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삼한의 신앙과 의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가야
· ISBN : 9791189946678
· 쪽수 : 251쪽
· 출판일 : 2020-07-3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가야
· ISBN : 9791189946678
· 쪽수 : 251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국립김해박물관 2019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 그동안 제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가야사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1권 <삼한의 신앙과 의례>는 가야 선주민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기획하였다. 제사와 의례 관련 유물을 대상으로 삼한시대 사상과 관념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목차
1. ‘삼한의 신앙과 의례’ 연구의 동향과 과제
I. 머리말
II. 인식의 형성과 변천
III. 연구의 동향과 성과
IV. 자료의 해석과 이해
Ⅴ. 맺음말-과제와 전망
2. 기원전 1세기~기원후 3세기 동북아시아 마구 매장의례
I. 머리말
II. 중국 한대(漢代) 중원지역의 거마 및 마구 매장의례
III. 낙랑의 마구 매장의례
IV. 삼한의 마구 매장의례
V. 맺음말
3. 고고자료로 본 마한 의례
I. 머리말
II. 의례 개념
III. 마한 의례 유형
IV. 마한 의례 성격
V. 맺음말
4. 진·변한의 신앙과 의례
I. 머리말
II. 자료 읽기, 관찰과 기록
III. 신앙과 종교의례 양상의 몇 가지
IV. 맺음말
5. 변한지역 목관묘의 편년과 사회변동 양상
I. 머리말
II. 종합편년
III. 청동기 부장과 의미
IV. 맺음말
6. 매장의례로 본 변한지역 목관묘의 토기 부장 양상과 그 특징
I. 머리말
II. 변한지역 목관묘와 축조 기간
III. 유적별 토기 부장·봉헌 양상
IV. 매장의례로 본 목관묘 토기 부장·봉헌의 특징과 의미: 음식봉헌 의례
V. 변한지역 목관묘群 토기 의례의 비교
VI. 맺음말
7. 삼한시대 영남지역의 칠기
I. 머리말
II. 칠기의 출현과 확산
III. 영남지역 칠기의 기종별 특징과 부장 양상
IV. 고대 칠기 부장의 사회적 의미
V. 맺음말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