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040061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12-20
책 소개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1장 협동하는 사람
1. 우리는 협동하기 위해 협동조합을 만들었다
1) 무엇을 협동할 것인가?
2) 어떻게 협동할 것인가?
3) 어떻게 조합원이 주인노릇을 하게 할 것인가?
2. 협동하는 관계
1) 호혜적 협동
2) 구조적 협동
2장 협동의 조직, 협동조합
1. 협동조합의 탄생과 협동조합운동의 발전
1) 협동조합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2) 평화를 위한 협동조합운동
2. 협동조합의 정체성
1) 정의 : 본질(주체), 목적, 방편
2) 가치 : 조직의 가치, 조합원의 가치
3) 원칙 : 협동조합의 레시피
3. 협동조합의 양 날개, 결사체와 사업체
1) 결사체로서의 협동조합과 기업으로서의 협동조합
2) 한쪽 날개로는 날 수 없다
3장 협동조합의 주인과 주인노릇
1. 협동조합의 주인
1) 조합원은 누구인가?
2) 조합원을 맞이하고 그의 자리를 찾아주는 ‘조합원제도’
2. 협동조합의 돈 : 자본의 협동
1) ‘출자금은 입장료가 아니랍니다’
2) 잘 모으고 제대로 써야 하는 협동조합의 돈
3. 협동조합의 민주주의 : 생각의 협동
1) 아무도 나 대신 내가 원하는 것을 해주지 않는다
2) 통제는 권리, 간섭은 오지랖
4장 협동 구조
1. 협동조합의 운영과 경영
1) 협동조합 조직 분석의 도구:‘협동조합 4변형’
2) 협동조합의 두 축과 상호의존성
3) 협동조합 두 축의 균형과 4주체의 상호작용
4) 문제를 직면하지 않는 문화
2. 운영 구조와 방식
1) 총회(general assembly)
2) 이사회(board of directors)
3) 대의원(delegates)
4) 조합원 모임
5) 이사, 대의원, 조합원을 가로지르는 위원회와 자치
6) 주인을 만드는 리더십
5장 협동조합의 생명
1. 나다운 협동조합
2. 서로 돌보는 조합원
3. 협동조합 지역사회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이 협동하지 않고 구조가 협동을 할 때, 그것이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며 지키려 하는데 사실 그때 지키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 조직이라는 ‘형식’이다. 결사체이기 때문에 그 조직을 지키는 것이 사람을 지키는 것이라 착각하지만 그때 그 조직은 이미 사람의 통제를 벗어난, 사람을 벗어난 껍데기이자 제도일 뿐이다.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민주적으로 통제되는”이라는 표현이다. 보통 ‘민주적으로 운영된다’ 혹은 ‘민주적으로 관리된다’ 등 여러 가지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제2원칙에도 있듯이 정확한 의미는 ‘민주적으로 통제된다’라는 표현이다. 왜냐하면 이 말은 협동조합이 운영하는 사업체의 주인은 조합원이고, 그 사업체의 경영책임자나 노동자는 조합원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