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라 상대 관복제도사

신라 상대 관복제도사

정덕기 (지은이)
역사산책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250원
24,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0,53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라 상대 관복제도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라 상대 관복제도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90429290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3-02-25

책 소개

신라 상대 관복제도를 공복, 조복, 무관복으로 3종의 관복을 설명하였다. 공복은 관인의 일상 근무복·약식 관복, 조복은 가장 격이 높은 정복이다. 무관복은 군복으로 무관 고유의 의장물·위신재인 금·화·령 등을 쓴 관복이며, 무관이 쓴 깃발·표식과 현대의 인식표와 같은 역할을 한 기물이 있었다고 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3

1장 서론 9
1. 연구사 검토 9
2. 문제제기와 대안 27

2장 상대 조복(朝服)의 존재와 용도 33
1. 마한・진한 남자의 복식과 신라 상고기 조복의 활용 33
2. 중고기 조복의 존재와 용도 54

3장 중고기 공복제(公服制)와 복색존비(服色尊卑) 67
1. 북위~수・당 공복과 신라 공복의 구성 품목 67
2. 색의(色衣)・색관(色冠)・색복(色服)과 중고기 공복제 84

4장 상대 조복의 구성 품목 105
1. 조복의 분별 원리와 수・당 조복의 구성 품목 105
2. 상대 조복의 구성 품목 및 유관 령(令)의 내용 119

5장 상・중대 무관복(武官服)의 구성 품목과 무관의 위신재 143
1. 수・당 무관과 신라 무관의 관복 품목 143
2. 신라 무관 고유의 의장물(儀仗物)・위신재(威信材) 162

6장 결론 179

참고문헌 190
출전 197
찾아보기 198

저자소개

정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고등교육재단 26기 한학연수장학생으로, 4서 3경 등을 배웠다. 육군3사관학교 군사사학과 조교수(일반)을 거쳐,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수원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등에서 강의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2020년도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 ‘동아시아사 속 신라 중앙행정제도의 발달과정과 그 함의’를 수행하고 있다. 신라의 제도・군사・예제・관복(복식) 등을 위주로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 <신라 상・중대 중앙행정제도 발달사>(혜안, 2021)가 있고, 편저로 <고대 동아시아의 수군과 해양활동>(도서출판 온샘, 2022), <시대를 앞서간 고승 元曉>(도서출판 온샘, 2021) 등 5권이 있다. 논문으로 「신라 상・중대 6부 관청의 운영과 구성 원리」(<東아시아古代學> 63, 2022), 「삼국 신라 연령등급제의 연령과 속성」(<東아시아古代學> 59, 2021), 「신라 진평왕대 對隋 외교와 請兵」(<新羅史學報> 52, 2021), 「신라 上・中代 船府(署)의 정비와 水軍」(<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등 신라사 관계 논문 20여 편, 근대 양명학・실학 관계 논문 1편을 썼다.
펼치기

책속에서

신라 사신은 「번객입조도」에 33개국 중 31번째로, 「왕회도」에 24개국 중 17번째로 나타나며, 모두 공수(拱手) 자세로 그려졌다. 이에 문헌사・미술사・복식사에서 신라 사신의 복식이 연구되었다.
문헌사에서는 「양직공도」의 모사(摹寫)와 유전(流傳)과정, 제기(題記)의 전래와 변형과정이 논의되고, 「양직공도」 원본의 당대(唐代) 유존 여부와 「번객입조도」・「왕회도」에 수록된 사신도의 차이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졌다. 2종 회화 자료는 백묘화・채색화란 차이가 있었고, 자료별로 수록된 사신도의 총수, 사신도의 배치순서, 각국 사신의 연령・면모・복식의 묘사도 다르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수요자의 요구・제작 목적별로 여러 모사본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미술사에서는 중국 직공도(職貢圖)에 한인(韓人)의 도상(圖像)이 제작된 목적을 설명하고, 2종 회화 자료 속 신라 사신 복식과 ��양서��・��구당서�� 신라전의 풍속 관계 기사를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양국은 특산・선호 옷감의 차이가 있었다. 마한은 부드럽고 무늬 없는 면(緜・綿)이 특산 옷감이고, 금(錦)・수(繡) 등 무늬를 넣은 비단 및 계(罽) 등 모직물을 귀히 여기지 않았다고 하였다. 진한은 겸(縑)이 특산 옷감이었다. 겸은 실을 세밀히 짜 오색으로 염색하고, 방수가 가능할 정도로 촘촘히 만든 옷감이다. 마한・진한에서 고급 옷감을 생산하고, 옷감의 선호도가 구별되었으므로, 양국 모두 상당한 옷감 제조기술을 보유했다고 판단된다.


신라 사신의 반응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된다. 첫째, 신라 사신은 자국 조복 관(冠)의 전통성을 인식하였다. 둘째, 신라 사신은 자국 조복의 관과 ��예기��의 피변(皮弁)・변관(弁冠) 등 중국 고례(古禮)와의 관계를 인식하였다. 이는 382년 신라의 ��예기�� 이해도가 낮지 않았고, 상고기 말~중고기 초 신라의 군신(君臣)이 자국사 정보를 일정 정도 공유했으며, D의 시점이 ��국사(國史)�� 편찬 이후라는 점에서 이해된다. 즉 신라 사신은 대국 군자가 전통 있는 피변도 모르면서 신라의 관을 사이(四夷)의 관에 빗대었기 때문에 모욕으로 이해하였다. 헌사(憲司)는 신라・수 관계를 고려해 일단 이자웅을 탄핵・면직시켰고, 양제는 이자웅을 곧 복직시켜 강도 행차를 호종케 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