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9063078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0-03-20
책 소개
목차
제1장 대원군의 개혁과 실착
제2장 병인박해
제3장 대동강은 불타고 있는가
제4장 사이공의 눈물
제5장 1866 연행가
제6장 병인양요 上
제7장 병인양요 下
제8장 양요 이후
제9장 천국 이후 1년
제10장 염벌(捻伐)
제11장 End of 염
제12장 Kill the Eunuch
제13장 양무운동 Begins
제14장 Meanwhile 유럽에서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렇게 흥선대원군이 1864년부터 1871년까지 대충 7년여에 걸쳐 개혁을 진행합니다만 땅 파먹고 사는 조선 체제에서 제대로 못 파먹고 빌빌대던 걸,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로 좀 낫게 파먹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정도지요. 바로 지금 1860년대, 중국과 일본이 교역과 관세 수입을 통해 이전과 차원이 다른 부를 일궈내고 있음을 알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 시점에서 서양이 산업화를 통해 열어제낀 광대한 자본주의 부의 바다 접속은 실로 다른 우주의 이야기. 당대 조선의 엘리트들에게 땅 파먹는 단계 너머 차원의 부는 상상할 수 없는 영역. --- 「제1장_흥선대원군의 개혁과 실착!」 중에서
대원군 집권 2년차 1866년 2월, 천주교 박멸령 발령. 전국 각지에서 천주교인들이 속속 체포되고, 베르뇌 주교를 비롯한 프랑스 신부 9명도 체포. 이 프랑스 신부 9명 모두 처형行. 전국 각지에서 천주교도에 대한 처형이 이어지고, 이 병인박해는 대원군 실각 때까지 계속(1866~1873)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8천 명이 처형당하게 된다. 당시 조선 내 천주교도의 약 절반이 학살당한 것. 병인박해는 외국에도 알려져 강한 인상을 남겼고. 당사국인 당대 프랑스는 물론이고, 서양에서는 20세기까지도 흥선대원군을 가톨릭 학살자로 기억하게 된다. --- 「제2장_병인박해」 중에서
1866년 5월, 고종의 국혼이 이루어지고 새색시의 왕비 책봉을 청하기 위한 주청사가 바로 베이징을 향해 출발한다. 이 연행 여정 동안, 서장관 홍순학은 부지런히 기행문을 썼고 이 기행문이 바로 <연행가>. 이 1866년 주청사의 진짜 임무는 임박한 프랑스의 침공을 앞두고 베이징에서 외교 활동을 펼치는 동시에 프랑스의 침공 구상과 목적, 원정군 규모에 대한 정보 수집. … 오경석은 그간의 경과와 취합한 정보들을 보고서로 작성. 오경석의 보고서는 대원군에게 올라가고. --- 「제5장_1866 연행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