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수학 > 수학 일반
· ISBN : 979119078678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06-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선사 시대의 대표 도구들 : 황금비와 회전체 _8
고조선의 건국과 단군 신화 : 3이라는 수 _20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무덤 : 바퀴의 역설 _34
기원이 아주 오랜 윷놀이 : 경우의 수와 확률 _44
백제 개로왕의 바둑 사랑 : 인간과 인공 지능의 대결 _54
수나라의 대대적인 고구려 침입 : 100만 대군의 수학적 의미 _64
고대 음악과 악기들 : 삼분손익법 _76
경주 월지의 신라 유물들 : 14면체 주령구와 유물 복원 _88
고려 건국 설화에 담긴 풍수지리 : 음양오행과 여러 진법 _100
과거제를 도입한 고려 광종 : 고려의 수학 고시 문제 _112
송의 사신이 쓴 고려 견문록 《계림유사》 : 고려인의 발음과 수 읽기 _124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5000여만 자와 확률의 계산 _134
조선의 정궁 경복궁 : 사이클로이드와 쪽매맞춤 _146
태종의 책사 하륜 : 승경도와 종이접기 _160
직접 수학 공부를 한 세종 : 조선의 산학 172
아주아주 독특한 훈민정음 :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글자 _184
조선의 헌법 《경국대전》 : 도량형 _198
예술가 사임당 신씨의 초충도 : 곤충들과 소수 _210
조선의 대도 임꺽정 : 망해도법과 거리 재기 _222
이순신과 임진왜란 : 학익진 전법과 도훈도 _236
《하멜표류기》에 비친 조선 : 최석정의 《구수략》 _246
신도시 화성을 건설한 정조와 정약용 : 거중기와 도르래 _260
조선 지도학을 집대성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백리척과 축척 _270
헤이그 특사 이상설의 《산술신서》 : 전통 수학과 근대 수학의 가교 _282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물레를 이용하여 토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회전체의 원리를 이해했다는 것이다. 수학에서 회전체는 평면도형을 한 직선을 축으로 하여 1회전한 입체도형을 말한다. 이를테면 직사각형이나 직각삼각형 모양의 종이를 나무젓가락에 붙여서 돌렸을 때 볼 수 있는 기둥이나 원뿔이 회전체이다
- <선사 시대의 대표 도구들 : 황금비와 회전체>
우리 조상들에게 3은 ‘모든’이라는 말을 붙일 수 있는 최초의 수였으며, 처음과 중간과 끝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를 나타내는 수였다. 3의 힘은 보편적이며 하늘, 땅, 바다로 이루어지는 세계의 3중성을 나타낸다. 3은 인간의 육체 . 혼 . 영, 탄생·삶·죽음, 처음·중간·끝, 과거·현재·미래, 달의 세 가지 상(초승달·반달·보름달) 등을 나타낸다. 또한 3의 기본은 천지인이며, 어제(과거)·오늘(현재)·내일(미래)이다.
- <고조선의 건국과 단군 신화 : 3이라는 수>



















