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031362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PROLOGUE
뇌과학이 내 삶을 변화시킨다
CHAPTER 1
최소한의 뇌과학으로 행동의 비밀을 풀다
◆ 상사의 뒷담화는 왜 즐거울까?
◆ 나이 든 사람일수록 말이 안 통하는 이유
◆ 남자는 왜 쇼핑을 힘들어할까?
◆ 남자가 고가의 물건을 사는 이유
◆ 어떤 사람은 왜 눈치 없이 행동할까?
◆ 번지점프대에서 뛰어내리지 못하는 이유
◆ 청소년은 왜 무모한 짓을 할까?
◆ 세 살 버릇은 정말 여든까지 갈까?
◆ 어린아이의 스마트폰 사용은 정말 괜찮을까?
◆ 왜 다리를 떠는 걸까?
◆ 공부할 때나 일할 때 음악을 듣는 게 효과적일까?
◆ 싸움과 공격은 인간의 본능일까?
◆ 가벼운 신체 접촉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
CHAPTER 2
뇌가 곧 현상의 세계다
◆ 왼팔과 오른팔 중 어느 쪽이 더 좋을까?
◆ 일을 미루거나 여유를 부리는 이유
◆ 나이 들면 시간이 빨리 가는 이유
◆ 배움은 정말로 때가 있을까?
◆ 뭐더라, 그 이름이 뭐였지?
◆ 수포자는 왜 생겨날까?
◆ 권력은 사람을 어떻게 변하게 하는가?
◆ 유난히 운이 좋은 사람들의 비밀
◆ 천재와 바보는 종이 한 장 차이?
◆ 빨간색이 강할까, 파란색이 강할까?
◆ 옆에서 숙제를 도와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 좌뇌는 논리적이고, 우뇌는 감성적일까?
◆ 사람의 마음을 읽고 말로 바꿔줄 수 있을까?
◆ 예지몽을 꾸는 게 가능할까?
◆ 생각만으로 뇌를 바꿀 수 있다?
◆ 인간이 몸에 비해 큰 뇌를 가지게 된 이유
◆ 가난한 사람은 사는 낙이 없다?
◆ 성 소수자를 바라보는 바람직한 시각
CHAPTER 3
감정도 뇌가 설계한다
◆ 걱정이 많으면 왜 잠이 안 올까?
◆ 나는 내 감정 상태를 잘 알고 있을까?
◆ 귀여운 것에 왜 유독 마음이 약해질까?
◆ 사람을 닮은 로봇을 보면 기분이 나쁜 이유
◆ 강박감과 자책감, 그리고 중독
◆ 글쎄, 그건 착각이라니까
◆ 나이 들면 왜 이타심이 적어질까?
◆ 암암리에 뇌 속에 자리 잡고 있는 편견
◆ 술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
◆ 나쁜 기억을 지울 수 있을까?
◆ 과식하면 왜 기분이 나쁠까?
◆ 직장인에게 찾아오는 369 법칙의 비밀
◆ 어떤 사람은 왜 회복탄력성이 낮을까?
CHAPTER 4
뇌는 몸을 움직이기 위해 존재할 뿐이다
◆ 점심을 먹고 나면 왜 졸릴까?
◆ 나이 든 사람이 운전을 하면 위험한 이유
◆ 나이가 들면 운동도 잘 골라서 해야 한다
◆ 왜 청소년은 늦게 자고 노인은 일찍 잘까?
◆ 글씨로 성격을 파악할 수 있을까?
◆ 눈을 감으면 왜 한쪽 다리로 서 있기 힘들까?
◆ 담배를 끊으면 왜 먹을 것이 당길까?
◆ 자신에게 간지럼을 태우면 왜 간지럽지 않을까?
◆ 멀미는 왜 나는 걸까?
◆ 출산 시기는 엄마가 정할까, 아기가 정할까?
◆ 땀 냄새에 위험 신호가 담겨 있는 걸까?
◆ 잠을 푹 못 자면 만성피로가 되는 이유
◆ 비만이 알츠하이머병을 부를 수 있다
◆ 살을 빼기 위한 두 가지 비결
◆ 인간이 뇌를 만들 수 있을까?
◆ 손을 많이 쓰면 창의적 사고가 가능하다?
◆ 뇌 안에는 ‘제니퍼 애니스턴’ 세포가 있다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고와 행동이 무대 위에 선 마리오네트라면 무대 뒤편에서 그들을 조종하는 것은 바로 뇌다. 사람을 좌지우지하는 뇌는 그것을 이루는 신경구조와 호르몬의 작용으로 사람마다 모두 다르게 작동한다. 이러한 다름은 개인 성격이 되기도, 습관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성격과 습관은 한 사람을 규정짓는 정형화된 패턴이기에, 잘못된 성격과 습관을 바로잡고자 할 때 주로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에만 관심을 쏟는다. 예를 들어 감정 기복이 심하거나, 게으름을 피우거나, 눈치 없이 행동하는 등 의식의 그물에 걸린 것들 말이다. 하지만 표면적으로 드러난 현상을 한 꺼풀 들추고 들어가면 의식하지 못하는 곳에서 패턴을 만드는 뇌를 만난다.
_프롤로그_<뇌과학이 내 삶을 변화시킨다> 중에서
사람의 뇌는 이십 대 초중반에 정점을 찍은 후 나이가 들어갈수록 퇴화한다. 퇴화라는 말이 나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뇌는 더 이상 발달하지 않고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신경세포가 사멸하고 시냅스 간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기능이 떨어진다.
그런데 뇌 기능이 떨어지는 데도 순서가 있다. 뇌는 뒤쪽의 후두엽에서 앞쪽의 전두엽 순으로 완성된다. 뒤쪽에 있는 시각피질은 어린 시절에 이미 완벽하게 발달하지만, 전두엽은 사춘기가 지나서야 겨우 완성된다. 하지만 퇴화할 때는 그 반대로 이뤄진다. 뇌의 가장 앞쪽에 있는 전전두엽부터 시작해서 점점 뒤로 가면서 퇴화하는 것이다. 전전두엽은 CEO 역할을 하는 장소로 이곳이 퇴화하는 것은 전반적 인지 기능이 저하하는 것을 의미한다.
_<나이 든 사람일수록 말이 안 통하는 이유> 중에서
배움은 때가 있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나이 들면 무언가를 배우기 어렵다고 여기고 지레 포기하고 만다. 하지만 그건 옳지 않다. 젊은 사람보다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뇌 변화가 쉽게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일 뿐, 뇌가 변화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나이 든 사람도 어떻게 뇌를 활용하느냐에 따라 뇌를 건강하거나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바꿀 수 있다.
나이 먹었다고 포기하지 말고 도전해 보라. 젊은 사람이 한 달이면 배우는 것을 나이 들면 서너 달이 걸려야 배울 수도 있다. 하지만 ‘할수 없을 거야’라고 생각하고 포기하는 것보다는 비록 늦더라도 시도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뇌는 평생 변한다. 변하지 않는 뇌는 없다. 우리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좋은 쪽으로 혹은 나쁜 쪽으로 변할 뿐이다.
_<배움은 정말로 때가 있을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