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가야
· ISBN : 9788963474786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목차
1 가야와 신라 冠의 비교 김재열
I. 머리말·11
II. 가야 冠·11
1. 김해 대성동 고분군 29호 도굴갱 수습 금동관·12
2. 고령 지산동과 합천 옥전 고분군 출토품·14
3. 대가야 이후의 가야계 관·18
Ⅲ. 신라의 冠·20
1. 대관, 관식과 모관·20
2. 금관과 금동·은관, 그리고 철관·26
Ⅳ. 비교 관점에서 본 신라와 가야의 冠·29
1. 고유 양식의 발현과 변동·29
2. 冠의 생산 체계·35
Ⅴ. 맺음말·38
2 부산 복천동 고분군 출토 금동관의 구조와 특성 홍성율
I. 머리말·51
II. 복천동 출토 금동관 검토·52
1. 복천동 10·11호분 출토 금동관·52
2. 복천동(동아대) 1호분 출토 금동관·54
Ⅲ. 복천동 고분군 출토 금동관의 특징과 의미·56
1. 특징·56
2. 의미·62
Ⅳ. 맺음말·68
3 백제 금동관의 금공기술 연구-주변국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현상
I. 서론·79
II. 문양표현기술·80
1. 투조기법·80
2. 조금기법·86
III. 외형제작기술·95
1. 성형기법·95
2. 도금기법·97
3. 조립기법·100
IV. 결론·103
4 금동관을 넘어서: 위세품과 철기의 부장 정형 비교를 통해 본 신라권과 김해·부산지역 하대룡
I. 서론·115
II. 연구 방법과 대상·119
III. 신라지역의 위세품 체계와 부장품의 구성 정형·121
1. 위세품의 착장 정형·122
2. 복식군에 따른 부장품 구성·125
3. 소결 : 신라의 위세품 체계와 부장 정형·131
IV. 복천동, 대성동 고분군의 위세품 체계와 철기 부장 양상·134
1. 착장형 위세품과 무구, 마구·135
2. 철기의 구성·138
V. 복천동·대성동 고분군의 독자적 부장 양상과 그 의미·140
VI. 결론·143
편집 후기·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