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90566278
· 쪽수 : 381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0. 머리말 • 5
1부 한국 영화
임권택, 동양화론과 몽타주가 빚어낸 미학적 풍경 • 17
임권택 영화에 나타난 원초적 장면과 은폐기억에 대하여 • 44
초현실주의와 꿈은 홍상수 영화에서 어떻게 배치되었는가 • 29
김기덕의 영화 텍스트 미학적 원리로서 만물제동주의와 동시주의 • 36
2부 아시아 영화
디아스포라의 고향 찾기와 데칼코마니 미학 • 117
장률의 <경주>에 나타난 타나토스의 징후와 에로스의 풍경들 • 142
데페이즈망과 영화적 미장아빔은 지아장커의 영화세계를 어떤 모자이크화로 만들었는가 • 166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편집 미학 : 풍경 쇼트의 변주와 조형적 연속성의 • 193
3부 미국 영화
우디 앨런 영화에 나타난 코미디 전략과 상호텍스트성 • 219
히치콕, 다양한 서스펜스와 이질적 시선들 • 241
4부 유럽 영화
고다르 영화에 대한 여덟 가지 주석 • 269
루이스 부뉴엘이라는 나무에 자라난 영화적 미장 아빔의 가지들 • 300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그녀에게>에 배치된 다양한 텍스트의 존재들 • 334
5부 러시아 영화
타르코프스키 영화에 나타난 세상의 구원과 고향상실 그리고 1+1=1의 동시주의 • 361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간이 거목의 나이테를 만든다면 작품은 거장의 필모그래피를 작성한다. 거장의 반열은 여러 기준에 따라 오르내린다. 임권택은 작품 편수와 작품 활동 기간 그리고 작품의 완성도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거장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영화가 동아시아 영화담론의 장에서 논의될 때 그 중심에 임권택이라는 텍스트가 자리했다. 한국 영화의 대표성으로 임권택을 주목했다면 임권택은 외부의 시선보다는 한국이라는 존재 내로 천착해 들어갔으며 이를 영화의 장으로 견인하는데 주력하였다. 한국 영화 담론의 중심에 임권택 텍스트가 놓여있다면 임권택 영화의 중심에는 한국이라는 존재가 중핵을 이룬다. 그동안 임권택 연구는 작가주의 방법론에 입각한 연구에서 인본주의를 다루는 이데올로기적 연구를 경유하여 개별 텍스트의 분석에 이르는 방대한 성과를 축적해 왔다. 임권택 연구는 한국 영화연구의 가늠자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활발하게 진행되어왔으며 이를 통해 임권택은 한국의 대표적인 감독에서 출발하여 국민감독으로 승격된 다음 거장의 반열에 올랐다.
- 「임권택, 동양화론과 몽타주가 빚어낸 미학적 풍경」 중에서
오즈의 편집은 조형적 유사성에 의한 장면 전환에서 독창성을 확보한다. 조형적 연속성은 미장센의 요소로서 색깔과 움직임의 요소로서 행위 그리고 구도의 유사성을 통해 확보된다. 색깔의 유사성으로 전환 사례는 <안녕하세요>에서 붉은 색 빨래에서 붉은 색 전등으로 연결되는 장면이다. 행위의 유사성은 <동경 이야기>에서 특정한 소도구인 부채질하는 행위에서 동일한 행위로 넘어가는 장면을 들 수 있다. 촬영의 구도를 통한 조형적 연속성은 <만춘>에서 열차의 운행 방향과 인물의 구도의 동일성으로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오즈 영화의 편집에서 독창성의 백미는 사물과 인물의 유사성을 통한 어트랙션 몽타주로의 전환이다. 조형적 유사성이 형태와 구도와 같은 형상의 유사성에 의해서 연속성이 유지되었다면 사물과 인물의 유사성은 형상의 유사성과 더불어 사물과 인물의 경계를 지우는 예술적 동시주의와 장자의 만물제동주의에 접맥된다. <동경 이야기>에서 가지런히 놓인 신발이 나란히 누운 노부부의 모습을 표상했다면, <만춘>에서 잠든 부친과 항아리의 동일시는 오즈의 조형적 유사성의 정점으로 귀결된다.
-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편집 미학 : 풍경 쇼트의 변주와 조형적 연속성의 확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