~17세기, 사대부의 한글문학과 그 미학 … 27
4. 18~19세기, 서민들의 한글문학과 근대의식 … 43
5. 15~19세기, 한글문학의 지속과 발전 … 51 6. 20세기, 시민과 민중들의 한글문학과 민족정신 … 53
7. 민족통일의 정신과 영원한 한글문학 … 61
Ⅱ. 한국문학의 새로운 길찾기와 정체성
신라노래의 새로운 형식과 한국시가의 정체성
1. 신라노래의 형식과 한국시가의 전통 … 68
2. 신라노래인 단형시로서의 향가와 그 정형성 … 73
3. 신라노래인 분연시 향가의 지속과 그 흐름 … 77
4. 신라노래인 장시의 맥락과 그 발전 … 85
5. 한국시가의 형식과 그 정체성 … 87
영남지역 가사의 위상과 그 현대화
1. 영남지역과 가사의 형성 … 91 2. 사대부가사와 경세제민 … 97
3. 내방가사와 여성생활 … 107
4. 동학가사와 근대의식 … 116
5. 가사의 전통계승과 현대화 … 121
동학가사에 나타난 근대의식과 남녀평등
1. 동학가사와 근대정신 … 128
2. 새로운 민족국가의 수립과 민중의식 … 131
3. 외국세력을 배척하는 실마리로서의 자주독립 … 134
4. 동학농민운동의 미래를 열어주는 참여정치 … 138
5. 근대국가의 여명을 밝혀주는 남녀평등 … 143
6. 동학가사의 만민평등과 민주국가의 건설 … 150
동학사상에 나타난 보국안민의 의미와 수사학
1. 동학사상과 그 실현정책 … 153
2. 국가사회 정책으로서 보국안민의 명제 … 159
3. 보국안민의 명제와 은유의 수사학 … 165
4. 보국안민의 명제와 환유의 수사학 … 176
5. 보국안민과 동학농민운동의 제폭구민 … 186
Ⅲ. 민족문학과 세계문학의 소통
한국문학과 튀르키예 문학에 나타난 동서양의 문화갈등
1. 한국문학과 튀르키예의 노벨문학상 … 190
2. 액자소설과 김동리의 「무녀도」 … 193
3. 다성소설과 오르한 파묵의 「내 이름은 빨강」 … 197
4. 세계문학의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 202
5. 한국문학과 튀르키예 문학의 미래 … 206
21세기 구술문화에 나타난 우스갯소리
1. 구술문화와 우스갯소리 … 208
2. 사회긍정으로서의 담론 … 210
3. 사회부정으로서의 담론 … 218
4. 대중매체 공간의 구술문화 … 226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아름다운 공감
1. 전통문화와 대중문화 … 228
2. 고전시가, 현대시로의 변화와 공감 … 230
3. 고전시가와 대중매체의 소통 … 245
4. 고전문학을 대중화하는 새로운 방법 … 250
코로나19와 한국시의 질병에 대한 자아성찰
1. 새로운 사회로의 변화와 코로나19 … 253
2. 고려가요 「처용가」와 열병신의 퇴치 … 256
3. 현대시의 나타난 질병과 그 인식양상 … 261 4. 코로나19와 한국시의 자아성찰 … 275
Ⅳ. 한국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
컴퓨터 매개커뮤니케이션의 활용과 한국의 고전문학
1. 정보화시대와 한국문학 … 280 2. 고전문학 자료의 정보화 작업 … 283
3. 고전문학 연구에서 CMC의 활용 … 289
4. 정보화시대, 문학연구의 방향 … 300
인문학 지식정보화의 현황과 그 발전방향
1. 인문학과 지식정보화 … 303
2. 인문학의 지식정보화 현황 … 305
3. 인문학 지식정보화의 추진방향 … 309
4. 학술자료의 디지털화 현황과 문제점 … 315
21세기초 한국대학의 인문교육 현황과 그 전망
1. 위기의 인문교육 … 321
2. 인문학자의 연구환경 … 322
3. 인문학 정체성의 원인과 그 본질 … 324 4. 학습자의 문제 … 326
5. 21세기 인문교육의 전망 … 329
문화콘텐츠 산업의 정책방향과 인력양성
1. 문화콘텐츠와 국가경쟁력 … 332
2. 문화산업의 인력양성과 그 정책 … 334
3. 연구모형과 독립변수의 설정 … 341
4. 실증분석과 독립변수의 상관성 … 344
5. 문화콘텐츠의 창의성과 경제발전 … 348
참고문헌 … 351
찾아보기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