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023837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01-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할까?
1장 | 투자란 무엇인가?
1. 투자는 거위농장을 운영하는 게임
2. 현금흐름 만드는 자산부터 모아라
3. 시간도 중요한 자산이다
4. 4차 산업혁명 & 저금리 시대?회사원 포지션은 위험하다
5. 현금흐름 4분면?나의 현재 위치는 어디인가?
6. 투자의 핵심개념① 자산 ― 순자산이 얼마면 직장을 관둘 수 있을까?
7. 투자의 핵심개념② 가치 ― 부자들의 가치 비교 객관화 습관
8. 투자의 핵심개념③ 가격 ― 특히 통화량 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9. 투자의 핵심개념④ 현금흐름―현금흐름 만드는 자산부터 주목하라
10. 투자의 핵심개념⑤ 보유―언제까지, 어떻게 보유할 것인가?
2장 | 자산을 늘리는 원칙
1. 현금흐름 자산 빠르게 늘리는 법
2. 자산 2배 불리기 게임과 72법칙?나만의 ‘기준금리’를 가져라
3. 투자기준 정하는 법 ① 현금흐름할인법(DCF)의 기본원리
4. 투자기준 정하는 법 ② 순현재가치(NPV)와 내부수익률(IRR)
[심화학습] 과거 내부수익률의 의미
3장 | 현금흐름과 레버리지 다시 보기
1. 레버리지 증가는 현금흐름이다
[심화학습] 현금흐름의 종류
2. 워런 버핏과 플로트
3. 투자수익률의 함정에 주의할 것
4. 레버리지의 위험성
5. 자산 증가 시뮬레이션
[번외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가 어려운 이유
4장 | 투자자의 자세
1. 투자와 투기, 도박의 차이점
[심화학습] 투자와 도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2. 자연상수 e ― 자연의 원리가 알려주는 꾸준한 투자의 비밀
5장 | 화폐형 투자
1. 투자법의 종류
2. 화폐형 투자 ― 종잣돈 모으기
3. 금을 보유하라 ― 금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와 투자법
6장 | 부동산형 투자
1. 부동산 시장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2. 워런 버핏의 플로트와 전세레버리지 투자
3. 전세레버리지 투자법 및 갭투자와의 차이점
4. 역전세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
[실전 투자사례] 전세레버리지 투자 프로세스 :
전라북도 전주의 사례
[심화학습] 매매가가 아닌 전세가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5. 전세가 예측① 전세가는 무엇을 따라가는가?
[심화학습] 화폐유통속도에 대하여
6. 전세가 예측② 전세가에 버블이 생기는 이유
7. 매매가 예측① 매매 버블 구하기
8. 매매가 예측② 수급불균형 구하기
9. 부동산 심리지수 체크하기
7장 | 회사형 투자
1. 회사형 투자를 하는 사람들
2. 부동산과 주식투자는 레버리지가 다르다
3. 성장주보다는 배당주, 국내보다는 해외주식
4. 배당투자자의 질문법
5. 적정 매수가를 구하기 위한 3요소 ― 현금흐름, 할인율, 투자기간
8장 | 파생형 투자
1. 파생형 투자가 뭘까?
2. 아파트 분양권, 선물옵션 투자의 흔한 사례
3. 금 선물/옵션에 대하여
[심화학습] 옵션을 이루는 요소
4. 금 투자로 현금흐름을 만드는 법
[심화학습] 파생형 투자의 응용
에필로그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할까? ━ 당장 뭐든지 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부록
1. 미국 배당귀족주 톱10 분석(미국 배당귀족주 64개 종목)
2. 전국 인구 50만명 이상 24개 도시 아파트 시장분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순자산이 얼마면 직장을 관둘 수 있을까요?” 재테크 카페 등에서 흔히 접하는 질문이다. 그럼 나름대로 “××억이요~”라는 답변들이 달리는 게 재미있다. 필자의 대답은 이것이다. “순자산은 큰 의미 없습니다. 자산이 가져오는 순현금흐름이 생활비 이상을 커버한다면 은퇴를 고려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됩니다.”
순현금흐름, 즉 각종 비용들을 제하고 나서 내 손에 쥐어지는 수익이 지출보다 크다면 직장을 그만둘 수 있는 선택권이 생기는 셈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산이 현금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점이다. 즉, 거위가 알을 낳아야 한다. _<1장 투자란 무엇인가?>
부자들이 부자가 된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항상 가치를 비교하고 객관화하려는 습관’인 것 같다. 가치비교는 어렵고 정확하지 않을 때도 많다. 보통 사람들은 귀찮아하고 잘 하려 들지 않는다. 하지만 항상 가치를 비교하고 측정하려는 습관은 투자자가 지녀야 할 숙명이라고도 할 수 있다. _<1장 투자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