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023886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09-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자유를 꿈꾸는 분들에게
1장 | 투자의 기초
투자의 정의: 다시, 투자란 무엇인가?
투자와 소비의 구분: 실거주의 선택
투자-소비 평면: 투자 속도의 중요성
워런 버핏의 교훈: 투자 평균속도의 중요성
2장 | 좋은 투자의 방법
좋은 투자란 무엇인가?
+자산+
자산이란 무엇인가?
자산의 속성: 에너지와 엔트로피
시간 거위의 확장 1
시간 거위의 확장 2: 법인
+가치평가+
가치평가의 시작: 가치와 가격을 구분하자
가치 단위의 새로운 대안
가치의 층위: 내재가치에 집중하자
내재가치 측정 원리의 분류
[가격평가] 해외 주식 테슬라
+가격+
가격은 환율이다
초등 교실에서 환율 보기
[가격평가] 원화
‘싼 가격에 산다’는 것의 의미
+현금흐름+
명목 현금흐름의 누적
[가격평가] 국내 주식 삼성전자
현금흐름도표의 활용: 은마아파트 사례
현금흐름은 ‘원화’만이 아니다
+보유+
자산을 파는 것의 의미
롱숏과 더블숏: 자산을 대하는 전략
3장 | 우리가 꿈꾸는 3가지 자유
투자의 자유
+돈의 자유+
투자의 공간: 자산을 분류하는 3가지 기준
현금흐름 레이어를 쌓자 1
현금흐름 레이어를 쌓자 2
투자자의 원죄: 열역학 제2법칙
+시간의 자유+
‘시간을 쓴다’는 것의 의미
시간 자산의 가치
시간의 자유를 위한 자산의 구성
자유로운 투자가로의 성장
시간 자산을 포함한 현금흐름도표
+공간의 자유+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공간의 자유
메타버스와 탈중앙화
탈중앙화와 블록체인
블록체인 채굴의 원리
블록체인과 채굴: 이중지불의 해결
[가격평가] 비트코인
이더리움의 지분증명(PoS)
[가격평가] 이더리움
디파이: 가상세계의 투자세계
가상세계에서 좋은 투자하는 법
스테이킹
가상세계에만 존재하는 자산 LP
LP 투자의 리스크: 비영구적 손실(IL)이란?
비영구적 손실의 해결과 LP 투자전략
인류의 메타버스, 금의 가치
금을 모으는 3가지 방법
[가격평가] 금
4장 | 그럼에도 투자를 계속해야 하는 이유
우리나라 가구의 자산분포: 자산의 불균형
파레토 분포의 교훈: 꾸준한 투자의 중요성
에필로그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는 계속되어야 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모든 것이 원화로 표시되는 우리나라에서는 ‘돈’이라고 하면 대부분 ‘원화’를 떠올린다. 그만큼 사람들은 이 ‘원화’에 중독되어 있다. 월급을 받을 때도, 세금을 낼 때도, 물건을 살 때도, 자산을 거래할 때도 모두 원화를 기준으로 생각한다. 무역을 하거나 유학을 간 자녀에게 송금하는 등 특별한 경우에만 가끔 ‘원/달러’ 환율을 생각해 보는 정도이다. 따라서 원화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거의 하지 않는다. 원화를 절대기준으로 삼고 거의 모든 자산을 원화로 환산해서 가치를 매기는 것이다.(중략)
압구정 현대아파트의 가치를 말할 때, 만약 1990년대의 가격이 1억‘원’이고 현재의 가격은 20억‘원’이라고 하자. 이때 그동안 원화의 가치가 대략 10배 감소한 것을 감안하여, 압구정 현대아파트의 입지와 상품의 가치가 20배가 아니라 2배 증가했을 것이라 판단하는 것이다. 이처럼 자산의 가치를 원화나 달러와 같은 화폐로 측정할 때는 항상 기준이 변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_<2장 좋은 투자의 방법>
좋은 투자의 시작은 자산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싸게’ 사는 것이다. ‘싸게 산다’는 것에 대해 많은 투자자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과거 자산가격보다 싸게 사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어제까지 3억원이던 아파트를 오늘 급매로 2억8,000만원에 산다면 싸게 사는 것일까? 그후에 가격이 더 떨어지면 결과적으로 싸게 산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둘째, 자신이 평가한 가치에 대비해 싸게 사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싸게 산다’는 것은 자산가치를 평가해서 그보다 더 낮은 가격에 사는 것이 아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자산의 정확한 가치는 누구도 알 수 없다. 그럼에도 굳이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이유는 자산가치 대비 지나치게 높은 가격에 사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이다._<2장 좋은 투자의 방법>
우리가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팔기로 결정하는 때는 다음의 두 가지 경우이다.
1. 자산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2. 더 좋은 자산이 나타났을 때
우리 부부는 지난 10년 이상 투자하면서 각종 부동산, 주식, 금, 암호화폐 등 다양한 자산을 모아왔지만, 단순히 가격이 올랐다는 이유로 자산을 매도한 적은 없다. 자산의 상태가 기대 이하이거나, 더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자산으로 갈아탈 때만 매도를 한다. 되도록이면 가치가 없는 화폐를 사지 않기 위해서이다.
_<2장 좋은 투자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